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부모애착관계와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을 고등학생과 대학생으로 나누어 그들에 따라 각각 그 효과가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애착관계와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을 고등학생과 대학생으로 나누어 그들에 따라 각각 그 효과가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살...
본 연구는 부모애착관계와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을 고등학생과 대학생으로 나누어 그들에 따라 각각 그 효과가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부모애착관계, 진로결정수준, 진로장벽을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를 경기도에 소재한 남.녀 고등학교 2개 학교와 같은 시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 1개 학교 재학생 3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로 SPSS 20.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방법 등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부모애착관계가 높을수록 진로장벽을 낮게 인식하고, 부모애착관계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는 부모애착관계중 신뢰감이 높을수록, 소외감이 낮을수록 진로장벽을 낮게 인식하며, 소외감이 낮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진다고 나타났다. 또한 진로장벽 중 직업정보 부족과 흥미부족, 미래부족을 많이 느낄수록 진로결정수준은 낮아진다. 세 번째 부모애착관계에 대한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은 부분매개 효과를 갖으며, 그 가운데 고등학생과 대학생에 따라 매개역할을 하기도 하고 매개역할을 하지 않기도 하는 조절된 매개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애착관계의 하위요인 중에서 신뢰감, 소외감은 진로장벽에 영향을 미치고 진로결정수준에는 소외감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부모애착관계가 높을수록 진로장벽을 낮게 인식하며 부모애착관계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진다. 부모애착관계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이 부분매개를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학교급에 따라 나누어 연구할 때 조절된 매개관계가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진로결정수준에 있어 유용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우선 부모의 애착관계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므로 긍정적인 부모-관계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대학교 시절에는 독립적인 인간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부모의 애착관계가 진로결정수준을 못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녀 스스로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대학생의 홀로서기가 필요하다. 이로 인한 대학교의 체계적인 진로교육과 진로상담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rier barriers on relations between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subjects wer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rier barriers on relations between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subjects wer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the effects of carrier barriers on relations between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and career decision level. In order to examine the study issues, questionnaires that were able to measure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rier barriers were distributed to 311 students attending one male high school and one female high school in Gyeonggi-do and one university located in the same city. The data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0.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students'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the lower they perceived carrier barriers and the higher their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the higher reliability among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and the lower a sense of alienation, the lower the students perceived their career barriers, and the lower their sense of alienation, the higher their level of career decision level. In addition, the more they felt scarcity of job information, lack of interest, and lack of future among career barriers, the lower their decision level. Third, in relations between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and career decision level, career barriers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there was moderated mediation relationship with mediating role in some subjects and no mediating role in others.
Such results show that a sense of reliability and alien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influence students' carrier barriers and a sense of alienation affects their career decision level. In addition, the higher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the lower the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the higher carrier decision level. It was verified that carrier barriers provided partial medi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and career decision level. Furthermore, the moderated mediation relationship appeared when research was performed according to school level.
The above study results provide useful suggestive points in adolescents' career decision level. First,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affected their career decision level, verifying the importance of their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ents. Nonetheless, during college years when they grow into an independent human,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may be a factor adversely affecting their career decision level. Therefore, standing on their own is necessary for children to select and determine their career for themselves, for which systematic carrier education and counseling should be provided by their colleg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