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일 언어경관 연구의 新패러다임에 관한 고찰 - 역사사회언어학적 방법과 관련 사례를 통하여 - = A Study on the New Paradigm of the Language Landscape between Korea and Japan: Through Historical Socio-linguistics Examp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65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umerous language landscape studies are under way. However, there is a lack of introductory explanations about the language landscape. In addition, studies that serve as a guide to the direction of language landscape research are poor. Therefore, this paper introduced the case of language landscape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sociolinguistics. And based on the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so far, we have classified the new language landscape paradigm. It can be arranged as follows. From a historical socio-linguistics standpoint, I looked at the language landscape of Busan and Busan after liberation of Japanese colonial era. As a result, there was an diversity in language, text, content, and character arrangement. One photo shows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living in Japanese colonial era.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study the language landscape. Next, existing language landscape studies were categorized into new paradigms. It was organized using concepts that emerged during language landscape research, such as the sender, the sending scene, context, language consciousness, method of survey, image, education, multicultural society, etc. In addition, there are more paradigms of language landscape. However, this study has enabled a new approach. It is meaningful to serve as a guide to future language landscape studies.
      번역하기

      Numerous language landscape studies are under way. However, there is a lack of introductory explanations about the language landscape. In addition, studies that serve as a guide to the direction of language landscape research are poor. Therefore, this...

      Numerous language landscape studies are under way. However, there is a lack of introductory explanations about the language landscape. In addition, studies that serve as a guide to the direction of language landscape research are poor. Therefore, this paper introduced the case of language landscape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sociolinguistics. And based on the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so far, we have classified the new language landscape paradigm. It can be arranged as follows. From a historical socio-linguistics standpoint, I looked at the language landscape of Busan and Busan after liberation of Japanese colonial era. As a result, there was an diversity in language, text, content, and character arrangement. One photo shows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living in Japanese colonial era.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study the language landscape. Next, existing language landscape studies were categorized into new paradigms. It was organized using concepts that emerged during language landscape research, such as the sender, the sending scene, context, language consciousness, method of survey, image, education, multicultural society, etc. In addition, there are more paradigms of language landscape. However, this study has enabled a new approach. It is meaningful to serve as a guide to future language landscape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수많은 언어경관 연구가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언어경관에 대한 개론적 설명도 부족하다. 또한 언어경관 연구가 나아가야할 방향성 등에 대한 길잡이 역할을 해주는 연구 논문은 더욱 빈약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역사사회언어학적 입장에서 언어경관 사례를 소개하였고,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를 토대로 새로운 언어경관 패러다임에 대하여 분류하였다. 그 결과 다음처럼 정리해 볼 수 있다.
      역사사회언어학적 입장에서 일제강점기의 부산과 해방 이후의 부산의 언어경관은 언어, 문자, 내용, 문자 배열 등에서 상상을 뛰어 넘는 다양성을 지니고 있었다. 한 장의 사진에는 일제강점기를 살아가는 서민들의 삶의 모습이 포착되어 통시적인 언어경관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기존의 언어경관 연구를 새로운 패러다임을 분류하였다. 발신 주체, 발신 장면, 상황별, 언어의식, 조사방법, 이미지, 교육, 다문화사회 등과 같이 언어경관 연구 중에 나왔던 개념을 활용하여 정리하였다. 이외에도 더 많은 언어경관의 패러다임이 존재하겠지만,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어프로치로서 다양한 언어경관 연구에 접근할 수 있다는 길라잡이 역할을 했다는데 의의를 두고 싶다.
      번역하기

      수많은 언어경관 연구가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언어경관에 대한 개론적 설명도 부족하다. 또한 언어경관 연구가 나아가야할 방향성 등에 대한 길잡이 역할을 해주는 연구 논문은 더욱 빈약...

      수많은 언어경관 연구가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언어경관에 대한 개론적 설명도 부족하다. 또한 언어경관 연구가 나아가야할 방향성 등에 대한 길잡이 역할을 해주는 연구 논문은 더욱 빈약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역사사회언어학적 입장에서 언어경관 사례를 소개하였고,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를 토대로 새로운 언어경관 패러다임에 대하여 분류하였다. 그 결과 다음처럼 정리해 볼 수 있다.
      역사사회언어학적 입장에서 일제강점기의 부산과 해방 이후의 부산의 언어경관은 언어, 문자, 내용, 문자 배열 등에서 상상을 뛰어 넘는 다양성을 지니고 있었다. 한 장의 사진에는 일제강점기를 살아가는 서민들의 삶의 모습이 포착되어 통시적인 언어경관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기존의 언어경관 연구를 새로운 패러다임을 분류하였다. 발신 주체, 발신 장면, 상황별, 언어의식, 조사방법, 이미지, 교육, 다문화사회 등과 같이 언어경관 연구 중에 나왔던 개념을 활용하여 정리하였다. 이외에도 더 많은 언어경관의 패러다임이 존재하겠지만,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어프로치로서 다양한 언어경관 연구에 접근할 수 있다는 길라잡이 역할을 했다는데 의의를 두고 싶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민호, "한일 언어경관 연구의 현재와 향후 모델에 대한 연구" 일본학연구소 40 : 131-146, 2015

      2 양민호, "한국과 일본의 언어경관 자료를 통해서 살펴본언어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6) : 123-140, 2013

      3 강혜선, "언어학습자료로서언어경관의활용" 2018

      4 김정헌, "언어경관에 보이는 화용에 관한 연구 -간판과 게시판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근대학회 (55) : 191-206, 2017

      5 량빈, "언어경관 ‘백두산/장백산’의 사용 양상과 사회적 요인과의 상관성 -시각/음성 경관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75 : 1-28, 2017

      6 "부산대학교(PNU)로컬리티 아카이브"

      7 부경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 사업단, "동북아 해역과 인문학" 소명출판 2020

      8 송지성, "도쿄메트로의 정보안내체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3 (23): 273-288, 2017

      9 이가연, "개항장 부산 일본 거류지의 소비공간과 소비문화"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39) : 79-106, 2020

      10 김순임, "言語景観における禁止表現に関する日韓対照研究 -禁止項目による違いを中心に-" 한국일본어학회 (30) : 71-87, 2011

      1 양민호, "한일 언어경관 연구의 현재와 향후 모델에 대한 연구" 일본학연구소 40 : 131-146, 2015

      2 양민호, "한국과 일본의 언어경관 자료를 통해서 살펴본언어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6) : 123-140, 2013

      3 강혜선, "언어학습자료로서언어경관의활용" 2018

      4 김정헌, "언어경관에 보이는 화용에 관한 연구 -간판과 게시판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근대학회 (55) : 191-206, 2017

      5 량빈, "언어경관 ‘백두산/장백산’의 사용 양상과 사회적 요인과의 상관성 -시각/음성 경관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75 : 1-28, 2017

      6 "부산대학교(PNU)로컬리티 아카이브"

      7 부경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 사업단, "동북아 해역과 인문학" 소명출판 2020

      8 송지성, "도쿄메트로의 정보안내체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3 (23): 273-288, 2017

      9 이가연, "개항장 부산 일본 거류지의 소비공간과 소비문화"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39) : 79-106, 2020

      10 김순임, "言語景観における禁止表現に関する日韓対照研究 -禁止項目による違いを中心に-" 한국일본어학회 (30) : 71-87, 2011

      11 井上史雄, "経済言語学論考" 明治書院 2011

      12 양민호, "日本の道路標識のパターンから見る言語景観研究" 한국일본어학회 (35) : 237-247, 2012

      13 井上史雄, "日本の言語景観" 三元社 2009

      14 양민호, "日本と韓国の言語景観に関する事例研究 -公共施設のトイレとゴミ箱の表記について-"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47-65, 2010

      15 조은영, "大邱広域市の観光地に見られる言語景観について -都心循環コースと近代文化路地の表記を中心に-" 동아시아일본학회 (64) : 293-313, 2017

      16 이순형, "大学の通常の日本語授業におけるPBL型言語景観調査の 導入と学習者評価" 한국일어교육학회 (48) : 175-190, 2019

      17 彭国躍, "上海の都市形成期における言語景観-歴史社会言語学の事例研究" 神奈川大学 40 : 2018

      18 Backhaus, Peter, "Linguistic landscapes: A comparative study of urban multilingualism in Tokyo" 136 : 2007

      19 Lanza, Elizabeth, "Linguistic landscape: Expanding the scenery" 2009

      20 Ben-Rafael, Eliezer, "Linguistic landscape as symbolic construction of the public space: The case of Israel" 3 (3): 2006

      21 Landry, Rodrigue, "Linguistic landscape and ethnolinguistic vitality: An empirical study" 16 (16): 1997

      22 Hult, Francis, "Language ecology and linguistic landscape analysis" 2009

      23 Huebner, Thom, "Bangkok's linguistic landscapes: Environmental print, codemixing and language change" 3 (3): 2006

      24 Yang, Min-Ho, "A study on the scope and methodology of language inscription in Northeast Asian Sea Region of the 4th industrial age" 9 (9):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10-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日本學 -> 日本學(일본학)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1 0.9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