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게 된 21세기는 여가생활과 문화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문화예술산업의 중요성과 비중이 확대되었다. 그러나 전통예술공연의 경우 저조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79988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학위논문(박사) -- 중앙대학교 대학원 , 문화예술경영학과 공연경영 , 2024. 8
2024
한국어
서울
293 p. ; 26 cm
지도교수: 류승완
I804:11052-00000024256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게 된 21세기는 여가생활과 문화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문화예술산업의 중요성과 비중이 확대되었다. 그러나 전통예술공연의 경우 저조한 ...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게 된 21세기는 여가생활과 문화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문화예술산업의 중요성과 비중이 확대되었다. 그러나 전통예술공연의 경우 저조한 매출, 낮은 관람률과 객단가, 예술가 간 양극화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타 장르와 다른 양상을 띠는 전통예술공연 시장의 소비진작과 활성화를 위해 관객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전통예술공연 공급자들은 소비자의 관심에 발맞춰 변화를 꾀하고 있으나 창작 시 관련 조직 및 부처의 요구와 전문가 의견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렇기에 공급자 입장에서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인식은 관객 중심 연구와 차이가 존재할 수 있어 이를 파악하고, 관련 전략과 접근법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급자와 소비자의 입장 차이와 간극을 파악하고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최근 전통예술공연 연구들은 주로 교육, 음악학 관련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고 관객개발과 관련된 연구들도 타 장르의 지표를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예술공연의 공급과 소비 측면의 인식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객 유형을 논리적으로 도출하고 그들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이해, 발견하는 것을 연구의 목표로 한다. 연구 설계는 단일방법론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혼합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정성적 연구와 정량적 연구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전통예술공연의 공급과 소비 주체의 인식과 역할 수행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구했다.
정성적 연구에서는 전통예술공연 창작자와 관객을 기반으로 공급과 소비 측면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학적 현상학을 바탕으로 지오르기(Giorgi)가 제시한 5단계의 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결과를 기술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창작자 측면에서 총 115개의 의미 단위와 35개의 하위 범주, 13개의 상위 범주가 도출되었고, 이를 관통하는 3개의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전통예술전공에 대한 경험 및 인식’의 주제와 관련된 상위범주는 전통예술을 시작한 계기, 전공에 대한 소신, 전통예술 전공의 어려움, 전통예술에 대한 책임감으로 구성되었다. ‘창작 과정에 대한 경험 및 인식’ 주제의 상위범주는 공연 창작 준비과정, 공연 창작 시 고려요소, 공연 후 창작자의 감상, 지원 사업의 빛과 어둠, 창작자 유형에 대한 지각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 산업에서의 경쟁력과 미래’ 주제의 상위범주는 예술가에서 공급자로의 확장, 전통예술공연 장르의 시스템과 경쟁력, 전통예술의 미래에 대한 경험, 행정 및 교육에 대한 기대로 확인되었다. 관객 측면에서는 총 94개의 의미단위, 33개 하위범주, 11개의 상위 범주가 구성되었고, 이를 아우르는 3개의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전통예술공연 선호형성 및 참여 동기’와 관련된 상위범주로는 문화예술과의 첫만남, 전통예술공연 체험의 기억, 관람 동기 유발로 나타났다. ‘전통예술공연 관람의 전반적 경험’과 관련된 상위범주는 전통예술공연 소비의 시작, 전통예술공연 관람을 위한 노력, 관람 만족 요인, 관람 불만족 요인, 전통예술공연 재관람 시 관람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전통예술공연 관람 후 인식의 변화’에서는 사회적 교류와 공유의 장,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인식 전환, 전통예술공연의 가치가 확인되었다.
정량적 연구에서는 정성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전통예술공연 관객의 유형과 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잠재계층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관람결정요인은 공연장 서비스, 공연품질, 명성 및 홍보, 부가적 서비스로 구성되었고, 공연장 서비스와 부가적 서비스를 제외한 공연품질과 명성 및 홍보 요인이 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연장 서비스가 미미하게 유의수준을 충족시키지 못해(p=0.052) 원인을 살펴본 결과, 하위항목 중 공연장 서비스 중 직원의 역량에 대해 크게 중요하게 느끼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3개의 잠재 집단을 도출한 후 문화예술의 양과 폭, 관람행태, 문화자본 습득경험을 통해 각 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고 구분하여 옴니보어, 전통선호, 유니보어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각 유형별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옴니보어>전통선호>유니보어 순으로 관람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잠재집단분석을 통해 도출한 관객 유형 외에도 관람 빈도와 문화자본 습득경험을 기준으로 관객 유형을 분석해 관람결정요인이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차이를 살펴보았다.
위 결과를 토대로 창작자와 관객의 인식을 통합해 전통예술공연의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 논리적으로 관객 유형을 분류해 이들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전통예술공연 분야의 순환 구조를 더 깊게 이해하고 향후 전통예술공연 관련 연구에 기초자료와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21st century, rapid economic growth has led to a more affluent lifestyle, enhancing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industry as leisure and cultural standards have improved. However,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continue to face challeng...
In the 21st century, rapid economic growth has led to a more affluent lifestyle, enhancing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industry as leisure and cultural standards have improved. However,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continue to face challenges such as low sales, low attendance rates, and polarization among artis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in-depth research on audiences to promote consumption and revitalize the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 market,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genres. Providers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are making changes in response to consumer interest, but these efforts are often based on the needs of relevant organizations, ministries, and expert opinions. As a result, the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from the provider's perspective may differ from audience-centered research, necessitating the identification of this gap and the preparation of relevant strategies and approaches.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gaps between the perspectives of providers and consumers and explore ways to bridge them. In recent years, studies on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have been mainly related to education and musicology, and studies on audience development have mostly applied indicators from other genr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erception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in terms of supply and consumption, and based on this, logically derive audience types and understand and discover their characteristics in depth.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a single methodology, a mixed-method approach was used, conduct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sequentially to explore the perceptions and role-playing processes of the actors in the supply and consump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In the qualita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analyzed, and results were described according to Giorgi's five-step analysis procedure based on descriptive phenomenology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supply and consumption among creators and audiences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First, a total of 115 meaning units, 35 subcategories, and 13 superordinate categories were identified in terms of creators, and three main themes emerged. The superordinate categories related to the theme of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Korean traditional arts majors' included reasons for starting Korean traditional arts, beliefs about the major, difficulties in majoring in Korean traditional arts, and responsibility for Korean traditional arts. The top categories of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the Creative Process' theme were identified as the preparation process for creating a performance, factors considered when creating a performance, the creator's feelings after the performance, the light and darkness of support projects, and the perception of types of creators. Finally, the top categories of the theme 'Competitiveness and Future of the Cultural Industry' were identified as: expansion from artist to provider, system and competitiveness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 genres, experience of the future of Korean traditional arts, and expectations of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In terms of audiences, a total of 94 meaning units, 33 subcategories, and 11 superordinate categories were constructed, and three main themes were identified. The top categories related to 'preference formation and motivation to attend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were: first encounter with culture and arts, memory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 experience, and motivation to attend. The top categories related to the 'overall experience of watching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were: initiation of consump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effort to watch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satisfaction factors, dissatisfaction factors, and determinants of re-watching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Finally, in the last category, 'change in perception after watching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social exchange and sharing, change in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and value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were identified.
The quantitative study aimed to verif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ts audiences based on the qualitative study resul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latent class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as analytical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terminants of attendance consisted of theater service, performance quality, reputation and publicity, and additional services, and that the factors of performance quality and reputation and publicity, except for theater service and additional servi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tendance intention. However, the theater service did not meet the marginally significant level (p=0.052), and when examining the cause, it was found that it was because the audience did not feel that the competence of the staff was important among the sub-items. Next, three potential groups were identified through latent class analysis, and each group was identified and distinguished through the amount and breadth of cultural arts, viewing behavior, and experience in acquiring cultural capital, and named as omnivore, traditionalist, and univore groups. In addition to the audience types derived from the latent class analysis, we also analyzed the audience types based on the frequency of viewing and the experience of acquiring cultural capital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viewing determinants on viewing inten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udy explored ways to revitalize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by integrating the perceptions of creators and audiences, logically classifying audience types, and proposing strategie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irculation structure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and provide basic data an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n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