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8세기 금강산 시와 그림의 관련 양상 연구 : 이병연의 시와 정선의 그림을 중심으로 = A Study for the 18th century's Kumgang-san poetry and painting's connection ty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85369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대학원, 199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1999. 2

      • 발행연도

        199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810.000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vi, 91 p.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8세기에 나타나는 금강산을 소재로 한 시와 그림의 18세기적 특징을 찾아보고, 이것이 조선후기 예술사에서 갖는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금강산을 소재로 한 예술 작품은 18세기 이전에도 있었다. 하지만, 이 시기처럼 예술의 각 갈래 - 문학, 미술, 음악 - 에서 동시적으로 나타났던 시기는 없었다. 따라서 이 시기에 나타나는 이러한 특징은 분명 특이한 현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시와 그림은 각기 따로 존재했다기 보다는 같은 영향 아래에서 함께 창작되어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이렇게 생각할 수 있는 근거는 당대의 시평과 화평을 통해서이며, 더구나 당시는 시와 그림이 별개의 것이 아니라 ‘詩書畵 一致’ 또는 ‘詩畵一律’이라는 인식 하에 자연스럽게 함께 자리잡고 있던 시기이기도 하다.
      필자가 이 시기의 시와 그림 중에서도 특히 금강산 소재의 시와 그림에 주목한 이유는 당시의 이러한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나고 있는 것이 금강산 소재의 시와 그림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특히 사천 이병연과 겸재 정선은 둘의 교유 관계를 통해서뿐만 아니라, 형상화된 실제 작품들 간에도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은 흔적이 잘 나타나므로 시와 그림의 관련 양상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예로 생각한다.
      하지만 시와 그림은 그 고유의 성격으로 인해 둘을 함께 다루려면 둘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연구 방법이 필요하다. 이럴 때 가장 좋은 방법은 우선 실제 시와 그림 작품을 면밀히 검토한 후, 이를 통해 나타나는 시와 그림의 고유한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개별적 특징에서 둘에서 함께 발견되는 공통점을 찾아낸다면, 이 시기의 금강산 시와 그림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 같은 영향으로 인해 나타나게 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먼저 사천 이병연과 겸재 정선의 금강산 시와 그림을 그 각각을 살펴본 후, 둘을 함께 비교하여 그를 통해 나타나는 공통점에 대해 찾아보았다. 그런 결과, 둘은 사상적으로는 낙론계의 김창흡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당시의 천기론의 영향으로 인해 우리 국토에 대해 관심과 애정을 갖게 되면서 많은 여행을 경험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결국은 우리 국토 및 우리 고유의 것의 소중함을 발견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것이 발전하여 우리나라는 중국과는 다르다는 주체적인 자각이 가능하게 되었고 그래서 새로운 시와 그림을 창작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다음으로는 18세기에 이러한 새로운 시와 그림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게 해주었던 배경 사상 및 당시의 미학적 논의들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 시기에 나타난 가장 중요한 사상은 아마도 인물성동이논쟁일 것이다. 이 논쟁을 통해 인간과 사물은 결국은 다른 것이 아니라 같은 것이라는 인식을 하게 되었고, 그래서 이러한 금강산을 소재로 하는 시와 그림이 높이 평가받을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한다.
      한편 이 시기에 나타나는 미학적 논의 중에서 시 창작과 관련된 논의로 천기론을 들 수 있다. 천기론은 자신이 사물을 보고 느낀 감정을 그대로 자연스럽게 표현할 때 진정한 시창작이 이루어졌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시인이 자신의 천기를 가장 잘 발현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자연물이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자연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게 되면서 시인의 천기가 잘 표현되려면 그 자연물이 주는 흥이 커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고, 이러한 대상으로 새롭게 부각되기 시작한 것이 금강산이었다. 금강산의 다양한 모습에서 시인들은 자신들의 다양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근거를 찾을 수 있었던 것이다. 사천 이병연은 금강산 뿐만 아니라, 다른 명승지를 여행하고도 많은 시를 지었는데 이병연의 시에서 공통적으로 표현되고 있는 것은 시인 자신의 감정의 중시와 그 묘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병연의 시는 당시에 유행했던 진경산수화와 더불어 진경시라 할 만하다.
      이 시기에 나타난 또다른 미학적 논의는 그림 창작과 관련되어 나타난 形과 神에 대한 논의이다. 이전에는 그림을 그림에 있어서 대상의 모습을 그대로 핍진하게 그리는 것만을 강조하거나, 대상의 정신의 묘사만을 강조했었다. 그런데 이 시기에 이르러서는 이 둘을 포괄해야 한다는 논의가 나타나게 된다. 즉 단순히 형태만을 그대로 묘사하는 것에 그쳐서도 안되고, 대상의 정신만을 강조해서 그려서도 안된다고 생각하게 된 것이다. 이를 형신겸비 내지는 전신론적 사실론으로 부를 수 있는데, 이러한 논의를 잘 표현한 것이 겸재 정선의 그림이다. 즉 겸재는 금강산을 그림에 있어 금강산의 모습 그대로를 묘사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새롭게 금강산의 모습을 창조하여 그리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전통을 근거로 한 창조이기에 더욱 가치가 있다 하겠다.
      이러한 여러 사상과 미학적 논의가 바탕이 되어 나타난 금강산 소재의 시와 그림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우리나라와 이웃 나라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게 되면서 우리 것을 재인식하게 되는 과정을 통해 더욱 부각되었던 것이다. 즉 우리 국토에 대해 애정과 관심을 갖고 대하게 되면서 대상을 새롭게 재해석하게 되면서 나타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형상화된 금강산 시와 그림이 널리 인정받고 알려지면서 점차 인간 내면의 진실하고 솔직한 감정을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결국 이 시대는 시와 그림이 함께 창작되고 함께 논의되던 시기였음을 여러 상황을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런데 지금의 연구 상황은 서양의 분과 학문론만을 중시하여 이 둘을 따로 떼어 연구하고 있다. 이제는 이러한 개별 연구를 지양하고 함께 묶어 연구해야 할 시기라고 생각한다. 개별 연구에서 이루어진 구체적인 사례를 함께 다루는 총체적인 시각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이 글은 18세기에 나타나는 금강산을 소재로 한 시와 그림의 18세기적 특징을 찾아보고, 이것이 조선후기 예술사에서 갖는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금강산을 소재로 한 예술 작품은 18...

      이 글은 18세기에 나타나는 금강산을 소재로 한 시와 그림의 18세기적 특징을 찾아보고, 이것이 조선후기 예술사에서 갖는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금강산을 소재로 한 예술 작품은 18세기 이전에도 있었다. 하지만, 이 시기처럼 예술의 각 갈래 - 문학, 미술, 음악 - 에서 동시적으로 나타났던 시기는 없었다. 따라서 이 시기에 나타나는 이러한 특징은 분명 특이한 현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시와 그림은 각기 따로 존재했다기 보다는 같은 영향 아래에서 함께 창작되어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이렇게 생각할 수 있는 근거는 당대의 시평과 화평을 통해서이며, 더구나 당시는 시와 그림이 별개의 것이 아니라 ‘詩書畵 一致’ 또는 ‘詩畵一律’이라는 인식 하에 자연스럽게 함께 자리잡고 있던 시기이기도 하다.
      필자가 이 시기의 시와 그림 중에서도 특히 금강산 소재의 시와 그림에 주목한 이유는 당시의 이러한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나고 있는 것이 금강산 소재의 시와 그림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특히 사천 이병연과 겸재 정선은 둘의 교유 관계를 통해서뿐만 아니라, 형상화된 실제 작품들 간에도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은 흔적이 잘 나타나므로 시와 그림의 관련 양상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예로 생각한다.
      하지만 시와 그림은 그 고유의 성격으로 인해 둘을 함께 다루려면 둘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연구 방법이 필요하다. 이럴 때 가장 좋은 방법은 우선 실제 시와 그림 작품을 면밀히 검토한 후, 이를 통해 나타나는 시와 그림의 고유한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개별적 특징에서 둘에서 함께 발견되는 공통점을 찾아낸다면, 이 시기의 금강산 시와 그림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 같은 영향으로 인해 나타나게 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먼저 사천 이병연과 겸재 정선의 금강산 시와 그림을 그 각각을 살펴본 후, 둘을 함께 비교하여 그를 통해 나타나는 공통점에 대해 찾아보았다. 그런 결과, 둘은 사상적으로는 낙론계의 김창흡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당시의 천기론의 영향으로 인해 우리 국토에 대해 관심과 애정을 갖게 되면서 많은 여행을 경험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결국은 우리 국토 및 우리 고유의 것의 소중함을 발견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것이 발전하여 우리나라는 중국과는 다르다는 주체적인 자각이 가능하게 되었고 그래서 새로운 시와 그림을 창작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다음으로는 18세기에 이러한 새로운 시와 그림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게 해주었던 배경 사상 및 당시의 미학적 논의들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 시기에 나타난 가장 중요한 사상은 아마도 인물성동이논쟁일 것이다. 이 논쟁을 통해 인간과 사물은 결국은 다른 것이 아니라 같은 것이라는 인식을 하게 되었고, 그래서 이러한 금강산을 소재로 하는 시와 그림이 높이 평가받을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한다.
      한편 이 시기에 나타나는 미학적 논의 중에서 시 창작과 관련된 논의로 천기론을 들 수 있다. 천기론은 자신이 사물을 보고 느낀 감정을 그대로 자연스럽게 표현할 때 진정한 시창작이 이루어졌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시인이 자신의 천기를 가장 잘 발현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자연물이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자연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게 되면서 시인의 천기가 잘 표현되려면 그 자연물이 주는 흥이 커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고, 이러한 대상으로 새롭게 부각되기 시작한 것이 금강산이었다. 금강산의 다양한 모습에서 시인들은 자신들의 다양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근거를 찾을 수 있었던 것이다. 사천 이병연은 금강산 뿐만 아니라, 다른 명승지를 여행하고도 많은 시를 지었는데 이병연의 시에서 공통적으로 표현되고 있는 것은 시인 자신의 감정의 중시와 그 묘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병연의 시는 당시에 유행했던 진경산수화와 더불어 진경시라 할 만하다.
      이 시기에 나타난 또다른 미학적 논의는 그림 창작과 관련되어 나타난 形과 神에 대한 논의이다. 이전에는 그림을 그림에 있어서 대상의 모습을 그대로 핍진하게 그리는 것만을 강조하거나, 대상의 정신의 묘사만을 강조했었다. 그런데 이 시기에 이르러서는 이 둘을 포괄해야 한다는 논의가 나타나게 된다. 즉 단순히 형태만을 그대로 묘사하는 것에 그쳐서도 안되고, 대상의 정신만을 강조해서 그려서도 안된다고 생각하게 된 것이다. 이를 형신겸비 내지는 전신론적 사실론으로 부를 수 있는데, 이러한 논의를 잘 표현한 것이 겸재 정선의 그림이다. 즉 겸재는 금강산을 그림에 있어 금강산의 모습 그대로를 묘사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새롭게 금강산의 모습을 창조하여 그리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전통을 근거로 한 창조이기에 더욱 가치가 있다 하겠다.
      이러한 여러 사상과 미학적 논의가 바탕이 되어 나타난 금강산 소재의 시와 그림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우리나라와 이웃 나라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게 되면서 우리 것을 재인식하게 되는 과정을 통해 더욱 부각되었던 것이다. 즉 우리 국토에 대해 애정과 관심을 갖고 대하게 되면서 대상을 새롭게 재해석하게 되면서 나타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형상화된 금강산 시와 그림이 널리 인정받고 알려지면서 점차 인간 내면의 진실하고 솔직한 감정을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결국 이 시대는 시와 그림이 함께 창작되고 함께 논의되던 시기였음을 여러 상황을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런데 지금의 연구 상황은 서양의 분과 학문론만을 중시하여 이 둘을 따로 떼어 연구하고 있다. 이제는 이러한 개별 연구를 지양하고 함께 묶어 연구해야 할 시기라고 생각한다. 개별 연구에서 이루어진 구체적인 사례를 함께 다루는 총체적인 시각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looking into the artic historical meaning of poetry and paintings which's matters are Kumgang-san in the 18th century.
      Before the 18th century, there were also a lot of works about Kumgang-san, but in the 18th century used Kumgang-san by artic material, all kinds of art were come out simultaneously. This is a distinguishing mark. The poetry and the paintings of the 18th century were put as works of high level. At that time, the poetry and the paintings didn't exist separately. They were created together under the same influence. Because of this thinking, in the 18th century, everybody thought "poetry and paintings are one" or they have the same style and origin.
      The present writer thinks the 18th century's poetry and paintings of Kumgang-san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y are showing the distinguishing mark.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achun Lee Buong-yuon and Kyomjae Chong Son, they were given influence to each other. This is s good example to understand the 18th century's poetry and paintings realated. And we need a method of this study. The best method of this study is after investigating poetry and paintings, and that find something in common between both of them.
      In this thesis, at first, I found out the common feature between Sachun Lee Buong-yuon's works and Kyomjae Chong Son's works aftercomparing them's poetry and paintings. The common feature of them's works are below, 1) They were influenced very much by Kim Chang-hup of nack-theory, 2) They found out the valuableness of Korean land and tradition because of Chungi-theory, so they could create new poetry and painting which were very different from Chinese things.
      Second, I touched upon the supporting thinking and the aesthetic consultation which could come out new poetry and paintings. The best important supporting thinking must be "man and things are same or not same dispute" in that time. This dispute was "Human beings is not different from things". Because of that, the poetry and the paintings were essential. "Chungi-theory" was also very important to study the aesthetic consultation of creating poetry.
      Through "Chungi-theory", the best of writing poetry was that writers expressed their emotion naturally when they saw things. In this process of creating poetry, natural things made writer's Chungi abundant, so the multiplicity of Kumgang-san gave writers the power which could make them express their various emotion and feeling. The common feature of Lee Buong-yuon's poetry is that the writer's emotion and expression, therefore Lee Buong-yuon's poetry was 'true-view poem' with 'true-view landscape painting' that was popular at that time.
      The other aesthetic consultation was about form and spirit which was linked to create paintings. The past painting should just real things or only expression of mentality. In the 18th century, both of them tried to be covered and mixed together. It was not good to express just form, and to emphasis only mentality of matter. These consultation's best example is Kyomjae Chong Son's paintings. Kyomjae didn't express just real Kumgang-san. He created his own Kumgang-san under this thinking, and so this is very worthy because his works is creating based tradition.
      The poetry and the paintings which's matter is Kumgang-san was founded that thinking and the aesthetic consultation. And after both war in 1592 and 1636, we realized about next coutries, and saw our things in a new light. This new understanding thought the importance of expressing human being's emotion.
      Finally, in the 18th century, poetry and paintings were created and discussed all together. But we are dividing into two such as western departmental studying theories. These individual studyings have to be sublated. It is a time to study two of them together. We need general vision to put together individual studyings. I want this paper to make a stepping-stone of general study.
      번역하기

      This paper is looking into the artic historical meaning of poetry and paintings which's matters are Kumgang-san in the 18th century. Before the 18th century, there were also a lot of works about Kumgang-san, but in the 18th century used Kumgang-san b...

      This paper is looking into the artic historical meaning of poetry and paintings which's matters are Kumgang-san in the 18th century.
      Before the 18th century, there were also a lot of works about Kumgang-san, but in the 18th century used Kumgang-san by artic material, all kinds of art were come out simultaneously. This is a distinguishing mark. The poetry and the paintings of the 18th century were put as works of high level. At that time, the poetry and the paintings didn't exist separately. They were created together under the same influence. Because of this thinking, in the 18th century, everybody thought "poetry and paintings are one" or they have the same style and origin.
      The present writer thinks the 18th century's poetry and paintings of Kumgang-san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y are showing the distinguishing mark.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achun Lee Buong-yuon and Kyomjae Chong Son, they were given influence to each other. This is s good example to understand the 18th century's poetry and paintings realated. And we need a method of this study. The best method of this study is after investigating poetry and paintings, and that find something in common between both of them.
      In this thesis, at first, I found out the common feature between Sachun Lee Buong-yuon's works and Kyomjae Chong Son's works aftercomparing them's poetry and paintings. The common feature of them's works are below, 1) They were influenced very much by Kim Chang-hup of nack-theory, 2) They found out the valuableness of Korean land and tradition because of Chungi-theory, so they could create new poetry and painting which were very different from Chinese things.
      Second, I touched upon the supporting thinking and the aesthetic consultation which could come out new poetry and paintings. The best important supporting thinking must be "man and things are same or not same dispute" in that time. This dispute was "Human beings is not different from things". Because of that, the poetry and the paintings were essential. "Chungi-theory" was also very important to study the aesthetic consultation of creating poetry.
      Through "Chungi-theory", the best of writing poetry was that writers expressed their emotion naturally when they saw things. In this process of creating poetry, natural things made writer's Chungi abundant, so the multiplicity of Kumgang-san gave writers the power which could make them express their various emotion and feeling. The common feature of Lee Buong-yuon's poetry is that the writer's emotion and expression, therefore Lee Buong-yuon's poetry was 'true-view poem' with 'true-view landscape painting' that was popular at that time.
      The other aesthetic consultation was about form and spirit which was linked to create paintings. The past painting should just real things or only expression of mentality. In the 18th century, both of them tried to be covered and mixed together. It was not good to express just form, and to emphasis only mentality of matter. These consultation's best example is Kyomjae Chong Son's paintings. Kyomjae didn't express just real Kumgang-san. He created his own Kumgang-san under this thinking, and so this is very worthy because his works is creating based tradition.
      The poetry and the paintings which's matter is Kumgang-san was founded that thinking and the aesthetic consultation. And after both war in 1592 and 1636, we realized about next coutries, and saw our things in a new light. This new understanding thought the importance of expressing human being's emotion.
      Finally, in the 18th century, poetry and paintings were created and discussed all together. But we are dividing into two such as western departmental studying theories. These individual studyings have to be sublated. It is a time to study two of them together. We need general vision to put together individual studyings. I want this paper to make a stepping-stone of general stu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그림목차 = iii
      • 논문개요 = iv
      • I. 서론
      • 1. 문제 제기 및 연구사 검토 = 1
      • 목차
      • 그림목차 = iii
      • 논문개요 = iv
      • I. 서론
      • 1. 문제 제기 및 연구사 검토 = 1
      • 2.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 = 6
      • II. 금강산 시와 그림의 형상화 양상 = 8
      • 1. 사천 이병연과 겸재 정선의 관계 = 8
      • 2. 사천과 겸재의 금강산을 다루는 방식 = 14
      • (1) 사천과 겸재의 금강산 여행 = 15
      • (2) 시인이 쓴 금강산 = 16
      • (3) 화가가 그린 금강산 = 24
      • (4) 시화일률의 금강산 = 31
      • III. 17, 8세기의 철학사상 및 미학적 동향 = 44
      • 1. 인물성동이논쟁 = 45
      • 2. 천기론의 부각 = 48
      • (1) 천기와 홍의 관계 = 49
      • (2) 홍의 매개물로서 부각되는 산수 = 54
      • 3. 형과 신에 관한 논의 = 57
      • IV. 당대인들의 시와 그림에 대한 인식 = 63
      • 1. 당대인들의 시에 대한 인식 = 67
      • 2. 당대인들의 그림에 대한 인식 = 70
      • 3. 18세기 금강산 시와 그림의 예술사적 의의 = 74
      • V. 결론 = 81
      • 참고문헌 = 84
      • ABSTRACT = 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