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실학의 중국실학사상 수용과 주체적 변용과정 = Self-Flexibility of Chosun Shil-hak in Process of Receiving Chinese Shixu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535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실학은 이민족의 통치로 인한 인식론적 성찰로부터 발생했다. 그 대표자로서 고염무는 삼대의 정치와 왕자의 출현을 기대하는 동시에 현실군주의 정치적 역량으로 체제의 공고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개혁을 요구했다. 이 점에서 동시대의 유형원으로부터 시작되는 조선실학은 중국실학의 인식론과 실천론적 대안을 공유한다. 17세기 동아시아의 변동과정에서 수평 이동했던 정치적, 인식론적 대안들 중 무엇을 공유하고 무엇을 달리하는 것일까? 조선실학의 정치적 이상상은 왕정실현이라는 목표를 담고 있으며, 주례적 질서로의 복귀라는 중국실학의 정치적 의도와 목표를 공유한다. 하지만 조선실학자들은 동시대의 중국실학이 제시하는 개혁론의 출발점과 과정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즉 조선실학자들은 성공했던 조선의 원형적인 통치기제를 회복하려는 의도를 목표로 했던 반면 실현 불가능한 중국의 정치적 규준과 이상을 추구한 것이 아니었다. 또한 그것은 진보적이고 근대적이어서 또한 조선에서 수용할 수 없는 정치적 규준과 이상도 아니었다. 그것은 기존의 통치기제가 가졌던 장점과 순기능, 즉 합리성을 다시 회복하겠다는 자신의 시대적 요구에 충실한 반응이었을 뿐이다.
      번역하기

      중국실학은 이민족의 통치로 인한 인식론적 성찰로부터 발생했다. 그 대표자로서 고염무는 삼대의 정치와 왕자의 출현을 기대하는 동시에 현실군주의 정치적 역량으로 체제의 공고성을 확...

      중국실학은 이민족의 통치로 인한 인식론적 성찰로부터 발생했다. 그 대표자로서 고염무는 삼대의 정치와 왕자의 출현을 기대하는 동시에 현실군주의 정치적 역량으로 체제의 공고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개혁을 요구했다. 이 점에서 동시대의 유형원으로부터 시작되는 조선실학은 중국실학의 인식론과 실천론적 대안을 공유한다. 17세기 동아시아의 변동과정에서 수평 이동했던 정치적, 인식론적 대안들 중 무엇을 공유하고 무엇을 달리하는 것일까? 조선실학의 정치적 이상상은 왕정실현이라는 목표를 담고 있으며, 주례적 질서로의 복귀라는 중국실학의 정치적 의도와 목표를 공유한다. 하지만 조선실학자들은 동시대의 중국실학이 제시하는 개혁론의 출발점과 과정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즉 조선실학자들은 성공했던 조선의 원형적인 통치기제를 회복하려는 의도를 목표로 했던 반면 실현 불가능한 중국의 정치적 규준과 이상을 추구한 것이 아니었다. 또한 그것은 진보적이고 근대적이어서 또한 조선에서 수용할 수 없는 정치적 규준과 이상도 아니었다. 그것은 기존의 통치기제가 가졌던 장점과 순기능, 즉 합리성을 다시 회복하겠다는 자신의 시대적 요구에 충실한 반응이었을 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ese shixue originated from the epistemological reflection in the reign of manchurian dynasty. Gu Yanwu, who was a founder of Chinese shixue and a author of Rizhi lu, expected revival of Three Dynasty and Benevolent Ruler and demand the institutional revolution for consolidating political ability of prince in real politics. From this, Chosun shil-hak and Chinese shixue came together their epistemological alternative and praxis. What were those? The political vision of Chosum shil-hak and Chinses shixue oriented toward Benevolent Government and revival of Zhou-li order. But Chosun shil-hak had a different proto-type. That was regime of Kyungkuktaejon. Therefore Chosun shil-hak corresponded with demands of those days to revive the rationality of ruling mechanism which was successful in the past.
      번역하기

      Chinese shixue originated from the epistemological reflection in the reign of manchurian dynasty. Gu Yanwu, who was a founder of Chinese shixue and a author of Rizhi lu, expected revival of Three Dynasty and Benevolent Ruler and demand the institution...

      Chinese shixue originated from the epistemological reflection in the reign of manchurian dynasty. Gu Yanwu, who was a founder of Chinese shixue and a author of Rizhi lu, expected revival of Three Dynasty and Benevolent Ruler and demand the institutional revolution for consolidating political ability of prince in real politics. From this, Chosun shil-hak and Chinese shixue came together their epistemological alternative and praxis. What were those? The political vision of Chosum shil-hak and Chinses shixue oriented toward Benevolent Government and revival of Zhou-li order. But Chosun shil-hak had a different proto-type. That was regime of Kyungkuktaejon. Therefore Chosun shil-hak corresponded with demands of those days to revive the rationality of ruling mechanism which was successful in the pas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조선실학의 이해를 위한 선행조건
      • Ⅲ. 유형원의 국가개혁론 : 변법을 추구한 실학의 출발
      • Ⅳ. 이익의 국가개혁론 : 인치와 법치의 조화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조선실학의 이해를 위한 선행조건
      • Ⅲ. 유형원의 국가개혁론 : 변법을 추구한 실학의 출발
      • Ⅳ. 이익의 국가개혁론 : 인치와 법치의 조화
      • Ⅴ. 정약용의 국가개혁론 : 합리적 통치기제의 구축
      • Ⅵ.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