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문화마을의 주택유형 및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yp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in Munhwa-Ma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0105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90년대 들어 우리나라 마을은 획기적인 전환점과 주거환경개선을 시도하였다. 소위 문화마을로 지칭되고 있는데 그 목적은 농어촌 면지역의 중심(거점)마을 등에 집중 지원하여 생활환경...

      1990년대 들어 우리나라 마을은 획기적인 전환점과 주거환경개선을 시도하였다. 소위 문화마을로 지칭되고 있는데 그 목적은 농어촌 면지역의 중심(거점)마을 등에 집중 지원하여 생활환경을 정비하고, 농촌관광, 농촌체험활동, 소득증대사업 및 생산기반정비사업을 연계 추진함으로써 생활환경과 소득이 조화된 농촌마을로 정비하는 것이다. 이는 교육 또는 문화혜택 등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주민들의 욕망이 실제적으로 젊은층을 중심으로 강하게 일어남으로 이농현상 등 줄어가는 농촌인구를 막고 오히려 기존마을 주민들 뿐 아니라 타지로부터의 주민 유입을 통하여 농촌마을의 새로운 모습이 전개되는 양상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농어촌환경개선사업 중에서 ‘문화마을 조성사업’(정주권 개발)의 결과로 나타난 마을의 현황과 주택 유형 및 공간적 특성을 파악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 마을은 전국적으로 91년부터 97년까지 지구 선정되어 시행된 22개 문화마을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문헌 및 자료조사를 통해 농촌 지역생활권의 단계구성, 마을의 규모 및 주거형식, 그리고 농촌 주택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고, 둘째, 문화마을의 현황 및 주택실태조사로써, 인구, 가구, 농가와 비농가수, 마을의 공공시설 등을 파악하였다. 셋째, 본 조사에서는 주택의 구조유형, 주택의 실 종류와 확보현황, 주택의 평면과 공간적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현재 주민들이 문화마을 주택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요구하는지도 알아보기 위해 P.O.E.를 실시하여 금후 문화마을 조성과 주택설계시 설계기반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마을은 농어촌지역의 정주환경개선을 위하여 조성되어감에 있어 다소의 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단지 주거기능만을 추구하므로 인해 종합적 정주환경조성에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므로, 앞으로 도시와의 관계, 지역문화와의 관계, 주거환경의 개선 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문화마을내 주택의 구조유형은 83.4%가 조적조 주택이다. 최근 콘크리트조, 철골조, 목조등이 다양하게 건립되고 있어 조적조주택 위주에서 새로운 개념의 주택구조가 도입되어지고 있는 실정으로 금후 문화마을주택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가 그 어느 때보다도 시급하다 사료된다.
      셋째, 주택의 형태는 박스형의 평지붕 슬래브 주택이 상당부분 차지하여 전통성의 상실은 물론 주택과 자연경관이 어울리지 않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새롭게 조성되는 문화마을의 경우 주민규약이나 전문가집단의 설계참여 등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개선해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주택의 공간구성은 도시형주택과 유사한 거실 중심평면형이다. 이것은 일상생활권의 확대, 정보교류의 용이함, 생활의 편리성을 추구하는데서 오는 것으로 주로 도시주택, 특히 아파트에서 나타나는 평면형을 취하고 있다. 즉, 삶의 질에 따른 공간적 대응이 도시형 평면으로 전개되는 양상을 파악할 수 있어 지역의 문화와 개인의 주거성 등이 무시되는 대신 유사평면의 도입과 반복적용현상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다섯째, 주택의 실 구성은 거실, 부엌, 화장실, 침실3개가 기본이며, 현관 및 다용도실의 설치율은 높으나 부부화장실, 창고 및 부속사는 선택적이다. 또한 주택의 평균면적은 40평을 전후로 2층 주택이 건립되고 있으며, 주택의 기능은 거실 중심형과 코리드형으로 대별 할 수 있는데, 융통성과 가변성이 유리한 거실 중심형이 대부분이다.
      여섯째, 농가와 비농가 주택의 만족도 비교에서는 주택의 난방·환기·건조공간(0.05), 욕실온수(0.10)의 경우에는 농가와 비농가 두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이루며 분산이 같다고 가정되었으며, 평균에 의한 차이를 검증해 보았을 때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H_(1): μ_(1 )μ_(2)) 각 실에 대한 만족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이를 살펴보면 4개 항목 모두 농가주택의 만족도가 비농가 주택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농가주택의 경유 향후 주택설계시 이상의 4개 항목에 대해서는 특별히 세심한 고려 하에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주택 선호도 조사 분석에서는 대지면적의 경우 농가가 비농가보다 넓은 대지를 선호하였으며, 건축면적은 30평 이상을 선호하는 응답비율이 57.8%에 이르므로 향후 주택의 규모는 커질 것으로 사료된다. 주택의 층수는 1층과 2층의 비율이 대등할 것으로 보이며, 지하실을 두는 비율은 낮을 것으로 보여 지고, 평슬래브주택과 도시형전원주택의 비율이 높게 나타날 것으로 분석 되었다. 주택의 외벽은 붉은벽돌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내벽에는 벽지를 바르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커튼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바닥은 온돌, 지붕은 시멘트 몰탈과 아스팔트 싱글이 주를 이룰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붕 색깔로는 회색과 검정색을 선호하였으며, 취사연료로는 가스를 난방연료로는 심야전기를 선호하며, 욕조를 사용하겠다는 응답자가 70.3%였으며, 실외화장실을 만들겠다는 응답비율이 51.6%이었다. 부엌바닥은 모노륨 장판을 가장 선호하였고, 부엌 벽은 타일과 벽지를 사용하겠다는 선호율이 높았다. 또한 부엌조명으로는 형광등을 가장 선호하였다. 거실의 크기는 8∼10평 37.5%와 11평 이상 35.9%로 나타났으며, 소파를 사용하겠다는 응답자가 73.4%이고, 형광등사용을 82.8%가 선호하였다. 안방의 크기는 5∼7평(54.7%)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침대와 장롱을 사용하겠다는 비율이 각각 높게 나타났다. 안방바닥 역시 모노륨 장판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속사를 만들려는 비율은 60.9%이며, 구조는 목조를 선호하였고, 크기는 5평 이하가 가장 선호 되었다. 장독대와 주차장을 선호하는 비율은 65.6%와 62.5%로 나타났으며, 담장구조로는 생울타리로 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31.3%로 조사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문화마을을 조성함에 있어서 주민들에게 설계기반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주택설계시 참고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른 주택의 구조유형 및 외관형태가 반영된 다양한 주택의 평면제시를 향후 연구과제로 남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owns of our country(in korea) had an epochal turning point and it had been tried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ere in 1990. They are called Munwwha-Maul and the purposes of it are to consolidate living environment with volunteer for c...

      The towns of our country(in korea) had an epochal turning point and it had been tried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ere in 1990.
      They are called Munwwha-Maul and the purposes of it are to consolidate living environment with volunteer for central towns(Myeon) of farming and fishing areas, and to make the farming villages harmonize with living environment and incomes by the promoting farm tourism, the farm experience activities, the income-increasing enterprise and the improvement enterprise in productive basis.
      The above things can increase farm population because they are able to prevent movement of young in a farm with highly quality education or benefits of civilization. Also, the farm towns can develop through an inflow of inhabitants in another plac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yp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in Munhwa-Maul, and provide a basic data of housing design in Munhwa-Maul. The analysis is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classification of types, drawing a plan of housing in Munhwa-Maul.
      Accordingly, the current dissertation aimed to identify the present condition of towns, types of housing,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which were resulted by construction enterprise of Munwha-Maul.
      The towns in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22 Munwha-Maul which were chosen districts and took effect in korea from 1991 to 1997.
      In the methods of the study, first, I explored phases of local living rights in farms, scopes and residential forms of towns and transitional processes through literature and research of data.
      Second, I identified the population, the family, the farmhouse and the non-farmhouse, the number of public facilities by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 in Munwha-Maul.
      Third, this research showed types of housing, kinds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real housing, a plane of housing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lso, I present basic data as the housing design and the construction of Munwha-Maul after putting P. O. E. in effect to know what the natives think about Munwha-Maul housing and what they need.
      I propose conclusions as follows through findings of typ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in Munwha-Maul in this dissertation.
      First, Munwha-Maul is a little effect with constructing the towns for permanent environment in farming and fishing areas. however, it leaves much to desired on the general construction of permanent environment because it seeks only residential abilities. So, it needs relationship of cities, relationship of local cultures and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Second, structural types of housing in Munwha-Maul is 83.4% of masonry house. These days many builders are making various constructions of the concrete house, the steel house or the timber house. It shows that a new structure of housing is been introducing recently, and it is necessary for diversified studies about Munwha-Maul.
      Third, a form of housing is almost a slab housing of a flatly square roof but it is not only loss of tradition but also disharmony of housing and nature. Therefore, in this case of Munwha-Maul built newly, it can be improved with active methods such as rules of inhabitants, design participation of experts and others.
      Fourth, spatial organization of housing is the central plane figure like the living room and it is similar to the housing form in a city. This is to seek enlargement of daily living, easiness of information interchange, and convenience of living and mainly takes the plane figure to present apartment in a city. In other words, introduction of the similarity plane and the repeatedly appliable appearance is gathering more strength than the local culture and the housing life of an individual because spatial confrontation with quality of living can identify a aspect spreading as the plane in a city.
      Fifth, real organization of housing is a living room, a kitchen, a bathroom, and three bed rooms and most people want to have the front door and the multipurpose room but the bathroom for man and wife and the warehouse, and the outhouse are optional. Also, the average area of housing is about 40 p’yo^(˘)ng [a unit of area (=3.954 sq. yds.)] and these housing is commonly the second story one. The ability of housing classifies the central form of a living room and the form of the Corinthian order and Most housing is the central form of living room because of adaptability and variableness.
      Sixth, in the satisfaction degree between a farmhouse and a non-farmhouse, they was supposed to have the regular distribution and be alike dispersion with the above two houses in case of a heating apparatus · a change of air · a drying space(0.05) and warm water in a bathroom(0.10). And also when we inspected average distinction of the two houses, we found there was a difference(: μ1 μ2). Hence the hypothetic study which would be differences of the satisfaction degree between the farmhouse and the non-farmhouse was supported.
      According to the four items[a heating apparatus · a change of air · a drying space(α=0.05) and warm water in a bathroom(α=0.10)], the satisfaction degree of the farmhouse is lower than one of the non-farmhouse. Therefore when the farmhouse is designed, it needs more careful consideration. Finally, the farmhouse preferred more larger site than the non-farmhouse in analysis of the matter of preference in housing and it is expected that the scale of housing is getting bigger because people who prefer over 30p’y?ng was 57.8%.
      It was demonstrated that he number of layers in housing seemed to equal rates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nd be lower the rate of the basement, while be higher the rate of the flatly slab housing and urban farm-housing.
      The red brick in the outer wall in housing was preferred and there were a lot needs to cover a inside wall with paper. On the one hand people want the curtain, the Ondol floor and the roof of the cement-mortar and asphalt-single.
      People preferred the roof to the gray and black color, the cooking fuel to the gas, heating fuel to the midnight electricity and the respondents who want the bathtub were 70.3%, the ones who want the outside toilet were 51.6%. In the kitchen the floor preferred to Monoryum and The wall did to the tile and the wall paper. Also, the light did to the fluorescent light.
      The scales of the living room were 37.5% of 8∼10p’yo^(˘)ng and 35.9% of over 11p’yo^(˘)ng and 73.4% of the respondent wants to use the sofa, 82.8% of the one wants to use the fluorescent light. 5∼7p’yo^(˘)ng(54.7%) was preferred in the scale of the inner room and there were the high rates to use the bed and the wardrobe.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floor in the inner room was preferred to Monoryum(laminated paper).
      The rates to make the annex were 60.9% and the wooden structure was preferred and the scale was preferred to under 5p’yo^(˘)ng.
      The preference rates of the jar stand and the parking place presented each 65.6% and 62.5% and it was analyzed that 31.3% of the respondent said to be make the fence built of hedges.
      Consequently the study will be able to be referred with offering data to the residents to make Munwha-Maul.
      In addition, the presentation of the plane of various housings which are reflected in the structure types of housing and the external form caused by findings of the study is a problem from now 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차례 = ⅰ
      • 표차례 = ⅲ
      • 그림차례 = ⅴ
      • 국문초록 = ⅶ
      • 제1장. 서론 = 1
      • 차례 = ⅰ
      • 표차례 = ⅲ
      • 그림차례 = ⅴ
      • 국문초록 = ⅶ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3
      • 제2장. 문화마을에 관한 이론적 고찰 = 6
      • 2-1. 문화마을 조성사업 개요 = 6
      • 2-1-1. 문화마을 조성사업 = 6
      • 2-1-2. 문화마을 조성사업의 시책 및 추진방향 = 6
      • 2-1-3. 문화마을 조성사업 사후평가 및 발전방안 = 8
      • 2-1-3. 문화마을 조성사업의 지원조건 = 15
      • 2-1-4. 문화마을 조성사업 시행체계 = 16
      • 2-2. 문화마을의 조성현황 = 17
      • 2-2-1. 문화마을 조성사업 지구선정 = 17
      • 2-3. 생활권 구성과 문화 마을의 지역적 분포 = 22
      • 2-3-1. 생활권의 단계구성 현황 = 22
      • 2-3-2. 문화마을의 도별 추진현황 = 24
      • 2-4. 문화마을과 연계추진 가능한 농촌개발 사업 = 25
      • 2-4-1. 농촌개발 사업 = 25
      • 2-4-2. 그 외 문화마을과 연계가능 마을 = 27
      • 제3장. 문화마을의 주택유형 및 공간특성 = 30
      • 3-1. 조사대상 문화마을의 개요 = 30
      • 3-1-1. 조사대상 마을의 분포도 = 30
      • 3-1-2. 조사대상 마을의 개요 = 31
      • 3-1-3. 공공시설 설치현황 = 33
      • 3-2. 구조유형별 주택현황 = 34
      • 3-3. 주택의 입면 형태 분석 = 36
      • 3-4. 주택의 실 구성 및 면적 현황 = 40
      • 3-4-1. 주택의 실구성 및 면적구성 = 40
      • 3-4-2. 농가 주택의 실별 면적구성 = 42
      • 3-4-3. 비농가 주택의 실별 면적구성 = 43
      • 3-4-4. 농가와 비농가 주택의 종합 실별 면적구성 비교 = 44
      • 3-5. 주거공간의 기능구성 = 45
      • 제4장. 거주민의 만족도 분석 = 46
      • 4-1. 만족도 연구가설 검정 방법 = 46
      • 4-2. 농가와 비농가 주택에 대한 만족도 분석 = 47
      • 4-2-1. 기술통계량 = 47
      • 4-2-2. 빈도분석 = 50
      • 4-3. 독립표본 T검정 = 69
      • 4-3-1. 독립표본 T검정공식 및 연구가설 = 69
      • 4-3-2.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한 가설 검증 = 70
      • 4-4. 주택 선호도 조사 분석 = 75
      • 4-4-1. 거주민들의 주택 선호도 빈도분석 = 75
      • 4-4-2. 거주민들의 주택 선호도 결과 분석 = 95
      • 제5장. 결론 = 98
      • 참고문헌 = 101
      • ABSTRACT = 105
      • 부록 = 110
      • 감사의 글 = 12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