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쓰기 수행 과정에서 요구되는 정확성과 적절성 개념의 이해와 적용 양상을 실증적으로 탐색하여 쓰기-문법 통합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해 쓰기-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33842
2022
Korean
Integrated education ; accuracy ; appropriacy ; writing education ; grammar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 통합교육 ; 정확성 ; 적절성 ; 쓰기교육 ; 문법교육 ; 국어교육
KCI등재
학술저널
229-260(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쓰기 수행 과정에서 요구되는 정확성과 적절성 개념의 이해와 적용 양상을 실증적으로 탐색하여 쓰기-문법 통합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해 쓰기-문...
본 연구는 쓰기 수행 과정에서 요구되는 정확성과 적절성 개념의 이해와 적용 양상을 실증적으로 탐색하여 쓰기-문법 통합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해 쓰기-문법 통합 교육에 대한 선행 논의를 분석하여,쓰기 교육과 문법교육의 교집합 요소로 정확성과 적절성에 주목하고,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정확성과 적절성을 교육 내용으로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살폈다.또한 정확성과 적절성에대한 학습자의 이해와 적용 실제를 확인하기 위해 오류 수정 문항을 개발하여 자료를수집한 후,채점 및 기술 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분석 결과를 바탕으로,정확성과 적절성의 개념에 대한 학습자들의 이해 및 수행의 차이와 그 유형별특징을 확인하였다.이러한 본고의 시도는 쓰기-문법 통합 교육의 온전한 구현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지점들이 무엇인지를 포착해 낸다는 점에서 교육내용화원리와 단계별 교육 내용 구성을 위한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또한 학문적 논리에 기초한 통합 교육 논의의 실제성 확보를 위해서는 실증적 연구 성과의 누적을 통한 지속적인 검증이 필요하다는 점에서,본 연구는 쓰기-문법 통합 교육의 실천 가능성 제고를 위한 실증적 연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세형,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 -‘의미를 구성하는 문법 지식’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27) : 203-226, 2005
2 유혜령,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내용 구축에 대한 제언" 한국문법교육학회 22 : 63-90, 2014
3 유혜령, "작문교육에서 문장 쓰기 지도의 방향" 한국문법교육학회 14 : 241-280, 2011
4 이춘근, "읽기·쓰기 능력 발달을 위한 문장 교육 교재 개발 연구-문형지도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18 : 348-378, 2004
5 이춘근, "읽기·쓰기 능력 발달을 위한 문장 교육 교재 개발 연구-문장성분 지도를 중심으로" 국어교과교육학회 5 : 175-199, 2003
6 이성영, "언어 지식 영역 지도의 필요성과 방향"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연구소 2 : 48-60, 1995
7 송현정, "쓰기와 구성적 언어 지식과의 상관성 연구" 한국국어교육연구 94 : 153-178, 1997
8 정미숙, "쓰기능력 향상을 위한 문법 교수학습방안-10학년 국어교과를 중심으로" 국어교과교육학회 11 : 41-72, 2006
9 황재웅,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문법 교육 방안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36) : 329-365, 2007
1 주세형,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 -‘의미를 구성하는 문법 지식’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27) : 203-226, 2005
2 유혜령,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내용 구축에 대한 제언" 한국문법교육학회 22 : 63-90, 2014
3 유혜령, "작문교육에서 문장 쓰기 지도의 방향" 한국문법교육학회 14 : 241-280, 2011
4 이춘근, "읽기·쓰기 능력 발달을 위한 문장 교육 교재 개발 연구-문형지도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18 : 348-378, 2004
5 이춘근, "읽기·쓰기 능력 발달을 위한 문장 교육 교재 개발 연구-문장성분 지도를 중심으로" 국어교과교육학회 5 : 175-199, 2003
6 이성영, "언어 지식 영역 지도의 필요성과 방향"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연구소 2 : 48-60, 1995
7 송현정, "쓰기와 구성적 언어 지식과의 상관성 연구" 한국국어교육연구 94 : 153-178, 1997
8 정미숙, "쓰기능력 향상을 위한 문법 교수학습방안-10학년 국어교과를 중심으로" 국어교과교육학회 11 : 41-72, 2006
9 황재웅,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문법 교육 방안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36) : 329-365, 2007
10 허영실, "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문장성분 호응 지도 내용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1 주세형, "쓰기 敎育을 위한 代案的 文章 槪念"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475-502, 2005
12 김은성, "비판적 언어인식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5 : 293-327, 2005
13 김은성, "비판적 언어인식과 국어교육" 국어교육학회 (46) : 139-181, 2013
14 남가영 ; 김호정 ; 박재현 ; 김은성, "미국 공통핵심기준(CCSS)의 ‘언어(Language)’ 영역의 내용 체계 분석" 국어국문학회 (195) : 387-426, 2021
15 강지혜, "문법과 작문의 통합 지도 방안 연구 : 논술문에 드러난 문법 지식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6 양세희, "문법과 쓰기의 통합적 양상 분석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12 : 271-297, 2010
17 안지용, "문법 능력과 쓰기 능력의 연관성 연구 : 문장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8 박종미, "문법 능력과 쓰기 능력의 상관성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19 구본관, "문법 능력과 문법 평가 문항 개발의 방향" 국어교육학회 (37) : 185-218, 2010
20 주세형, "문법 교육내용의 설계를 위한 기능 중심성 원리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회 (26) : 327-362, 2005
21 이충우, "국어 문법 교육의 개선 방안" 이중언어학회 (26) : 271-290, 2004
22 민현식, "공공언어 요건 정립 및 진단 기준 개발 연구" 국립국어원 2010
23 이삼형, "‘문법’ 영역과 ‘작문’ 영역의 통합 문제" 한국문법교육학회 12 : 65-86, 2010
24 Tribble, C., "Writing"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25 Hillocks, George, Jr., "Research on Written Composition: New Directions for Teaching" National Inst. of Education 1986
26 Straw, S. B., "Research in the language Arts" University Park Press 1981
27 Myhill, D., "Playful explicitness with grammar: A pedagogy for writing" 47 (47): 103-111, 2013
28 Paul,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Mosby 429-453, 2007
29 Weaver, C., "Grammar to Enrich and Enhance Writing" Heinemann 2008
30 Finlay McQuade, "Examining a Grammar Course: The Rationale and the Result"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69 (69): 26-30, 1980
31 Burke, J., "Developing students' textual intelligence through grammar" 8 (8): 56-61, 2001
32 Dean, D., "Bringing Grammar to Life" Intl Reading Assn 2007
33 교육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과제 중심 기반 말하기 수업 연구 - <한국어 고급 회화> 교과목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직무 글쓰기의 교육 목표 구체화 연구 - 글쓰기 기초 체력에 해당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공익광고 언어의 주제와 문장 변화 양상 연구 - 1983년부터 2020년 인쇄 공익광고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