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의 마모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환자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거친 완전구강회복술은 교합관계, 심미, 안모를 회복하고 마모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 마모된 치열의 수복은 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07202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79-290(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치아의 마모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환자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거친 완전구강회복술은 교합관계, 심미, 안모를 회복하고 마모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 마모된 치열의 수복은 상...
치아의 마모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환자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거친 완전구강회복술은 교합관계, 심미, 안모를 회복하고 마모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 마모된 치열의 수복은 상하악 전 치열에 걸쳐 시행되어야 하며 한쪽 악궁의 치열에만 수복이 시행될 경우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상하악 치열에 전반적인 마모가 있던 환자로 전악 보철 수복이 필요하였으나 환자의 요구로 상악만 먼저 수복하였다가 이후 합병증 발생으로 인해 하악을 수복하였다. 본 증례의 환자를 치료하면서 발견한 전반적인 치아 마모를 가진 환자에서 상악만 보철 수복한 경우의 문제점과 하악 수복 과정에서 이를 해결한 방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ar of teeth occurs due to various reasons, and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an accurate diagnosis of the patient can restore the occlusal relationship, aesthetics, and facial appearance and prevent the progression of wear. Restoration of worn dent...
Wear of teeth occurs due to various reasons, and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an accurate diagnosis of the patient can restore the occlusal relationship, aesthetics, and facial appearance and prevent the progression of wear. Restoration of worn dentition must be performed throughout the entire upper and lower arch. If restoration is performed only on the dentition of single arch, various problems may occur. The patient in this case had generalized wear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dentition and required full-mouth rehabilitation. However, due to the patient’s request, only the maxillary arch was rehabilitated first, and later, due to complications, the mandibular arch was rehabilitated. Purpose of this case report is to consider the problems when only the maxillary full arch was rehabilitated in a patient with generalized tooth wear, and how these were resolved during the mandibular full arch rehabilitation process.
치조골 흡수가 심한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하악 총의치 인상채득 방식에 따른 지지영역 차이 및 유지력 비교 증례
한국인의 구강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건강 수준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