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선거구획정과 민주주의 -선거구획정주체를 중심으로- = Redistricting Constituency and Democracy - Focusing on Boundary Commissi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623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a question of who will be given the authority to determine the key elements of the election by the means of realizing representative democracy. Depending on who the constituent entity is, the political interests reflected in the definition proce...

      It is a question of who will be given the authority to determine the key elements of the election by the means of realizing representative democracy. Depending on who the constituent entity is, the political interests reflected in the definition process vary, and ultimately, the will of the people is reflected in the definition plan through the constituent entity. In the UK,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he authority of constituency was delegated to various types of subjects based on the political culture and historical experiences of each country. Review this comparatively and diagnos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current Boundary Commission.
      The current Boundary Commission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balance of democratic legitimacy and independence, but there are clearly limitations as an temporary organiz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sure a stable period of activity as a permanent organization. Furthermore, in order to accurately reflect various interes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iversity and expertise of the composition of the commission.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utilize the period of activities and strengthen the expertise of the commission by utilizing the recently developing redistricting algorithm. In the end, redistricting is the work of finding the optimal number to preserve the voting value equally. As the optimal constituency changes at every point according to political interests and the will of the people, it is difficult to find a perfect answer. However, it is necessary to seriously consider the improvements of the current system in that it can lay the foundation for realizing a more mature representative democracy in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system by strengthening the democratic and procedural legitimacy of the constituent ent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선거구획정주체는 결국 대의제 민주주의의 실현수단이 선거의 핵심요소를 결정할 권한을 누구에게 부여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선거구획정주체가 누구인지에 따라 획정과정에 반영되는 정...

      선거구획정주체는 결국 대의제 민주주의의 실현수단이 선거의 핵심요소를 결정할 권한을 누구에게 부여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선거구획정주체가 누구인지에 따라 획정과정에 반영되는 정치적 이해관계가 달라지고, 궁극적으로 국민의 의사도 선거구획정주체를 거쳐 획정안에 반영된다. 영국과 미국, 일본에서는 각국의 정치문화와 역사적 경험에 기초하여 선거구획정권한을 다양한 형태의 주체에게 위임하였다. 이를 비교법적으로 검토하고 현행 선거구획정위원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진단한다.
      현행 선거구획정위원회는 민주적 정당성과 독립성의 균형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나, 비상설기구로서의 한계가 명확하게 존재한다. 이에 상설기구로 안정적인 활동기간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다양한 이해관계를 정확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획정위원회 구성의 다양성과 전문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한편 최근 발전하고 있는 선거구획정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획정위원회의 활동기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획정위원회의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다. 선거구획정은 결국 투표가치를 평등하게 보전할 수 있는 최적의 수를 찾는 작업이다. 최적의 선거구는 정치적 이해관계와 국민의 의사에 따라 매 시점 변화하는 만큼, 완벽한 하나의 해답이 존재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선거구획정주체의 민주적 정당성과 절차적 정당성을 강화하여 제도를 개선하는 과정 속에서 대의제 민주주의를 보다 성숙하게 실현할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행 제도의 개선점을 진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영수, "헌법학" 홍문사 2017

      2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8

      3 박정훈, "행정법의 구조와 기능" 박영사 2008

      4 박균성, "행정법론(上)" 박영사 2019

      5 김동희, "행정법Ⅰ" 박영사 2021

      6 김철용, "행정법" 고시계사 2014

      7 강휘원, "투표의 등가성을 위한 선거구획정의 정치와 기법" 35 (35): 2001

      8 송병권,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사용한 당파적 게리맨더링 분석: 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7 (17): 43-68, 2018

      9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 "제21대 국회의원선거 선거구획정 백서" 2020

      10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 "제20대 국회의원선거 선거구획정 백서" 2016

      1 장영수, "헌법학" 홍문사 2017

      2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8

      3 박정훈, "행정법의 구조와 기능" 박영사 2008

      4 박균성, "행정법론(上)" 박영사 2019

      5 김동희, "행정법Ⅰ" 박영사 2021

      6 김철용, "행정법" 고시계사 2014

      7 강휘원, "투표의 등가성을 위한 선거구획정의 정치와 기법" 35 (35): 2001

      8 송병권,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사용한 당파적 게리맨더링 분석: 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7 (17): 43-68, 2018

      9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 "제21대 국회의원선거 선거구획정 백서" 2020

      10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 "제20대 국회의원선거 선거구획정 백서" 2016

      11 강휘원, "제20대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의 지역대표성 강화 방안" 한국정치연구소 24 (24): 121-150, 2015

      12 소은영, "일본의 선거구획정에 대한 헌법적 검토"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연구원 2019

      13 강휘원, "일본 선거구획정의 사법적 구제" 대한정치학회 14 (14): 177-200, 2006

      14 성중탁, "우리나라 선거구 획정제도의 쟁점과 개선방안" 대한변호사협회 (490) : 25-47, 2020

      15 강휘원, "영국과 한국의 선거구획정위원회: 정치적 환경, 운영, 개혁방향" 한국정치학회 36 (36): 343-364, 2002

      16 이용복, "선거법강의" 박영사 2021

      17 정만희, "선거구획정의 기본문제 -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의 문제점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한국비교공법학회 13 (13): 117-154, 2012

      18 서복경, "선거구획정: 해외 제도와 적용 사례" 국회입법조사처 7 (7): 27-55, 2015

      19 지병근, "선거구 획정의 정치과정: 제21대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 사례 분석" 한국정당학회 20 (20): 107-144, 2021

      20 이상운, "선거구 획정 문제의 분할정복 알고리즘"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 (20): 101-106, 2015

      21 임기영, "미국의 선거구 획정에 관한 헌법적 쟁점과 최근의 변화"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연구원 2020

      22 김영진, "미국에서의 선거구획정 및 게리맨더링에 관한 법적 논의: 우리의 국회의원 지역선거구획정 관련문제에의 시사점" 법학연구원 (80) : 39-74, 2016

      23 임동근,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의 지리학적 고찰" 2016

      24 국회입법조사처,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2012

      25 김명진 ; 김감영, "공간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 -용인시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 48 (48): 387-401, 2013

      26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각국의 선거제도 비교표: 별책" 2019

      27 "https://www.soumu.go.jp/main_sosiki/singi/senkyoku/senkyoku_shingi.html"

      28 "https://www.ncsl.org/"

      29 "https://boundarycommissionforengland.independent.gov.uk/"

      30 "http://www.bcereviews.org.uk/"

      31 Cain, Bruce E., "Redistricting commissions: A better political buffer" 121 : 2011

      32 Annie Lo, "Citizen and Legislative Efforts to Reform Redistricting in 2018" Brennan Ctr. for Just 2018

      33 "Boundary Commission for England" 1947

      34 Zhang, Emily Rong, "Bolstering Faith with Facts: Supporting Independent Redistricting Commissions with Redistricting Algorithms" 109 (109): 2021

      35 김종갑, "2020년 총선 선거구획정위원회 구성 및 운영 관련 쟁점 및 고려사항" 32 (32):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5-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angwon Law Review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86 1.122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