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술 교과 중심 융합인재교육(STEAM) 실천 방안 - 미술교과 수업 사례 중심으로 - = A Study on Practice of, art centered STEAM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759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ociety is transforming rapidly and the education is seeking efficient strategies to raise students for the future. One of the strategies the government supported was convergence education, STEAM. STEAM is not mere convergence of knowledge but fetches further by integrating the learning experiences to yield productive outputs for one's skill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nse of the community. The Ministry of Education emphasized convergence education by announcing 2009curriculum which incorporated the concept of convergence education. Since no independent convergence subject was offered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sson plans need to be formulated bringing convergence concepts from various subject matters. Consequently the students need to understand the basic academic concepts from at least two subjects. The class should guide the students to analyze and criticize the convergence concept for new understanding.
      This study, thereby, provides a developed convergence education models using arts subjects. Firstly, the arts convergence class model is utilized in the arts class using the arts subject to bring integration of other subject matters so that the learning can be expanded with depth. Secondly, the relational class model utilizes inter-arts content, linking art-humanity, and art-science subjects, in which the students can administer a project involving core concepts, knowledge, attitude and functional skills. Third,reconstructive class model facilitates newly formulated curriculum through modification or re-creation beyond the existing curriculum. This class model can utilize creative learning class to increase hours for the class.
      번역하기

      The society is transforming rapidly and the education is seeking efficient strategies to raise students for the future. One of the strategies the government supported was convergence education, STEAM. STEAM is not mere convergence of knowledge but fet...

      The society is transforming rapidly and the education is seeking efficient strategies to raise students for the future. One of the strategies the government supported was convergence education, STEAM. STEAM is not mere convergence of knowledge but fetches further by integrating the learning experiences to yield productive outputs for one's skill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nse of the community. The Ministry of Education emphasized convergence education by announcing 2009curriculum which incorporated the concept of convergence education. Since no independent convergence subject was offered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sson plans need to be formulated bringing convergence concepts from various subject matters. Consequently the students need to understand the basic academic concepts from at least two subjects. The class should guide the students to analyze and criticize the convergence concept for new understanding.
      This study, thereby, provides a developed convergence education models using arts subjects. Firstly, the arts convergence class model is utilized in the arts class using the arts subject to bring integration of other subject matters so that the learning can be expanded with depth. Secondly, the relational class model utilizes inter-arts content, linking art-humanity, and art-science subjects, in which the students can administer a project involving core concepts, knowledge, attitude and functional skills. Third,reconstructive class model facilitates newly formulated curriculum through modification or re-creation beyond the existing curriculum. This class model can utilize creative learning class to increase hours for the cla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미래 사회가 ‘가상현실 사회’, ‘인공지능 사회’, ‘꿈과 감성의 사회’, 로 변화되면서 ‘하이컨셉(high concept), ‘하이터치(high touch)’ 등이 주요 경쟁력이 될 것으로 미래학자들은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미래사회에서 높은 국가 경쟁력을 갖기 위해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미래 인재상을 융합형 인재로 제시했다. 융합인재교육(STEAM)은 단순한 교과적 지식의 통합을 넘어 체험 중심으로 사고의 융합을 이끌어 내고, 개인과타인, 사회의 관계 속에서 의미를 만들어 나갈 수 있는 창의적 결과물이 지속적으로산출되도록 해야 한다. 교육부에서 융합인재교육을 강조하면서 2009 개정 교육과정을발표했고, 이에 따라 개발된 교과서에는 융합인재교육의 취지를 반영한 내용들이 포함되었다. 현재 초.중등 학교에서 융합교육을 위한 독립된 교과목이 없기 때문에 교과별 지식들을 근거로 융합적 사고력이 강화 되도록 수업을 계획하여 융합교육을 실천해야 한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는 학습자들이 두 개 이상 교과의 기초 지식을 이해하고, 그 지식들이 융합된 관점에서 현상을 해석하거나 결과물을 산출할 수 있도록 수업이 계획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현장에서 예술 교과 중심으로 융합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방안으로 예술 중심 융합수업의 유형을 제시했다. 첫째, 예술교과내 융합 수업형은 예술 교과 시간에 타 교과 내용을 융합하는 유형으로 예술교과의 내용을 중심으로 타 교과의 관련 내용을 융합하여 교육함으로서 예술교과의 내용을 확장시키며 동시에 심화 시킬 수 있다. 둘째, 교과 연계 수업형은 예술 교과간, 또는 예술-인문, 예술-과학 교과를 연계한 수업형으로 학습자들이 주제 중심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연계 교과의 핵심 개념 및 지식, 기능, 태도 등을 학습하도록 하는 수업형이다.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형은 교육과정을 일방적으로 수용한다는 관점 보다는교육과정을 수정 또는 생성한다는 관점에서 계획한 수업 형으로 예술교과의 심화.확대를 위해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수업형이다.
      번역하기

      미래 사회가 ‘가상현실 사회’, ‘인공지능 사회’, ‘꿈과 감성의 사회’, 로 변화되면서 ‘하이컨셉(high concept), ‘하이터치(high touch)’ 등이 주요 경쟁력이 될 것으로 미래학자들은 예측...

      미래 사회가 ‘가상현실 사회’, ‘인공지능 사회’, ‘꿈과 감성의 사회’, 로 변화되면서 ‘하이컨셉(high concept), ‘하이터치(high touch)’ 등이 주요 경쟁력이 될 것으로 미래학자들은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미래사회에서 높은 국가 경쟁력을 갖기 위해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미래 인재상을 융합형 인재로 제시했다. 융합인재교육(STEAM)은 단순한 교과적 지식의 통합을 넘어 체험 중심으로 사고의 융합을 이끌어 내고, 개인과타인, 사회의 관계 속에서 의미를 만들어 나갈 수 있는 창의적 결과물이 지속적으로산출되도록 해야 한다. 교육부에서 융합인재교육을 강조하면서 2009 개정 교육과정을발표했고, 이에 따라 개발된 교과서에는 융합인재교육의 취지를 반영한 내용들이 포함되었다. 현재 초.중등 학교에서 융합교육을 위한 독립된 교과목이 없기 때문에 교과별 지식들을 근거로 융합적 사고력이 강화 되도록 수업을 계획하여 융합교육을 실천해야 한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는 학습자들이 두 개 이상 교과의 기초 지식을 이해하고, 그 지식들이 융합된 관점에서 현상을 해석하거나 결과물을 산출할 수 있도록 수업이 계획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현장에서 예술 교과 중심으로 융합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방안으로 예술 중심 융합수업의 유형을 제시했다. 첫째, 예술교과내 융합 수업형은 예술 교과 시간에 타 교과 내용을 융합하는 유형으로 예술교과의 내용을 중심으로 타 교과의 관련 내용을 융합하여 교육함으로서 예술교과의 내용을 확장시키며 동시에 심화 시킬 수 있다. 둘째, 교과 연계 수업형은 예술 교과간, 또는 예술-인문, 예술-과학 교과를 연계한 수업형으로 학습자들이 주제 중심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연계 교과의 핵심 개념 및 지식, 기능, 태도 등을 학습하도록 하는 수업형이다.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형은 교육과정을 일방적으로 수용한다는 관점 보다는교육과정을 수정 또는 생성한다는 관점에서 계획한 수업 형으로 예술교과의 심화.확대를 위해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수업형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효, "지식기반사회에서 융합교육을 위한 간학문적 통합교육의 가능성 탐색" 한국문화교육학회 7 (7): 175-200, 2012

      2 김혜영, "융합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융합교육의 방향과 기초융합교과 설계에 대한 제언"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1-38, 2013

      3 홍병선, "융합교육을 통한 기초교양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4 : 140-161, 2011

      4 백윤수,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149-171, 2011

      5 이철현, "실과 교과 중심의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4 (24): 139-161, 2011

      6 Roots-Bernstein, R., "생각의 탄생 - 다빈치에서 파인먼까지 창조성을 빛낸 사람들의 13가지 생각도구" 에코의 서재 2007

      7 Pink, D. A., "새로운 미래가 온다" 한국경제신문사 2008

      8 김정희, "미술영재교육학" 학지사 2011

      9 한국정보화진흥원, "미래연구백서: 데이터로 보는 미래 사회 전망"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10 Yakman, G., "STEAM Education: an overview of creating a model of integrative education" 2007

      1 김정효, "지식기반사회에서 융합교육을 위한 간학문적 통합교육의 가능성 탐색" 한국문화교육학회 7 (7): 175-200, 2012

      2 김혜영, "융합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융합교육의 방향과 기초융합교과 설계에 대한 제언"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1-38, 2013

      3 홍병선, "융합교육을 통한 기초교양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4 : 140-161, 2011

      4 백윤수,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149-171, 2011

      5 이철현, "실과 교과 중심의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4 (24): 139-161, 2011

      6 Roots-Bernstein, R., "생각의 탄생 - 다빈치에서 파인먼까지 창조성을 빛낸 사람들의 13가지 생각도구" 에코의 서재 2007

      7 Pink, D. A., "새로운 미래가 온다" 한국경제신문사 2008

      8 김정희, "미술영재교육학" 학지사 2011

      9 한국정보화진흥원, "미래연구백서: 데이터로 보는 미래 사회 전망"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10 Yakman, G., "STEAM Education: an overview of creating a model of integrative education" 2007

      11 Yakman, G., "Introducing teaching STEAM as a practical educational framework for Korea"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12 한국정보화진흥원, "IT& futures strategy: 트렌드로 보는 미래사회의 5대 특징과 준비 과제. 제8호(10.20.)" 한국정보화진흥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영문명 : Art Education Societ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 Korea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4 0.93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