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체육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체육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를 결정 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909832
청주 : 충북대학교, 2018
학위논문(석사) --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 체육학과전공 , 2018. 8
2018
한국어
692.07 판사항(5)
충청북도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Students
vii, 56 p. : 표 ; 26 cm.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지도교수:변재경
참고문헌 : p.46-50
I804:43009-00000005100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체육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체육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를 결정 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
본 연구는 체육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체육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를 결정 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7년 대구, 인천, 충북 체육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선수 514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중 연구자가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설문지와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86부를 제외하고 총 428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첫째, 체육 고등학교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문제해결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문제해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년에 따른 차이에서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서 전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하위요인 목표선택, 미래계획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1학년이 2학년, 3학년보다 목표선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계획은 1학년과 3학년이 2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1학년이 2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수준에서는 전체 진로결정수준과 하위요인 진로선택수준, 진로결정수준 모든 요인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1학년이 2학년, 3학년보다 진로선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진로결정수준과 하위요인 진로결정수준은 1학년이 2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 고등학교 운동종목에 따른 차이에서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목표선택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기록종목이 점수종목보다 목표선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육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목표선택, 미래계획, 직업정보, 문제해결이 진로결정수준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목표선택, 미래계획, 직업정보, 문제해결이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students to career decision level and provide basic data contributing to career decision making of students. To achieve this, the study condu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students to career decision level and provide basic data contributing to career decision making of students. To achieve this, the study conducted survey targeting 514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students from Daegu, Incheon and Chungbuk in 2017. Excluding 86 copies with insincere reponses, the study used 428 cooties for final analysis. First, as for the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gender of student, there was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the subcategory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male students had higher problem solving ability that female students. Second, as for the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grade, there was difference in goal selection, future plan, the subcategorie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first grade had higher goal selection than second and third grade. As for the future plan, first and third grade were higher than second grade, and as for the entir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first grade was higher than second grade. As for the career decision level, the entire career decision level, and its subcategories; career selection level, career decision level all had difference. The first grade had higher career selection level than second and third grade. As for the entire career decision level and subcategory career decision level, first grade was higher than second grade. Third, as for the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ype of sports, there was difference in goal selection, the subcategory of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and record sports was higher than score sports. Fourth, as the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tudents, subcategory of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such as goal selection, future plan, job information, problem solv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decision level. According toe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to career decision level, subcategory of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such as goal selection, future plan, job information, problem solving had significant influence of career decision level.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