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기독교적 출산관이 출산의지 및 자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Christian Perspective Childbirth on Childbirth Intention and Number of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006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의 해소에 있어 기독교적 신앙관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부모의 기독교적 출산관이 출산의지 및 자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과학적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의 해소에 있어 기독교적 신앙관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부모의 기독교적 출산관이 출산의지 및 자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과학적 연구법과 심리통계학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부모의 출산의지 및 자녀수에 있어 기독교적 출산관을 자녀돌봄지원의 영향력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기독교적 출산관의 영향력의 정도에 대해서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저출산 문제 해결에 있어 기독교계의 역할과 사명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부모 309명(평균 연령, 37.49세)을 대상으로 기독교적 출산관, 출산의지, 3측면에서의 자녀수(현재 자녀수, 최종적 자녀수, 이상적 자녀수), 자녀돌봄지원의 정도에 대해서 구조화된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만들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자료를 심리통계학적 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기독교적 출산관의 정도가 높을수록 출산에 대한 의지만이 아니라, 최종적 자녀수 및 이상적 자녀수에 대한 기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출산의지 및 자녀수에 있어 기독교적 출산관의 영향력은 자녀돌봄지원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자녀를 많이 갖는 것이 하나님의 축복이며 신앙인의 본분이라고 하는 기독교적 출산관이, 한국사회의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하나의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hristian beliefs on the problem of low birth in Korea by using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 and psychological statistical method. In addition,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impact of chr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hristian beliefs on the problem of low birth in Korea by using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 and psychological statistical method. In addition,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impact of christian perspective on childbirth and child care support on the parental childbirth will and number of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Christian mission and mission in resolving the low birth problem. This review confirms the importance of Christianity in solving the problem of low birth. Th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309 parents (mean age, 37.49 years) with the number of children (current number of children, final number of children, ideal number of childre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As a result of psychometric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higher the degree of christian perspective on childbirth, the higher the expectations for the final number of children and the ideal number of c hildren, as well as the willingness to give birth. Second, the influence of christian perspective on childbirth is greater in the childbirth intention and number of children than the child care suppor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christian perspective on childbirth, which is the blessing of God with many children, can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solving the problem of low birth in Korean socie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원, "한국의 출산장려정책 인식도 및 정책신뢰도에 관한 연구" 2010

      2 문우일, "한국의 저출산·고령화 대응 정책 비판과 기독교계 참여 가능성에 대한 탐색" 한국실천신학회 (52) : 799-825, 2016

      3 장승희, "한국의 저출산 요인과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1 : 1-21, 2014

      4 강병오, "한국 개신교의 사회적 신뢰 실추 원인과 대책" 기독교신학연구소 (41) : 61-84, 2012

      5 박삼경, "통일신학에서 본 통일의 의미와 교회의 역할" 49 : 33-62, 2016

      6 이미옥, "출산장려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331-350, 2015

      7 신효영,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치관과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사회적 인식" 대한가정학회 47 (47): 123-136, 2009

      8 신효영,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정책 분석 -충청남도 시․군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 13 (13): 205-227, 2008

      9 이삼식, "제3차 저출산ㆍ고령사회기본계획의 성공적 이행을 위한 전략과 조건: 저출산 대책을 중심으로" 6-17, 2016

      10 김태헌, "제3차 저출산 대책이 과거와 다른 점" (2) : 12-19, 2016

      1 노원, "한국의 출산장려정책 인식도 및 정책신뢰도에 관한 연구" 2010

      2 문우일, "한국의 저출산·고령화 대응 정책 비판과 기독교계 참여 가능성에 대한 탐색" 한국실천신학회 (52) : 799-825, 2016

      3 장승희, "한국의 저출산 요인과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1 : 1-21, 2014

      4 강병오, "한국 개신교의 사회적 신뢰 실추 원인과 대책" 기독교신학연구소 (41) : 61-84, 2012

      5 박삼경, "통일신학에서 본 통일의 의미와 교회의 역할" 49 : 33-62, 2016

      6 이미옥, "출산장려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331-350, 2015

      7 신효영,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치관과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사회적 인식" 대한가정학회 47 (47): 123-136, 2009

      8 신효영,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정책 분석 -충청남도 시․군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 13 (13): 205-227, 2008

      9 이삼식, "제3차 저출산ㆍ고령사회기본계획의 성공적 이행을 위한 전략과 조건: 저출산 대책을 중심으로" 6-17, 2016

      10 김태헌, "제3차 저출산 대책이 과거와 다른 점" (2) : 12-19, 2016

      11 방문규, "제3차 저출산 대책의 주요 내용" (2) : 1-11, 2016

      12 정윤순, "정부 저출산 대책 Bridge Plan 2020" 23-34, 2016

      13 남정은, "젊은 세대의 양육과 관련된 가치관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441-460, 2013

      14 이유미, "전통육아방식에 대한 부모세대와 조부모세대간 인식 비교 연구" 아시아문화연구소 29 : 267-299, 2013

      15 노병만, "저출산현상의 원인에 대한 개념구조와 정책적 검토" 대한정치학회 21 (21): 179-207, 2013

      16 정재영, "저출산의 원인과 대책 - 종교사회학의 관점에서 -"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15 : 181-201, 2008

      17 김순은, "저출산ㆍ고령사회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로 인한 대응책" 대한지방행정공제회 66 (66): 26-29, 2017

      18 김성건,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한국교회"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9 (29): 77-106, 2015

      19 김민곤, "저출산 정책으로써 출산장려금의 정책 효과성 연구: 서울 25개 자치구들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소 30 (30): 163-190, 2016

      20 마미정, "저출산 시대의 아동양육과 가족지원을 위한 아동복지 정책 탐구" 4 : 101-122, 2006

      21 정상천, "저출산 문제 극복사례: 프랑스 사례연구"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5 (35): 327-360, 2014

      22 정성호, "저출산 대책,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인구학회 38 (38): 113-134, 2015

      23 김용익, "저출산 대책 10년 평가: 성과와 과제" 현대경제연구원 (1) : 6-9, 2016

      24 조흥식, "저출산 대책 10년 평가: 성과와 과제" 현대경제연구원 (1) : 1-5, 2016

      25 여한구, "저출산 고령시대의 목회설계"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9 : 118-146, 2013

      26 이은미, "장애인에 대한 기독교적 접근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 연구" 기독교신학연구소 (42) : 215-246, 2013

      27 김정미, "자발적 무자녀가족의 선택 동기와사회적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31 (31): 79-95, 2013

      28 남정은, "자녀양육 양상을 통해 본 저출산 문제의 이해 -1980년대 중반~2000년대 신문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53-78, 2013

      29 玄正煥, "일본의 소자화 문제에 대한 대책과 과제" 한국일본학회 (59) : 599-612, 2004

      30 홍예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가족 응집성 및 가족 유연성의 관계: 아버지의 양육 분담의 조절효과" 육아정책연구소 11 (11): 105-125, 2017

      31 최항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심리특성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효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8157-8164, 2015

      32 박은숙, "우리나라 저출산의 실태와 국가정책의 한계에 대한 연구: 양육휴직제도를 중심으로" 그리스도대학교 출판부 16-, 2016

      33 곽승주, "영유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자녀가치와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185-209, 2017

      34 남국현, "여성의 결혼과 출산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여성경제학회 13 (13): 25-52, 2016

      35 김양은, "여대생들의 출산 및 양육, 자녀가치관을 통해 살펴본 저출산에 관한 이해" 열린부모교육학회 8 (8): 121-140, 2016

      36 임효진, "어머니의 심리적, 관계적 변인과 양육스트레스, 후속 출산의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297-318, 2015

      37 박성덕, "어머니가 인지한 아버지 양육참여 및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193-212, 2016

      38 현정환, "양육 및 아이의 가치에 대한 어머니의 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보육연구소 (12) : 41-55, 2013

      39 김상림, "아버지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지가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심리특성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7 (27): 451-464, 2016

      40 김은정, "손자녀 양육지원가정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영향요인"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9) : 237-259, 2014

      41 정순둘, "손자녀 돌봄의 종단적 유형과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조사연구학회 16 (16): 45-73, 2015

      42 한혜빈, "선교적 차원에서 바라본 한국의 다문화 가정" 기독교신학연구소 (44) : 299-337, 2014

      43 이동욱, "새로운 가족 문화는 저출산 극복의 첫 걸음" 236 : 2-4, 2016

      44 김현식, "부모동거가 첫째자녀 출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5-32, 2012

      45 정은영, "맞벌이 가정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직무만족도 및 배우자의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소 9 (9): 201-226, 2015

      46 정문경, "마인풀니스(mindfulness)가 지각된 배우자지지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검증" 한국상담학회 13 (13): 2589-2606, 2012

      47 김진희,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자녀관에 관한 연구-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8 (18): 1-15, 2014

      48 조성호, "노동과 기독교 영성-기독교 영성의 영역확대를 위한 연구" 기독교신학연구소 (44) : 83-118, 2014

      49 이연숙, "남녀 대학생의 가족가치관 유형에 따른 자녀출산에 대한 인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 (20): 109-140, 2016

      50 정은희,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계획 및 출산과 관련된 요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5-34, 2013

      51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52 허도화, "교회의 사회적 영성 회복: 공동예배를 통한 사회화 훈련을 중심으로" 50 : 195-232, 2017

      53 신승범,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생활교육의 기독교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 기독교신학연구소 (43) : 307-329, 2013

      54 현정환, "韓国の母親の生き方について:少子化現象が深刻化している最近の傾向との関係で(한국 어머니의 삶에 대해서: 저출산 현상이 심각한 최근 경향과의 관계에서)" 일본히로시마대학 유아교육연구소 27 : 89-98, 2005

      55 牧陽子, "産める国フランスの子育て事情" 明石書店 2014

      56 Hayford, S. R., "Religiosity and Fertility in the United States: The Role of Fertility Intentions" 86 : 1163-1188, 2008

      57 OECD, "OECD Family Database" OEC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5-05-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신학과선교 -> 신학과 선교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2009-06-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목회선교연구소 -> 기독교신학연구소
      영문명 :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 Christian Theology Institute Center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