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종의 한글 창제 = 동아시아 제 민족의 문자 교류와 훈민정음의 제정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오늘날 한글이라 불리는 새 문자의 제정에 대하여 그 배경을 살핀 것이다. 한글 제정의 배경에는 오랜 세월에 걸쳐 한자문화에 대항하는 중국 북방민족의 노력이 있었다. 이들 여...

      이 논문은 오늘날 한글이라 불리는 새 문자의 제정에 대하여 그 배경을 살핀 것이다. 한글 제정의 배경에는 오랜 세월에 걸쳐 한자문화에 대항하는 중국 북방민족의 노력이 있었다. 이들 여러 민족은 계속해서 표음문자를 모색하여 왔고 그 결실로 한글이 탄생한 것이다. 특히 중국에서 왕조의 변천에 따른 표준어의 변화와 그로 인한 새로운 漢語 교육의 필요성이 이와 같은 새로운 문자의 제정으로 가져온 것으로 보았다.
      즉, 몽고의 元 나라가 北京에 도읍하면서 새로운 중국어로 漢兒言語[haneryanyu]가 등장하였다. 이 말이 帝國의 公用語가 되면서 한자 발음은 우리 한자음과 중국의 漢音이 매우 차이가 나게 되었고 세종은 우리 한자음을 고쳐서 중국의 漢音에 맞추려고 하였다. 이것이 東國正韻식 한자음이고 이 한자음을 백성들에게 가르쳐야 하는 바른 소리로 보아 訓民正音이란 명칭을 얻게 된다. 그리고 중국 한자음의 正, 俗音을 구별할 때에 표준적인 정음을 표기할 때에는 正音 으로도 불리었다. 訓民正音이던 正音이던 모두 발음기호의 성격이었다. 그러다가 우리말의 전면적인 표기에 쓰이게 되면서 諺文이라 하다가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한글이 된 것이다.
      한문을 읽을 때에 중국어에는 없는 助詞와 語尾 를 붙여 읽기 위하여 마련한 口訣 吐를 달 때에는 變音吐着이 난제였다. 이를 새로 제정된 문자로 해결한 다음 새 문자로 우리말의 전면적 표기로 나아갔다. 우리말 표기에 쓰인 새 문자는 諺文이란 문자 명칭을 얻게 되었다. 이 명칭은 漢文에 대한 겸양적인 표현으로 볼 수 있다.
      그때에 『釋譜詳節』과 『月印千江之曲』을 통하여 새 문자로 우리말과 동국정운식 한자음의 표기를 실험하였으며 세종의 생존 시에 간행된 {舊卷} 『月印釋譜』에 <훈민정음>이란 제목으로 언해본을 첨부하여 반포에 대신하였다. 세종 28년 10월로 보이는 『月印釋譜』의 간행과 새 문자의 공표는 12월에 실시되는 吏科와 取才에서 훈민정음의 출제로 이어진다.
      이 문자는 정식으로 반포되지 못하였다. 그것은 한자 문명의 회복을 외치며 몽고의 元 을 멸망시키고 새로 漢族의 나라를 세운 明을 의식하였기 때문이었다. 결국은 明의 눈을 속이기 위하여 佛書인 『月印釋譜』의 권두에 <언해본>을 첨부하고 이를 간행함으로써 문자의 반포를 대신하였다. 그리고 새 국가의 건설과 더불어 자신들의 추종 세력에게 이 문자를 교육하여 시험하고 그들을 관리로 임명함으로써 지배계급의 물갈이를 도모하는 북방민족의 전통을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bout the background to the invention of the new characters, Hangeul. The people living north of China had long made efforts to compete with the culture of the Chinese characters before the invention of Hangeul. It seemed that they had c...

      This paper is about the background to the invention of the new characters, Hangeul. The people living north of China had long made efforts to compete with the culture of the Chinese characters before the invention of Hangeul. It seemed that they had continuously tried to make phonograms and such a trial resulted in Hangeul. In particular, the change in the standard language due to the shift in the Chinese dynasty and the resultant need to teach the new Chinese language probably led to the creation of these new characters.
      As the Yuan Dynasty of Mongolia set up the capital at Beijing, Haneryanyu of this region became a new Chinese language. As this language became the official language of the Yuan Empire, the pronunci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becam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Korea and China and King Sejong wanted to adapt the pronunciation for Korea to that for China. This is the Dongguk-jeongunstyle pronunciation, which has been named Hunmin-jeongeum, correct sounds the people should be taught. In distinguishing between orthodox and popular pronunci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writing of the standard orthodox pronunciation was called Jeongum. Both Hunminjeongeum and Jeongum were characterized by phonetic symbols. Then, they came to be used to write the Korean language and has become the present Hangeu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문제제기
      • 2. 새 문자 제정의 배경
      • 3. 훈민정음 제정의 원리
      • 4. 새 문자의 반포와 그 사용
      • 국문초록
      • 1. 문제제기
      • 2. 새 문자 제정의 배경
      • 3. 훈민정음 제정의 원리
      • 4. 새 문자의 반포와 그 사용
      • 5. 마무리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정광, "吏文과 漢吏文" 구결연구 (16) : 27 ~ 70, 2006

      2 金文京, "老乞大-朝鮮中世の中國語會話讀本-" 平凡社, 2002

      3 정광,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6

      4 정광, "훈민정음의 中聲과 파스파 문자의 모음자" 國語學 (56) : 221 ~ 248, 2009

      5 정광, "훈민정음 초성 31자와 파스파자 32자모" 譯學과 譯學書 (2) : 97 ~ 140, 2011

      6 정광, "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몽고자운』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하여-"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2008

      7 정광, "한글의 발명" 김영사, 2015

      8 金敏洙, "한글 頒布의 時期-세종 25년 12월을 주장함-" 국어국문학 (14) : 57 ~ 69, 1955

      9 정광, "최세진연구" 덕성여대논문집 (5.6) : 150 ~ 175, 1977

      10 李基文, "최근의 訓民正音硏究에서 提起된 몇 問題" 震檀學報 (42) : 187 ~ 190, 1976

      1 정광, "吏文과 漢吏文" 구결연구 (16) : 27 ~ 70, 2006

      2 金文京, "老乞大-朝鮮中世の中國語會話讀本-" 平凡社, 2002

      3 정광,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6

      4 정광, "훈민정음의 中聲과 파스파 문자의 모음자" 國語學 (56) : 221 ~ 248, 2009

      5 정광, "훈민정음 초성 31자와 파스파자 32자모" 譯學과 譯學書 (2) : 97 ~ 140, 2011

      6 정광, "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몽고자운』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하여-"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2008

      7 정광, "한글의 발명" 김영사, 2015

      8 金敏洙, "한글 頒布의 時期-세종 25년 12월을 주장함-" 국어국문학 (14) : 57 ~ 69, 1955

      9 정광, "최세진연구" 덕성여대논문집 (5.6) : 150 ~ 175, 1977

      10 李基文, "최근의 訓民正音硏究에서 提起된 몇 問題" 震檀學報 (42) : 187 ~ 190, 1976

      11 정광, "조선전기 중국 歸化人들의 역할-언어 표준의 변화와 외교 표준 영역에서 활동을 중심으로 -" 國際譯學書學會 第6次 北京國際學術會議, 2014

      12 정광, "조선시대 외국어 교육" 김영사, 2014

      13 淸格爾泰, "아시아 諸民族의 文字" 태학사, 1997

      14 정광, "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創製와 頒布" 언어정보 (7) : 5 ~ 37, 2006

      15 정광,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 출판부 : 31 ~ 46, 2002

      16 정광, "몽고자운연구" 박문사, 2009

      17 김완진, "국어학사"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1997

      18 李基文, "국어 표기법의 역사적 연구" 韓國硏究院, 1963

      19 정광, "韓日語文學論叢" 太學社 : 509 ~ 532,

      20 정광, "韓國詩歌의 韻律硏究試論" 應用言語學 7 (2) : 151 ~ 166,

      21 長澤規矩也, "長澤規矩也著作集 宋元版の硏究 (제3권)" 汲古書院 : 90 ~ 92, 1983

      22 兪昌均, "較定 蒙古韻略" 成文出版社, 1973

      23 吉池孝一, "跋蒙古字韻 譯註" KOTONOHA (22) : 13 ~ 16, 2004

      24 方鍾鉉, "訓民正音通史" 一誠堂書店, 1948

      25 照那斯图, "訓民正音基字與八思巴的關係"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 39 ~ 44, 2008

      26 照那斯图, "訓民正音和八思巴字的關係探究-正音字母來源揭示-" 民族語文 (3) : 9 ~ 26, 2001

      27 李東林, "訓民正音創製經緯에 對하여-俗所謂 反切二十七字와 相關해서-" 국어국문학 (64호) : 59 ~ 62, 1974

      28 안병희, "訓民正音 硏究"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29 金完鎭, "訓民正音 子音字와 加劃의 原理" 語文硏究 (7․8) : 186 ~ 194, 1975

      30 李基文, "訓民正音 創制에 대한 再照明" 韓國語硏究 (5) : 5 ~ 45, 2008

      31 정광, "訓民正音 中聲과 母音調和" 한국어사 연구 (創刊) : 133 ~ 189, 2014

      32 姜信沆, "訓民 正音 硏究" 成均館大學校 出版部, 1990

      33 河野六郞, "言語學 大辭典 別卷 世界文字辭典" 三省堂, 2001

      34 河野六郞, "言語學 大辭典 上․中․下" 三省堂, 1989

      35 田中謙二, "蒙文直譯体における白話について 『元典章の文體』(校定本 元典章 刑部第1冊 附錄)"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元典章硏究班排印本 : 4 ~ 52, 1961

      36 兪昌均, "蒙古韻略과 四聲通解의 硏究" 螢雪出版社, 1978

      37 정광, "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訓民正音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 제1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2008

      38 照那斯图, "蒙古字韻校本" 民族出版社, 1987

      39 忌浮, "蒙古字韻校勘補遺" 內蒙古大學學報 (8) : 9 ~ 16, 1992

      40 董同龢, "漢語音韻論" 廣文書局, 1981

      41 太田辰夫, "漢兒言語について" 神户外大論丛 5 (2) : 1 ~ 29, 1954

      42 江愼修, "河洛精蘊" 學苑出版社, 1989

      43 金完鎭, "母音體系와 母音調和에 대한 反省" 어학연구 14 (2) : 127 ~ 139, 1978

      44 洪起文, "正音發達史 上․下" 서울신문사出版局, 1946

      45 兪昌均, "東國正韻硏究" 螢雪出版社, 1966

      46 李東林, "東國正韻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1970

      47 服部四郞, "服部四郞論文集 卷3" 三省堂, 1993

      48 照那斯图, "有關八思巴字母ė的几个問題" 내몽고대학 국제학술토론회 : 1 ~ 17, 1988

      49 李基文, "新訂版 國語史槪說" 태학사, 1998

      50 照那斯图, "新編 元代八思巴字 百家姓" 文物出版社, 2003

      51 淸格爾泰, "契丹小字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5

      52 정광, "契丹·女眞文字と高麗の口訣字" 일본문화연구 (36) : 393 ~ 416, 2010

      53 尾崎雄二郞, "大英博物館本 蒙古字韻 札記" 人文 (8) : 162 ~ 180, 1962

      54 정광, "坡平尹氏 母子미라 綜合硏究" 고려대학교 박물관 : 87 ~ 98, 2003

      55 金完鎭, "國語音韻體系의 硏究" 一潮閣, 1971

      56 金完鎭, "國語 母音體系의 新考察" 震檀學報 (24) : 63 ~ 99, 1963

      57 中村雅之, "四聲通解に引く蒙古韻略について" KOTONOHA (9) : 1 ~ 4, 2003

      58 花登正宏, "古今韻會擧要硏究 - 中國近世音韻史の一側面" 汲古書院, 1997

      59 吉池孝一, "原本蒙古字韻再構の試み" 訓民正音과 파스파 文字 국제 학술 Workshop : 141 ~ 160, 2008

      60 林燾, "北京官话溯源" 中国语文 (3) : 161 ~ 169, 1987

      61 羅常培, "八思巴文字與元代漢語" 科學出版社, 1959

      62 照那斯图, "八思巴字百家姓校勘" 中國社會科學院出版社, 1981

      63 太田辰夫, "元版 孝經直解" 汲古書院, 1996

      64 服部四郞, "元朝秘史の蒙古語を表はす漢字の硏究" 龍文書局, 1946

      65 前田直典, "元朝史の硏究" 東京大學出版會, 1973

      66 長澤規矩也, "元刊本成齋孝經直解に關して" 書誌學 1 (5) : 20 ~ 38, 1933

      67 田中謙二, "元典章文書の構成 『元典章の文體』(校定本 元典章 刑部 第1冊 附錄)"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元典章硏究班排印本 : 187 ~ 224, 1965

      68 吉川幸次郞, "元典章に見えた漢文吏牘の文體 『元典章の文體』(校定本 元典章 刑部 第1冊 附錄)"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元典章硏究班排印本 : 1 ~ 11, 1953

      69 田中謙二, "元典章における蒙文直譯體の文章" 東方學報 (32) : 47 ~ 161, 1962

      70 정광, "元代漢語の <舊本老乞大 >" 中國語學硏究 開篇 (19) : 1 ~ 23, 1999

      71 姜信沆, "世宗朝의 語文政策" 世宗文化硏究 (2), 1984

      72 李崇寧, "世宗大王의 學問과 思想" 亞細亞文化社, 1981

      73 中村雅之, "パスパ文字漢語表記から見た中期モンゴル語の音聲" KOTONOHA (1) : 1 ~ 4, 1994

      74 吉池孝一, "パスパ文字の字母表" KOTONOHA (37) : 9 ~ 10, 2005

      75 服部四郞, "パクパ字(八思巴字)について-特にeの字とėの字に関して-(二)(On the ḥPhags-pa script Especially Concerning the letters e and ė (II))" 1984

      76 服部四郞, "パクパ字(八思巴字)について-特にeの字とėの字に関して-(一)(On the ḥPhags-pa script Especially Concerning the letters e and ė (I))" 1984

      77 服部四郞, "パクパ字(八思巴字)について-再論-, On the ḥPhags-pa script-the Second Remarks-" 1984

      78 西田竜雄, "チベットの言語と文化" 冬樹社, 1987

      79 金敏洙, "『釋譜詳節』 解題" 한글 (112) : 149 ~ 159, 1955

      80 兪昌均, "『蒙古韻略』과 『東國正韻』" 訓民正音과 파스파 文字 국제 학술 Workshop : 101 ~ 110, 2008

      81 忌浮, "『蒙古字韻』與 『平水韻』" 語言硏究 (2) : 128 ~ 132, 1994

      82 遠藤光孝, "『四聲通解』所據資料編纂過程" 論集 (35) : 117 ~ 126, 1994

      83 Boris Ya. Vladimirtsov, "Сравителъная грaмматика монголъского письменного языка и халхаского наречия" Vvedeni i fonetica, 1929

      84 Boris Ya. Vladimirtsov, "Монгольскійсборникъ разсказовъ изъ Pɑñcɑtɑntrɑ" 1921

      85 Boris Ya. Vladimirtsov, "Монгольские литературиые языки" ZIV 1 (8) : 8 ~, 1932

      86 Boris Ya. Vladimirtsov, "Монгльский международный алфавит XIII, века" KPV 10 (32), 1931

      87 N. Poppe, "Бурят-монгольское языкознание" 1933

      88 L. Ligeti, "le Subhɑ̄ṣitɑrɑtnɑnidhi mongol, un document du moyen mongol" 1948

      89 Roger Finch, "Writing in the Altaic World" 1999

      90 Geoffrey Sampson, "Writing Systems-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1985

      91 L. Ligeti, "Trois notes sur l'écriture 'Phags-pa" AOH 13 (1) : 201 ~ 237, 1962

      92 Keneth L. Pike, "Tone Language, A Technique for Determining the Numbers and Type of Pitch Contrasts in a Language, with Studies in Tonemic Substitution and Position" 1948

      93 Gari Ledyard, "The Problem of the 'Imitation of the Old Seal': Hunmin Chŏng'ŭm and hPags-pa"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 11 ~ 31, 2008

      94 N. Poppe, "The Mongolian Monuments in hP‘ags-pa Script" Otto Harrassowitz, 1957

      95 Gari Ledyard,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 University of California, 1966

      96 Gari Ledyard,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신구문화사, 1998

      97 J. S. Gale, "The Korean alphabet"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Korea 4 : 13 ~ 61, 1912

      98 Gari Ledyard, "The Korean Alphabet : 31 ~ 88" 1997

      99 Louis Ligeti, "Monuments en écriture 'Phags-pa; Pièces de chancellerie en transcription chinoise Vol. I II" 1973

      100 A. M. Pozdnĕev, "Lekcii po istorii mongoĺskoĭ literatuturï, vol. I-III" 1908

      101 L. Ligeti, "Le Po kia sing en écriture 'Phags-pa" AOH(Acta OrientaliaScientiarum) 6 (1-3) : 1 ~ 52, 1956

      102 Nicholas Poppe, "Introduction to Mongolian Comparative Studies" Suomalais-Ugrilainen Seura, 1955

      103 N. Poppe, "Introduction to Altaic Linguistics" Otto Harrassowitz, 1965

      104 N. Poppe, "Grammar of Written Mongolian" Otto Harrassowitz, 1954

      105 G. J. Ramstedt, "Ein Fragment mongolischer Quadratschrift" JSFOu 27 (3) : 1 ~ 4, 1911

      106 G. Pauthier, "De l'alphabet de P'a-sse-pa" JA, sér. V 19 (8) : 1 ~ 47, 1862

      107 Nagawangthondup Narkyid, "Contribution on Tibetan Language, History and Culture, Arbeitskreis für Tibetische und Buddhistische Studien" Universität, Wien, 1983

      108 Paul Pelliot, "Asia Major, vol.2 : 284 ~ 289" 1925

      109 정광, "<월인석보 >의 舊卷과 훈민정음의 언해본-正統 12년 佛日寺板 <월인석보 > 玉冊을 중심으로-" 國語學 (68) : 3 ~ 49, 2013

      110 정광, "<몽고자운 >의 파스파 韻尾字와 훈민정음의 終聲" 譯學과 譯學書 (3) : 5 ~ 34, 2012

      111 照那斯图, "<訓民正音 >的借字方法" 民族語文 (3) : 336 ~ 343, 2001

      112 정광, "<蒙古字韻 >의 八思巴 문자와 訓民正音" 2008 ‘한글’ 국제학술대회 : 10 ~ 26, 2008

      113 정광, "<蒙古字韻 >喩母のパスパ母音字と訓民正音の中聲" 東京大學言語學論集 (31) : 1 ~ 20, 2011

      114 정광, "<月印千江之曲 >, <釋譜詳節 >, 그리고 <月印釋譜 >" <월인천강지곡 > 학술세미나,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