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920년대 한·중 여성 문학의 신여성 담론과 주체 구현양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852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920년대 한국과 중국을 대표하는 여성작가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향하던 여성 주체성의 문학적 실현 과정과 여성적 글쓰기의 실험 양상을 비교‧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1920년대 한국의 대표 여성작가 나혜석, 김명순, 김일엽과 중국의 대표 여성작가 루인(廬隱), 펑워안줜(馮沅君), 링수화(淩淑華), 딩링(丁玲)을 중심으로 이들이 여성주체성을 어떻게 실현하고 형성화는지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초국가성’의 '공통의 문화적 전제', '공통의 사회역사적 조건', '공동문학 이론상의 문제' 등 세 가지 모델에 주목하는 가운데, 여성중심비평 이론을 문학 텍스트를 분석하는 과정에 적용함으로써, 남성지식인들이 지배하고 있던 1920년대 한국과 중국 여성작가들이 작품에 투사한 현실과 대응 경험을 살피고, 이들 작품의 가치와 의미를 검토하였다.
      제Ⅱ장에서는 1920년대 한국과 중국의 사회적 현실과 신여성 담론을 조명한 것이다. 우선, 3·1운동, 5·4운동과 교육제도를 통해 한국과 중국에 신여성 담론을 일으켰던 자국 요인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당대 양국의 여성해방운동에 수용된 사상을 고찰하고 양국의 지식인들에게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사회의 자국 분위기와 외부에서 들어온 사상의 영향을 받은 양국 신여성들이 주체성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펼쳤던 신여성 담론은 어떤 성격을 지녔는지를 살펴보면서, 양국 신여성들의 공통적인 주장과 요구가 무엇이며, 차이는 무엇인지를 검토하였다.
      제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제시한 현실 상황과 신여성 담론의 성격을 바탕으로 1920년대 여성작가들의 작품에 형성화된 여성들의 지향과 실현 양상을 조명하는 것이다. 먼저 한국과 중국의 경우를 나누어 양국 여성작가 소설에 드러난 여성주체성의 차별성을 비교하고, 여성이 주체적으로 독립하는 과정에서 어떤 것이 더 의미 있는지 검토하였다. 다음으로는 소설에 형상화된 낭만적 연애관과 영육일치의 연애관을 분석하면서, 여성작가들이 두 연애관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여성주체성을 어떻게 구체화하고 있는지, 여성주체성 실현 정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견줬다. 이어서 여성작가들의 작품에서 형상화한 구체적인 주체성 실현 방법을 분석해 보고 그 실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여성문학에 드러난 주체성 실현의 난관을 총체적으로 살펴보면서, 여성작가들이 이러한 난관을 어떻게 극복하는지 분석하면서, 여성들이 주체적 여성으로 살아갈 방법을 검토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제Ⅲ장에서 살펴본 작품에 형상화된 여성주체성을 지향하고 실현하는 구체적인 양상을 바탕으로, 남성들의 글쓰기와는 다른 주체적 목소리와 내면세계를 섬세하게 드러내기 위한 여성작가들의 글쓰기 방식을 매체, 장르, 문체의 세 가지 층위에서 검토하였다. 여기서는 1920년대 한국과 중국 여성작가들이 매체, 장르, 문체의 세 가지 층위에서 남성들의 세계와는 다른 여성적 글쓰기를 통해 어떻게 그들의 주체적 목소리와 내면세계를 드러내는지를 검토하고, 그 과정에서 이루는 여성주체성의 성취와 한계를 함께 확인하였다.
      제V장에서는 위의 제Ⅱ장과 제Ⅲ장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한 1920년대 한·중 여성작가들의 주체성의 문학적 실현과 여성적 글쓰기의 실험 양상을 통해 당대 한·중 여성문학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했으며, 또 1930년대 여성문학과 연계하면서 1920년대 한·중 여성문학의 문학사적 의미를 정리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1920년대 한국과 중국을 대표하는 여성작가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향하던 여성 주체성의 문학적 실현 과정과 여성적 글쓰기의 실험 양상을 비교‧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본 논문은 1920년대 한국과 중국을 대표하는 여성작가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향하던 여성 주체성의 문학적 실현 과정과 여성적 글쓰기의 실험 양상을 비교‧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1920년대 한국의 대표 여성작가 나혜석, 김명순, 김일엽과 중국의 대표 여성작가 루인(廬隱), 펑워안줜(馮沅君), 링수화(淩淑華), 딩링(丁玲)을 중심으로 이들이 여성주체성을 어떻게 실현하고 형성화는지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초국가성’의 '공통의 문화적 전제', '공통의 사회역사적 조건', '공동문학 이론상의 문제' 등 세 가지 모델에 주목하는 가운데, 여성중심비평 이론을 문학 텍스트를 분석하는 과정에 적용함으로써, 남성지식인들이 지배하고 있던 1920년대 한국과 중국 여성작가들이 작품에 투사한 현실과 대응 경험을 살피고, 이들 작품의 가치와 의미를 검토하였다.
      제Ⅱ장에서는 1920년대 한국과 중국의 사회적 현실과 신여성 담론을 조명한 것이다. 우선, 3·1운동, 5·4운동과 교육제도를 통해 한국과 중국에 신여성 담론을 일으켰던 자국 요인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당대 양국의 여성해방운동에 수용된 사상을 고찰하고 양국의 지식인들에게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사회의 자국 분위기와 외부에서 들어온 사상의 영향을 받은 양국 신여성들이 주체성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펼쳤던 신여성 담론은 어떤 성격을 지녔는지를 살펴보면서, 양국 신여성들의 공통적인 주장과 요구가 무엇이며, 차이는 무엇인지를 검토하였다.
      제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제시한 현실 상황과 신여성 담론의 성격을 바탕으로 1920년대 여성작가들의 작품에 형성화된 여성들의 지향과 실현 양상을 조명하는 것이다. 먼저 한국과 중국의 경우를 나누어 양국 여성작가 소설에 드러난 여성주체성의 차별성을 비교하고, 여성이 주체적으로 독립하는 과정에서 어떤 것이 더 의미 있는지 검토하였다. 다음으로는 소설에 형상화된 낭만적 연애관과 영육일치의 연애관을 분석하면서, 여성작가들이 두 연애관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여성주체성을 어떻게 구체화하고 있는지, 여성주체성 실현 정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견줬다. 이어서 여성작가들의 작품에서 형상화한 구체적인 주체성 실현 방법을 분석해 보고 그 실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여성문학에 드러난 주체성 실현의 난관을 총체적으로 살펴보면서, 여성작가들이 이러한 난관을 어떻게 극복하는지 분석하면서, 여성들이 주체적 여성으로 살아갈 방법을 검토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제Ⅲ장에서 살펴본 작품에 형상화된 여성주체성을 지향하고 실현하는 구체적인 양상을 바탕으로, 남성들의 글쓰기와는 다른 주체적 목소리와 내면세계를 섬세하게 드러내기 위한 여성작가들의 글쓰기 방식을 매체, 장르, 문체의 세 가지 층위에서 검토하였다. 여기서는 1920년대 한국과 중국 여성작가들이 매체, 장르, 문체의 세 가지 층위에서 남성들의 세계와는 다른 여성적 글쓰기를 통해 어떻게 그들의 주체적 목소리와 내면세계를 드러내는지를 검토하고, 그 과정에서 이루는 여성주체성의 성취와 한계를 함께 확인하였다.
      제V장에서는 위의 제Ⅱ장과 제Ⅲ장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한 1920년대 한·중 여성작가들의 주체성의 문학적 실현과 여성적 글쓰기의 실험 양상을 통해 당대 한·중 여성문학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했으며, 또 1930년대 여성문학과 연계하면서 1920년대 한·중 여성문학의 문학사적 의미를 정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o compare and review the literary realization process of female
      subjectivity and the experimental aspect of women's writing that they aimed for
      women writers representing Korea and China in the 1920s. The thesis attempted
      to compare and analyze how Korean representative women writers Na
      Hye-seok, Kim Myung-soon, and Kim Il-yeop and Chinese representative
      women writers Lu In, Feng Yuanjun, Ling Shuhua, and Ding Ling realized and
      formed the female subjectivity in the 1920s. While, this thesis focused on the
      three models of supranationality; "Common Cultural Premises", "Common
      Sociohistorical and Conditions" and "the Theory of Literature ”, by applying the
      female-centered critique theory to the process of analyzing literature, the reality
      and response experiences of Korean and Chinese women writers in the 1920s,
      which were dominated by male intellectuals, were examined, and the value and
      meaning of these works were reviewed.
      Chapter II will shed light on the social reality of Korea and China in the
      1920s and the discourse of new women. First, we looked at the domestic factors
      that caused the discourse on the new women in Korea and China through the
      3.1 Movement, the 5.4 Movement and education systems. Next, examined the
      ideas accepted in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in both countries of the
      time, and the influence on intellectuals in both countries.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women's discourse in the process of pursuing
      subjectivity of new women in both countries influenced by the atmosphere of
      society and ideas from outside, we examined the common arguments and
      demands of new women in both countries and the difference.
      Chapter III sheds light on the direction and aspect of realization of women
      formed in the works of women writers in the 1920s based on the reality
      situation presented in Chapter II and the nature of the new women's discourse.
      First, divided the case into Korea and China, then compare the differentiation of
      female subjectivity revealed in the novels of women writers of both countries,
      and to examine what was more meaningful in the process of women's
      independence. Next, by analyzing the romantic love and the love of the unity of
      body and soul in the novel, compared how women writers embody female
      identity in the process of pursuing the two views of love and the degree of
      realization of female identity. Subsequently, the specific method of realizing
      subjectivity embodied in the works of women writers was analyzed and the
      feasibility was examined. Finally,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difficulties
      of realizing subjectivity revealed in women's literature, analyzed howwomen
      writers overcome these difficulties, and reviewed how women can live as
      subjective female.
      In Chapter IV, based on the specific aspects of aiming and realizing the
      female subjectivity embodied in the work discussed in Chapter III, the writing
      methods ofwomen writers to delicately reveal the subjective voice and inner
      world different from men's writing were reviewed at three levels; Media, Genre,
      Style. Here, reviewed how Korean and Chinese women writers in the 1920s
      revealed their subjective voice and inner world through feminine writing
      different from the world of men at three levels of media, genre, and style, and
      confirmed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female subjectivity in the process.
      Chapter V compare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contemporary
      Korean-Chinese women's literature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literature of
      Korean-Chinesewomen writers in the 1920s and experimental patterns of
      feminine writing, and summarized the literary history of Korean-Chinese
      women's literature in the 1930s.
      번역하기

      This paper to compare and review the literary realization process of female subjectivity and the experimental aspect of women's writing that they aimed for women writers representing Korea and China in the 1920s. The thesis attempted to compare and an...

      This paper to compare and review the literary realization process of female
      subjectivity and the experimental aspect of women's writing that they aimed for
      women writers representing Korea and China in the 1920s. The thesis attempted
      to compare and analyze how Korean representative women writers Na
      Hye-seok, Kim Myung-soon, and Kim Il-yeop and Chinese representative
      women writers Lu In, Feng Yuanjun, Ling Shuhua, and Ding Ling realized and
      formed the female subjectivity in the 1920s. While, this thesis focused on the
      three models of supranationality; "Common Cultural Premises", "Common
      Sociohistorical and Conditions" and "the Theory of Literature ”, by applying the
      female-centered critique theory to the process of analyzing literature, the reality
      and response experiences of Korean and Chinese women writers in the 1920s,
      which were dominated by male intellectuals, were examined, and the value and
      meaning of these works were reviewed.
      Chapter II will shed light on the social reality of Korea and China in the
      1920s and the discourse of new women. First, we looked at the domestic factors
      that caused the discourse on the new women in Korea and China through the
      3.1 Movement, the 5.4 Movement and education systems. Next, examined the
      ideas accepted in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in both countries of the
      time, and the influence on intellectuals in both countries.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women's discourse in the process of pursuing
      subjectivity of new women in both countries influenced by the atmosphere of
      society and ideas from outside, we examined the common arguments and
      demands of new women in both countries and the difference.
      Chapter III sheds light on the direction and aspect of realization of women
      formed in the works of women writers in the 1920s based on the reality
      situation presented in Chapter II and the nature of the new women's discourse.
      First, divided the case into Korea and China, then compare the differentiation of
      female subjectivity revealed in the novels of women writers of both countries,
      and to examine what was more meaningful in the process of women's
      independence. Next, by analyzing the romantic love and the love of the unity of
      body and soul in the novel, compared how women writers embody female
      identity in the process of pursuing the two views of love and the degree of
      realization of female identity. Subsequently, the specific method of realizing
      subjectivity embodied in the works of women writers was analyzed and the
      feasibility was examined. Finally,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difficulties
      of realizing subjectivity revealed in women's literature, analyzed howwomen
      writers overcome these difficulties, and reviewed how women can live as
      subjective female.
      In Chapter IV, based on the specific aspects of aiming and realizing the
      female subjectivity embodied in the work discussed in Chapter III, the writing
      methods ofwomen writers to delicately reveal the subjective voice and inner
      world different from men's writing were reviewed at three levels; Media, Genre,
      Style. Here, reviewed how Korean and Chinese women writers in the 1920s
      revealed their subjective voice and inner world through feminine writing
      different from the world of men at three levels of media, genre, and style, and
      confirmed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female subjectivity in the process.
      Chapter V compare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contemporary
      Korean-Chinese women's literature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literature of
      Korean-Chinesewomen writers in the 1920s and experimental patterns of
      feminine writing, and summarized the literary history of Korean-Chinese
      women's literature in the 1930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iv
      • I. 서 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연구사 검토 4
      • ABSTRACT iv
      • I. 서 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연구사 검토 4
      • 1.3 연구 방법과 연구 범위 13
      • Ⅱ. 동아시아 사회의 근대적 전환과 신여성 담론 20
      • 2.1 신여성 담론 형성의 자국 요인 20
      • 1) 3·1운동과 5·4운동의 경험과 개인의 자각 20
      • 2) 근대적 여성 교육의 확산과 담론장의 형성 25
      • 2.2 신여성 담론 형성의 동아시아적 맥락 31
      • 1) '노라' 열풍과 주체적 여성상의 수용 및 변용 31
      • 2) 여성 사상의 번역과 근대적 연애의 쟁점 38
      • 2.3 신여성 담론의 성격 48
      • 1) 한국 신여성 담론의 저항성 49
      • 2) 중국 신여성 담론의 반(半)동일 반(半)저항성 55
      • Ⅲ. 여성주체성의 실현과 문학적 재현 61
      • 3.1 여성주체성의 기획 61
      • 1) 한국 신여성과 독자적 주체성 62
      • 2) 중국 신여성과 공동체적 주체성 70
      • 3.2 여성주체성 실현의 방법: 자유연애와 자유결혼 78
      • 1) 자유연애를 통한 주체성 실현 78
      • 1.1) 정신적 사랑과 낭만적 연애관 78
      • 1.2) 영육합일과 급진적 연애관 88
      • 2) 자유결혼을 통한 주체성의 실현 98
      • 2.1) 자유 의지 확립과 전통적 결혼제도 비판 98
      • 2.2) 경제적 자립과 연애·결혼의 선택 104
      • 2.3) 성적 주체-되기와 성적 헤게모니 타파 108
      • 3.3 주체성 실현의 난관과 대응 113
      • 1) 불평등한 연애와 관계의 왜곡 113
      • 2) 조혼의 폐습과 연애의 윤리적 갈등 123
      • 3) 가정 내 역할 한정과 자아실현의 부조화 129
      • 4) 남성 중심 사회질서와 공적 영역 진출불가능성 140
      • Ⅳ. 여성적 글쓰기의 실험과 주체성의 형성 151
      • 4.1 여성적 글쓰기의 토대 구축 151
      • 1) 남성 주도 여성 잡지의 한계 151
      • 2) 여성전문잡지의 발간과 주체적 글쓰기의 지향 160
      • 4.2 여성적 글쓰기 장르의 모색 169
      • 1) 근대 문학자의 관습과 수동적 여성 표상 169
      • 2) 주변적 글쓰기 장르를 통한 여성 목소리의 능동적 재현 178
      • 4.3 여성적 글쓰기 문체의 탐색 190
      • 1) 자기 서사와 자아정체성의 확립 190
      • 2) 서간체 글쓰기와 여성 연대감의 확보 196
      • V. 1920년대 한·중 여성문학의 비교 203
      • 5.1 1920년대 한·중 여성문학의 공통점 및 차이점 203
      • 1) 사회현실의 유사성과 여성문학의 공통점 203
      • 1.1) 민족·국가담론에서 벗어나기와 개인 주체성 지향 204
      • 1.2) 주체성 실현 과정에 나타난 현실적 갈등 207
      • 2) 사회적 태도의 차이와 한·중 여성문학의 차이점 209
      • 2.1) 신여성담론의 차이에 의한 독자적 주체성과 공동체적 주체성 210
      • 2.2) 주체성 실현에 나타난 갈등 대응 방식의 차이 211
      • 5.2 1920년대 한·중 여성문학의 문학사적 의미 215
      • 1) 1920년대 한·중 여성문학의 성과 215
      • 1.1) 여성주체의식의 확립 215
      • 1.2) 주체성 실현 과정에 나타난 갈등 포착과 대응방식 모색 217
      • 1.3) 남성 중심 글쓰기에 대한 도전과 발화권의 확립 시도 218
      • 2) 1920년대 여성문학의 한계와 1930년대 여성문학의 대응 양상 220
      • 2.1) 민족 위기 심화와 현실 인식의 미성숙 220
      • 2.2) 자유연애 담론과 조혼 현실의 충돌로 인한 자기모순 222
      • 2.3) 여성을 타자화한 남성 중심적 질서로부터의 탈피 미흡 224
      • Ⅵ. 결 론 226
      • Ⅶ. 참 고 문 헌 23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