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정보의 표현방법은 2차원 종이지도에 의한 것에서 현재는 IT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방법의 공간 정보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GIS와 증강현실(AR ; Augmented Reality)기술을 접목하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91675
2011
Korean
증강현실 ; 지적도 ; 영상정합 ; Augmented Realtiy ; Cadastral Map ; Registration
KCI등재
학술저널
51-61(11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공간정보의 표현방법은 2차원 종이지도에 의한 것에서 현재는 IT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방법의 공간 정보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GIS와 증강현실(AR ; Augmented Reality)기술을 접목하여, ...
공간정보의 표현방법은 2차원 종이지도에 의한 것에서 현재는 IT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방법의 공간 정보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GIS와 증강현실(AR ; Augmented Reality)기술을 접목하여, 현실 세계에 가상의 상황을 표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직관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공간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연구가 많이 수행 되고 있다. 공간정보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지적도는 지형도와는 달리 소유권의 경계를 필지단위로만 표현하고 있어 일반 도해지역의 경우 일반인들이 지적도에 대한 인식이 거의 불가능하며, 지적 전문가들 역시 현장가시성 결여 등으로 인해 현장인식의 오류로 인한 작업 효율의 저하가 발생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폭넓은 사용자를 확보한 스마트 폰을 기반으로 지적도상에 나타난 소유권의 경계를 증강현실기법을 활용하여 현장에서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지적전문가들의 현장작업시 가상의 지적경계와 실세계와의 정합을 통하여 보다 쉽게 현장여건을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ethod of expressing spatial information started from 2 dimensional paper map and now spatial information can be expressed in various forms with advanced IT technology. Especially there are many studies that enable users deliver spatial informatio...
The method of expressing spatial information started from 2 dimensional paper map and now spatial information can be expressed in various forms with advanced IT technology. Especially there are many studies that enable users deliver spatial information in more intuitive and various forms by expressing virtual situation in the reality through graft of AR technologies on GIS. A cadastral map illustrates the boundaries of ownerships with just expressing land lots not like what a topographical map does. So it not only makes ordinary people impossible to recognize the illustrated areas but also lowers the efficiency of cadastral experts by causing errors when they try to recognize the site because the map lacks of site visibility.
This study finds a way to express cadastral map more intuitively in the field by AR technology using smart phone then builds up a system that can easily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in the field through a graft of virtual cadastral boundaries and the real worl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계보영, "증강현실의 교육적 이해" KERIS 2007
2 박영근,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3차원 지도 구현" 한국지적정보학회 12 (12): 111-124, 2010
3 교육인적자원부, "증강현실 기반 차세대 체험형학습모형 연구" 2006
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형 e-러닝 기반 개인맞춤형 학습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2007
5 김기홍, "모바일 혼합현실 기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2 (22): 2007
6 김은미, "가상 건축물 시뮬레이션을 위한 클라이언트 중심의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1 (11): 228-236, 2008
7 "http://www.web3d.org/x3d/"
8 "http://www.arhunt.com"
9 "http://juniperresearch.com/shop/viewpressrelease.php?id=197&pr=166"
10 Moehring, M, "Video See-Through AR on Consumer Cell Phones" 2004
1 계보영, "증강현실의 교육적 이해" KERIS 2007
2 박영근,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3차원 지도 구현" 한국지적정보학회 12 (12): 111-124, 2010
3 교육인적자원부, "증강현실 기반 차세대 체험형학습모형 연구" 2006
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형 e-러닝 기반 개인맞춤형 학습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2007
5 김기홍, "모바일 혼합현실 기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2 (22): 2007
6 김은미, "가상 건축물 시뮬레이션을 위한 클라이언트 중심의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1 (11): 228-236, 2008
7 "http://www.web3d.org/x3d/"
8 "http://www.arhunt.com"
9 "http://juniperresearch.com/shop/viewpressrelease.php?id=197&pr=166"
10 Moehring, M, "Video See-Through AR on Consumer Cell Phones" 2004
11 Azuma, R, "Recent advances in augmented reality" (6) : 2001
12 Michael Rohs, "Camera-Based Interaction and Interaction with Public Displays" 2008
13 Caudell, T. P, "Augmented Reality: An Application of Heads-Up Display Technology to Manual Manufacturing Processes" 1992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산업기사 1차 시험 문제 유형 분석에 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9-3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adastre Information ->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9 | 0.44 | 0.635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