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교직원의 직무만족 영향 요인으로 직무전반, 보육교직원 급여체제, 근무환경, 사회적 지지, 보육 전문성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고 보육교직원의 일반적 사항에 따른 직무만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311796
광주 :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학위논문(석사) --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 2019. 8
2019
한국어
광주
65 ; 26 cm
지도교수: 김경란
I804:24005-20000022553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직원의 직무만족 영향 요인으로 직무전반, 보육교직원 급여체제, 근무환경, 사회적 지지, 보육 전문성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고 보육교직원의 일반적 사항에 따른 직무만족...
본 연구는 보육교직원의 직무만족 영향 요인으로 직무전반, 보육교직원 급여체제, 근무환경, 사회적 지지, 보육 전문성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고 보육교직원의 일반적 사항에 따른 직무만족의 영향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직원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이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354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육교직원은 직무만족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에 나타내는 직무전반, 보육교직원 급여체제, 근무환경, 사회적 지지, 보육 전문성 요인 중 보육 전문성이 가장 높은 직무만족을 보였다.
이에 보육교직원의 직무전반에 대한 직무만족은 대체적으로 만족스러운 것으로 분석되고, 보육교직원 급여체제에 대한 직무만족은 근무환경의 전체 평균보다는 높은 직무만족에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근무환경에 대한 직무만족은 교육활동 이외의 업무로 전문 인력이 고용과 개인생활에 충분한 시간이 제공되고 있지 못하여 근무환경에 만족을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직원의 직무만족 요인 중 사회적 지지에 대한 만족은 가장 불만족하고 있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에 비해 보육교직원이 사회적으로 지위가 낮게 인식하여 불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육교직원의 직무만족 요인 중 보육 전문성에 대한 직무만족에 결과는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보육교직원의 일반적 사항에 따른 직무만족 차이는 연령에 따른 직무만족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사회적지지, 보육 전문성의 만족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직무전반과 보육교직원 급여체제, 근무환경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격증에 따른 직무만족 차이 결과는 직무전반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보육교직원 급여체제, 근무환경, 사회적 지지, 보육 전문성에서 보육교사보다 원장의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보육교직원의 근무경력에 따른 직무만족 차이는 직무전반, 근무환경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육교직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보육교직원 급여체제, 사회적 지지, 보육 전문성으로 분석되었다. 즉, 보육교직원 급여체제와 사회적 지지, 보육 전문성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사회적지지 요인이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보육교직원은 사회적 변화에 따라 보육기능에 관련된 전문지식을 갖추고, 교육을 통해 교사로서의 자질과 보육역할을 수행함이 중요하다. 앞으로 4차 산업시대에 맞는 보육역할과 역량이 요구됨으로 보육교직원의 보육 전문성을 유지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보수교육을 체계적으로 지속관리 되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