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과제 중심 기반으로 설계된 말하기 수업 사례를 살펴보고,실제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통해 과제 중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과제 중심 기반으로 설계된 말하기 수업 사례를 살펴보고,실제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통해 과제 중심 ...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과제 중심 기반으로 설계된 말하기 수업 사례를 살펴보고,실제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통해 과제 중심 기반 수업의 효과와 의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이를 위해<한국어고급회화>교과목을 과제 중심 기반으로 설계하고,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수업 운영 결과,과제 중심 기반 말하기는 수준이 높지 않은 학습자에게 목표 언어사용을 주도적으로 말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교육도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본 연구는 교육 현장에 직접 적용한 실증적인 자료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수업 사례를 소개하고,수업 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보은, "한국어교육에서의 말하기 과제에 관한 연구 -말하기 과제의 개선 방향성 및 모형 제시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110) : 247-279, 2017
2 한상미, "한국어 표현 교재에서의 과제와 활동:한국어학당 교재의 말하기 과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93-107, 2010
3 이민경, "한국어 말하기교육 연구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고찰" 한국어문화교육학회 4 (4): 87-105, 2010
4 이경 ; 성아영, "한국어 말하기 평가 연구 동향 분석"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8 (18): 199-245, 2021
5 권성미,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대한 연구자와 교육자의 두 관점" 우리어문학회 (44) : 39-66, 2012
6 한송화,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의 실제 -대학 입학 전 한국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225-248, 2010
7 한상미,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연구 -대학 입학 전 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207-238, 2009
8 이효정,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연구의 실태와 제언 - 분류 기준 검토 및 분석을 중심으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6 : 85-116, 2017
9 주월랑 ; 강병헌,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연구의 동향 분석"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15) : 337-364, 2021
10 홍은실 ; 박현정 ; 조수진 ; 민병곤 ; 안현기 ; 오예림 ; 강석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 (27): 243-268, 2016
1 김보은, "한국어교육에서의 말하기 과제에 관한 연구 -말하기 과제의 개선 방향성 및 모형 제시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110) : 247-279, 2017
2 한상미, "한국어 표현 교재에서의 과제와 활동:한국어학당 교재의 말하기 과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93-107, 2010
3 이민경, "한국어 말하기교육 연구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고찰" 한국어문화교육학회 4 (4): 87-105, 2010
4 이경 ; 성아영, "한국어 말하기 평가 연구 동향 분석"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8 (18): 199-245, 2021
5 권성미,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대한 연구자와 교육자의 두 관점" 우리어문학회 (44) : 39-66, 2012
6 한송화,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의 실제 -대학 입학 전 한국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225-248, 2010
7 한상미,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연구 -대학 입학 전 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207-238, 2009
8 이효정,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연구의 실태와 제언 - 분류 기준 검토 및 분석을 중심으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6 : 85-116, 2017
9 주월랑 ; 강병헌,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연구의 동향 분석"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15) : 337-364, 2021
10 홍은실 ; 박현정 ; 조수진 ; 민병곤 ; 안현기 ; 오예림 ; 강석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 (27): 243-268, 2016
11 추지영,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재의 과제 분석 연구:과제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2 김용현, "인터뷰를 활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연구"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64) : 24-44, 2015
13 이영준 ; 김지애, "인지적 도제 이론에 기초한한국어 말하기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중급 단계의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 한국어의미학회 48 : 1-25, 2015
14 현태덕 ; 정동빈, "의사소통 영어지도를 위한 과제중심 학습방안"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15 (15): 199-226, 2003
15 홍은실,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발표 교육 내용 분석" 한국화법학회 (28) : 195-219, 2015
16 이선영 ; 나윤주,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적응 실태조사- 교양교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167-193, 2018
17 최정순 ; 윤지원,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어문연구학회 74 : 131-156, 2012
18 권세희, "과제 중심 말하기 활동이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불안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9 Ellis, R., "Task-base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0 Nunan, D., "Task-based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1 Shavelson, R., "Research on teacher's pedagogical thoughts, judgements, decisions and behavior" 51 (51): 455-498, 1981
22 Nunan, D., "Designing tasks for the communicative classroom" Cambridge Uiversity Press 1989
23 Willis, J., "A framework for task-based learning" Longman 1996
쓰기-문법 통합 교육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정확성’과 ‘적절성’을 중심으로
직무 글쓰기의 교육 목표 구체화 연구 - 글쓰기 기초 체력에 해당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공익광고 언어의 주제와 문장 변화 양상 연구 - 1983년부터 2020년 인쇄 공익광고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