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カリ」活用の品詞に關する諸說 = A study on the KARI-conjugation of Japancsc ads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881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주지인 カリ활용은, 형용사의 連用形에 ラ變動詞アリ가 융합해서 형성된 활용형식이다. ラ變動詞는 존재의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로, 대단히 형용사에 가까운 語性을 갖는다. 따...

      본 연구의 주지인 カリ활용은, 형용사의 連用形에 ラ變動詞アリ가 융합해서 형성된 활용형식이다. ラ變動詞는 존재의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로, 대단히 형용사에 가까운 語性을 갖는다. 따라서 アリ의 품사자체가 江戶중기부터 말기에 걸쳐서 「동사다」「형용사다」라는 문제로 되어왔던 것이, 江戶末期의 부견광음에 의해서 變格動詞로 되고, 그 이래 동사로서의 위치를 확립했다. 그런데 이 동사アリ에는 순수하게 존재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과, 진술의 작용에 관여하는 것이 있다. 富士谷成章は 前者를 「孔」(ありな)로 부르고, 後者를 脚結アリ로 구별했다. 그리고 명치이후의 문법론에서는, 각문법가의 用言觀이나 詞辭論에 의해서, 이것을 어디까지나 「詞」로 보는 입장과 「辭」라고 주장하는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그리고 이 문제는 동사의 범위를 넘어서, ラ變動詞アリ가 개입하고 있는 조동사는 물론이고, 외국에는 없는 形容動詞라고 하는 품사의 존재여부를 둘러싼 논쟁을 일으켰다. 그 결과, 形容動詞를 인정하는 說과 부정하는 說이 출현해서, 지금도 그대로이다. 그러나 학교문법에서는 橋本進吉박사의 補助動詞アリ說이 채용되고 있기 때문에, 모든 문법이론도 이것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문법가의 지론을 분석해보고 얻을 수 있는 결론은, 吉澤義則박사의 「形容動詞カリ活用」說의 재음미가 필요하지 않을까하는 점이였다. 즉, 소위 ナリ·タリ활용을 形容動詞로 인정하는 근거가 「어간+ニ/ト+アリ」(カリ活用)도 形容動詞로써 인정해서 좋은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吉澤박사는 カリ활용을 第一種形容動詞, ナリ활용을 第二種, タリ활용을 第三種形容動詞로 했다. 그러나 학교문법으로써 채용된 橋本說의 주안은 형용사의 어간의 형용성에 있고,「∼くあり>かり」는 형용사와 조동사를 연결하는 기능을 하고 있을 뿐이므로, カリ활용은 형용사의 활용형식의 일종, 즉 補助活用이라고 했다. 외견상은 그대로이다. 그러나 형용사의 본 기능이란 무언가를 형용하는 점에 있지, 진술이나 판단성이 아니라고 생각된다. 조동사가 필요한 문장이란 이미 형용사가 단지 피수식체를 수식하는 기능이상의 것으로 탈피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 점에 있어서 형용사와 조동사의 사이에 形狀言적 성격이 농후한 アリ가 개입한다고 하는 것은, 순수한 형용사에 동사성분이 첨가된 것, 즉 形容動詞로 보아야만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금후의 연구과제로써 일본 본토어의 형용사 シ어미와, 친족관계가 인정되고 있는 유일한 방언인 流球방언에 있어서의 형용사 조어법 「高さ·あり>高さり」와 「高く·あり>高かり」의 어법상의 차이점에 대해서 연구하고싶다. 「高さり」의 쪽은 「高さ(が)あり」로 일본본토어의 「高し」에 대응하고, 「高かり」의 쪽은 「高く思われる/見える」로 통한다고 생각되어지기 때문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論
      • Ⅱ. 「カリ」活用の品詞に關する諸說
      • Ⅱ.1. 「詞」とみる立場
      • 1) 形狀ノ詞(鈴木朗)
      • 2) 屬詞四種ノ差別ノ事(부견광음)
      • Ⅰ. 序論
      • Ⅱ. 「カリ」活用の品詞に關する諸說
      • Ⅱ.1. 「詞」とみる立場
      • 1) 形狀ノ詞(鈴木朗)
      • 2) 屬詞四種ノ差別ノ事(부견광음)
      • 3) 副詞法(大槻文彦)
      • 4) 形容動詞(吉澤義則)
      • 5) 形容存在詞(山田孝雄)
      • 6) 補助活用(橋本進吉)
      • Ⅱ.2. 「辭」とみる立場
      • 1) 脚結アリ(富士谷成章)
      • 2) 助動詞(時枝誠記)
      • Ⅲ. 結論
      • 參考文獻
      • 國文抄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