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발굴 『古芸堂筆記』 검토 = The Study of newly found Goundangpilgi : Especially on the Recomposition and the Modification of Manuscrip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36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일부만 현전하고 있는 『고운당필기』의 稿本 및 수정 과정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신발굴한 『고운당필기』 필사본을 통해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12개 항목을 새롭게 소개하였다. 따라서 『고운당필기』는 총295개 항목중 41개 항목만 미확인으로 남게 되었다. 또한 『고운당필기』의 성격을 알아보기 위해 내용과 서술형식에 따라 분류 및 분석하였다. 내용상으로는 歷史, 名物, 異聞, 詩文, 恩典 등 14개로 분류하였고, 서술형식으로는 讀書箚錄, 見聞著錄, 考證摘錄, 直中紀錄, 資料抄錄, 傳言採錄, 感想雜錄 등 7개로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고운당필기』가 비망적 성격의 저술이라기보다는 유득공 일생의 학문적 관심이 집약된 의도된 저작으로 규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운당필기』의 수정 과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고운당필기』의 초기 書名이 『恩暉堂筆記』였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 아울러 『고운당필기』의 유통본은 유득공이 직접 정리한 6권 3책 본이 아닌 抄略本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유득공 사후 그의 후손들에 의해 초략본으로 재편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그 방증으로 초략본에서는 유득공의 개인적인 기록이 모두 누락되어 있다는 점을 들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일부만 현전하고 있는 『고운당필기』의 稿本 및 수정 과정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신발굴한 『고운당필기』 필사본을 통해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12개 항목...

      본 논문은 일부만 현전하고 있는 『고운당필기』의 稿本 및 수정 과정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신발굴한 『고운당필기』 필사본을 통해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12개 항목을 새롭게 소개하였다. 따라서 『고운당필기』는 총295개 항목중 41개 항목만 미확인으로 남게 되었다. 또한 『고운당필기』의 성격을 알아보기 위해 내용과 서술형식에 따라 분류 및 분석하였다. 내용상으로는 歷史, 名物, 異聞, 詩文, 恩典 등 14개로 분류하였고, 서술형식으로는 讀書箚錄, 見聞著錄, 考證摘錄, 直中紀錄, 資料抄錄, 傳言採錄, 感想雜錄 등 7개로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고운당필기』가 비망적 성격의 저술이라기보다는 유득공 일생의 학문적 관심이 집약된 의도된 저작으로 규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운당필기』의 수정 과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고운당필기』의 초기 書名이 『恩暉堂筆記』였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 아울러 『고운당필기』의 유통본은 유득공이 직접 정리한 6권 3책 본이 아닌 抄略本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유득공 사후 그의 후손들에 의해 초략본으로 재편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그 방증으로 초략본에서는 유득공의 개인적인 기록이 모두 누락되어 있다는 점을 들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amined the modification of manuscript of Goundangpilgi which was not whole remained. For this purpose theis thesis introduced 12 articles in the newly found Goundangpilgi. So there are only 41 article of 295 which are unidentified. Also it was classified and examined by contents and form of description to disclose the character of Goundangpilgi. By contents, it was classified 14 items such as history, specialty, strange gossip, poetry and prose, special favor etc. By form of description, it was classified 7 items such reading abstract(讀書箚錄), experience abstract(見聞著錄), historical research abstract(考證摘錄), night duty record(直中紀錄) reference abstract(資料抄錄), message recording(傳言採錄), appreciating miscellaneous records(感想雜錄). Through this classification, it was revealed that Goundangpilgi was not a memorandum, but a intended work on which Yu Deuggong's academic interest was concentrated. Finally, the modification of manuscript of Goundangpilgi was examined. In the beginning, the name of the book was Eunhuidangpilgi, that was the new fact. And the present circulated verion was not the author's anthology which was 6books and 3 volumes, but a omitted version. Probably the book was omitted and reorganised by the descendent of Yu. Because all of his personal record was deleted in the omitted version.
      번역하기

      This thesis examined the modification of manuscript of Goundangpilgi which was not whole remained. For this purpose theis thesis introduced 12 articles in the newly found Goundangpilgi. So there are only 41 article of 295 which are unidentified. Also ...

      This thesis examined the modification of manuscript of Goundangpilgi which was not whole remained. For this purpose theis thesis introduced 12 articles in the newly found Goundangpilgi. So there are only 41 article of 295 which are unidentified. Also it was classified and examined by contents and form of description to disclose the character of Goundangpilgi. By contents, it was classified 14 items such as history, specialty, strange gossip, poetry and prose, special favor etc. By form of description, it was classified 7 items such reading abstract(讀書箚錄), experience abstract(見聞著錄), historical research abstract(考證摘錄), night duty record(直中紀錄) reference abstract(資料抄錄), message recording(傳言採錄), appreciating miscellaneous records(感想雜錄). Through this classification, it was revealed that Goundangpilgi was not a memorandum, but a intended work on which Yu Deuggong's academic interest was concentrated. Finally, the modification of manuscript of Goundangpilgi was examined. In the beginning, the name of the book was Eunhuidangpilgi, that was the new fact. And the present circulated verion was not the author's anthology which was 6books and 3 volumes, but a omitted version. Probably the book was omitted and reorganised by the descendent of Yu. Because all of his personal record was deleted in the omitted ver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유득공 저작과 『古芸堂筆記』 槪觀
      • 3. 신발굴 『古芸堂筆記』 검토
      • 4. 『古芸堂筆記』의 성격
      • 국문초록
      • 1. 서론
      • 2. 유득공 저작과 『古芸堂筆記』 槪觀
      • 3. 신발굴 『古芸堂筆記』 검토
      • 4. 『古芸堂筆記』의 성격
      • 5. 『古芸堂筆記』의 修正 과정 검토
      • 6.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진, "「유득공의 생애와 교유, 年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7) : 5-44, 2007

      2 박철상, "조선 金石學史에서 柳得恭의 위상"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7) : 45-78, 2007

      3 김윤조, "고운당필기 연구 -諸 異本에 대한 검토-"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6) : 375-408, 2007

      4 李光揆, "靑莊館全書"

      5 柳本藝, "樹軒集"

      6 김윤조, "古芸堂筆記 연구 -신발견 자료의 내용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7) : 187-216, 2007

      7 柳得恭, "古芸堂筆記 권3∼4"

      8 柳得恭, "古芸堂筆記"

      1 김영진, "「유득공의 생애와 교유, 年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7) : 5-44, 2007

      2 박철상, "조선 金石學史에서 柳得恭의 위상"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7) : 45-78, 2007

      3 김윤조, "고운당필기 연구 -諸 異本에 대한 검토-"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6) : 375-408, 2007

      4 李光揆, "靑莊館全書"

      5 柳本藝, "樹軒集"

      6 김윤조, "古芸堂筆記 연구 -신발견 자료의 내용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7) : 187-216, 2007

      7 柳得恭, "古芸堂筆記 권3∼4"

      8 柳得恭, "古芸堂筆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Http://Www.Daedonghanmunhak.Co.Kr -> http://www.daedonghanmun.or.kr/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1 1.49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