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日本語における外來語の長母音に關する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263199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상명여자대학교, 1996

      • 학위논문사항

        學位論文(碩士) -- 祥明女子大學校 大學院 , 日語日文學科 , 1996

      • 발행연도

        199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93장 ; 26 cm.

      • 소장기관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용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일본어의 장모음 음소를 하나의 박으로 인정하는 장모음설을 따
      르기로 하고, 외래어 어휘에 나타난 장모음의 발음과 표기에 있어서의 볓
      가지 규칙을 세워보기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西尾實, 岩淵悅太郞, 水谷靜夫가 편집한 『岩波國語辭典』
      (1963)에서 영어를 원어로 하는 외래어 어휘 903語를 추출하여, アㆍイㆍウㆍ
      エㆍオ 각 단별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어중ㆍ어말위치로 그 분포에 따라 분
      류하였다.
      이들 어휘에 나타난 장모음들이 그 원어의 발음과 원어의 철자에서 어
      떻게 일본어로 나타나는가에 따라 규칙을 세워보니 다음과 같았다.
      1. ア段長母音은, 語中位置인 경우,「ar」,「er」「ur」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r-],[-a:r-]이, 語末位置인 경우,「er」,「or」로 표기된 原語
      의 發音 [-∂r]이 長母音으로 나타났다. 표기면에서는, 語中位置와 語
      末位置모두,「母音+r」이 長母音이되었다.
      2. イ段長母音는 原語의 發音 [i:]가 長母音으로 나타났다. 語中位置인 경
      우,「ea」,「ee」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 [i:-]이, 語末位置인 경우,「y
      」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 [-i:]가 長母音이 되었다.
      3. ウ段長母音는 原語의 發音 [(j)u:]이 長母音이 되었다. 語中位置인 경
      우,「u」,「oo」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j)u:-]이, 語末位置인 경우,
      「ew」로 표기된 原語의 발음 [-(j)u:]이 長母音이 되었다.
      4. エ段長母音는 原語의 發音 [ei]가 長母音이 되었다. 語中位置인 경우,
      「a」,「ai」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 [-ei-]가, 語末位置인 경우,「ay」
      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ei]가 長母音이 되었다.
      5. オ段長母音는, 語中位置인 경우「o」,「or」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
      [ou], [⊃:r], [⊃:]가, 語末位置인 경우 「o」,「ow」로 표기된 原語의 發
      音 [ou]가 長母音이 되었다.
      한국인학습자의 일본어장모음에 대한 변별능력이 대체로 낮게 나타나는
      큰 이유는 모국어의 간섭에서 온다고 할 수 있다. 장모음과 단모음에 대하
      여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교사는 최소대립
      어(minimal pair)등을 통한 충분한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발음지도에
      유의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일본어의 장모음 음소를 하나의 박으로 인정하는 장모음설을 따 르기로 하고, 외래어 어휘에 나타난 장모음의 발음과 표기에 있어서의 볓 가지 규칙을 세워보기로 하였다. 연...

      본고는 일본어의 장모음 음소를 하나의 박으로 인정하는 장모음설을 따
      르기로 하고, 외래어 어휘에 나타난 장모음의 발음과 표기에 있어서의 볓
      가지 규칙을 세워보기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西尾實, 岩淵悅太郞, 水谷靜夫가 편집한 『岩波國語辭典』
      (1963)에서 영어를 원어로 하는 외래어 어휘 903語를 추출하여, アㆍイㆍウㆍ
      エㆍオ 각 단별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어중ㆍ어말위치로 그 분포에 따라 분
      류하였다.
      이들 어휘에 나타난 장모음들이 그 원어의 발음과 원어의 철자에서 어
      떻게 일본어로 나타나는가에 따라 규칙을 세워보니 다음과 같았다.
      1. ア段長母音은, 語中位置인 경우,「ar」,「er」「ur」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r-],[-a:r-]이, 語末位置인 경우,「er」,「or」로 표기된 原語
      의 發音 [-∂r]이 長母音으로 나타났다. 표기면에서는, 語中位置와 語
      末位置모두,「母音+r」이 長母音이되었다.
      2. イ段長母音는 原語의 發音 [i:]가 長母音으로 나타났다. 語中位置인 경
      우,「ea」,「ee」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 [i:-]이, 語末位置인 경우,「y
      」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 [-i:]가 長母音이 되었다.
      3. ウ段長母音는 原語의 發音 [(j)u:]이 長母音이 되었다. 語中位置인 경
      우,「u」,「oo」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j)u:-]이, 語末位置인 경우,
      「ew」로 표기된 原語의 발음 [-(j)u:]이 長母音이 되었다.
      4. エ段長母音는 原語의 發音 [ei]가 長母音이 되었다. 語中位置인 경우,
      「a」,「ai」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 [-ei-]가, 語末位置인 경우,「ay」
      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ei]가 長母音이 되었다.
      5. オ段長母音는, 語中位置인 경우「o」,「or」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
      [ou], [⊃:r], [⊃:]가, 語末位置인 경우 「o」,「ow」로 표기된 原語의 發
      音 [ou]가 長母音이 되었다.
      한국인학습자의 일본어장모음에 대한 변별능력이 대체로 낮게 나타나는
      큰 이유는 모국어의 간섭에서 온다고 할 수 있다. 장모음과 단모음에 대하
      여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교사는 최소대립
      어(minimal pair)등을 통한 충분한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발음지도에
      유의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resent study, I have attempted to summarize how the
      Japanese long vowels are transcribed from the original foreign
      pronunciation and to investigate its rules when they are adopted in
      Japanese.
      The study is focused on English origin nated vocabularies. I have
      picked up 903 words which contain either in their medial position or in
      their final position. And then I have made some classification' s
      according to A-line, I-line, U-line, E-line and O-line.
      In chapter 2, the overall review on the Japanese. In chapter 2, the
      general review on the Long vowel theorys of contemporary Japanese. I
      have adopted 'Kindaiich theory' which positively recognize the Long
      vowel as an independent poneme.
      In chapter 3, is the summary of my investigation. The materials I
      gave used in my investigation are from the dictionary of 'Iwanami
      Kokugo Ziden(1963)'.
      1. The long vowel A-line, is appeared in medial position when the
      original words contain '-ar-', '-er-' , '-ur-'. It indicates
      the pronunciation [-∂:r-], [-a:r-]. And the final position long
      vowel A-line come from '-er' and '-or'. It indicates the
      pronunciation [-∂r]. When I examine the long vowel rules
      according to the transcription system, it corresponds to 'vowel
      + r'.
      2. The long vowel I-line of Japanese, shows the systematic
      correspondence with [i:]. And 'ee', 'ea', 'y' of original
      spelling have appeared as long vowels in Japanese foreign
      words.
      3. The long vowel U-line shows the correspondence with 'u', '
      oo' and 'ew' of original spelling. And it indicates the
      pronunciation [(j)u].
      4. The long vowel E-line come from [eil. It corresponds to the
      transcription of 'a' , 'ai' and 'ay' of the original words.
      5. The long vowel O-line come from [ou], [⊃:r], [⊃:]. And it is the
      version of 'o', 'or', 'o' and 'ow'.
      In chapter 4, I gave made a few suggestions on some problems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language.
      One of the main difference of Japanese language from Korean lies on
      its phonological system. Korean learners are apt to neglect the long
      vowel partly because our contemporary transcription does not show
      long vowel and therefore one cannot differentiate the long vowels and
      short vowels at least on its transcription.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Japanese language teachers would plan a special drill program on this.
      번역하기

      In the present study, I have attempted to summarize how the Japanese long vowels are transcribed from the original foreign pronunciation and to investigate its rules when they are adopted in Japanese. The study is focused on English origin nated ...

      In the present study, I have attempted to summarize how the
      Japanese long vowels are transcribed from the original foreign
      pronunciation and to investigate its rules when they are adopted in
      Japanese.
      The study is focused on English origin nated vocabularies. I have
      picked up 903 words which contain either in their medial position or in
      their final position. And then I have made some classification' s
      according to A-line, I-line, U-line, E-line and O-line.
      In chapter 2, the overall review on the Japanese. In chapter 2, the
      general review on the Long vowel theorys of contemporary Japanese. I
      have adopted 'Kindaiich theory' which positively recognize the Long
      vowel as an independent poneme.
      In chapter 3, is the summary of my investigation. The materials I
      gave used in my investigation are from the dictionary of 'Iwanami
      Kokugo Ziden(1963)'.
      1. The long vowel A-line, is appeared in medial position when the
      original words contain '-ar-', '-er-' , '-ur-'. It indicates
      the pronunciation [-∂:r-], [-a:r-]. And the final position long
      vowel A-line come from '-er' and '-or'. It indicates the
      pronunciation [-∂r]. When I examine the long vowel rules
      according to the transcription system, it corresponds to 'vowel
      + r'.
      2. The long vowel I-line of Japanese, shows the systematic
      correspondence with [i:]. And 'ee', 'ea', 'y' of original
      spelling have appeared as long vowels in Japanese foreign
      words.
      3. The long vowel U-line shows the correspondence with 'u', '
      oo' and 'ew' of original spelling. And it indicates the
      pronunciation [(j)u].
      4. The long vowel E-line come from [eil. It corresponds to the
      transcription of 'a' , 'ai' and 'ay' of the original words.
      5. The long vowel O-line come from [ou], [⊃:r], [⊃:]. And it is the
      version of 'o', 'or', 'o' and 'ow'.
      In chapter 4, I gave made a few suggestions on some problems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language.
      One of the main difference of Japanese language from Korean lies on
      its phonological system. Korean learners are apt to neglect the long
      vowel partly because our contemporary transcription does not show
      long vowel and therefore one cannot differentiate the long vowels and
      short vowels at least on its transcription.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Japanese language teachers would plan a special drill program on thi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