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도장애학생의 교수적 수정에 영향을 미치는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특성 및 협력 변인 비교 = A comparison of influences of general and special teacher's characteristics and collaboration on curricular adap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266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for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personal teacher’s characteristics affects to teacher’s collaboration and instructional adaptation factors, and teacher’s collaboration affects to instructional adaptation in inclusive settings. The contents of the factors are composed as follows: Firstly, ‘personal teacher’s characteristics factor’ included awareness of inclusion, knowledge of curriculum management, will to curriculum management, and conflict between teachers variables. Secondly, ‘teacher’s collaboration factors’ contained personal acquaintance, special teacher’s cooperative effort, and general teacher’s involvement variables. As the third one, for general teachers, creating physical/social condition in inclusive classroom, accommodating teaching content/method variables and for special teachers, special curriculum operation connected inclusive classroom, support to general teachers for instructional adaptation were called ‘curricular/instructional adaptation factors’. For comparing influences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203 materials paired by general and special teachers witch is constructed 103 items based on categories were collected nationwide and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conclusion, general teachers were influenced by affective factors like wil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fluenced by knowledge factors for ccomplishing teachers’ collaboration and curricular/instructional adaptation. And even if the personal relation between teachers was shaped and the basic condition for collaboration were built, general teachers’ interactive response for practice has to be needed crucially. If not, educational approach and adaptation of contents and methods would not be accomplished.
      번역하기

      The purpose for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personal teacher’s characteristics affects to teacher’s collaboration and instructional adaptation factors, and teacher’s collaboration affects to instructional adaptation in inclusive settings. The...

      The purpose for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personal teacher’s characteristics affects to teacher’s collaboration and instructional adaptation factors, and teacher’s collaboration affects to instructional adaptation in inclusive settings. The contents of the factors are composed as follows: Firstly, ‘personal teacher’s characteristics factor’ included awareness of inclusion, knowledge of curriculum management, will to curriculum management, and conflict between teachers variables. Secondly, ‘teacher’s collaboration factors’ contained personal acquaintance, special teacher’s cooperative effort, and general teacher’s involvement variables. As the third one, for general teachers, creating physical/social condition in inclusive classroom, accommodating teaching content/method variables and for special teachers, special curriculum operation connected inclusive classroom, support to general teachers for instructional adaptation were called ‘curricular/instructional adaptation factors’. For comparing influences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203 materials paired by general and special teachers witch is constructed 103 items based on categories were collected nationwide and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conclusion, general teachers were influenced by affective factors like wil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fluenced by knowledge factors for ccomplishing teachers’ collaboration and curricular/instructional adaptation. And even if the personal relation between teachers was shaped and the basic condition for collaboration were built, general teachers’ interactive response for practice has to be needed crucially. If not, educational approach and adaptation of contents and methods would not be accomplish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특성이 교사간 협력과 교수적 수정의 구체적인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 두 집단의 교사간 협력변인이 교수적 수정에 미치는 영향력과 예측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변인의 내용은 국내외 문헌을 통해 관련요소를 추출하여 정교화하였다. 첫째 교사개인적 특성으로 통합교육 관련인식, 교육과정 운영지식 및 의지, 교사간 갈등, 둘째 교사간 협력으로 개인적 친분, 특수교사의 노력, 상호협력, 셋째 교수적 수정으로 통합학급교사는 물리적 환경조성, 교육내용 및 방법수정, 특수교사는 통합학급과 연계성있는 교육과정 운영, 교수적 수정을 위한 지원으로 구분하였다. 각 변인에서 103개 세부 측정항목을 추출하여 질문지를 구성하고, 전국 단위로 두 집단 교사로부터 각각 203개의 자료를 수집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교사개인적 특성의 교사 간 협력과 교수적 수정의 세부 측정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의 비교를 통해, 통합학급 교사는 의지와 같은 정의적 요인이, 특수교사는 지식요인이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교사간 개인적인 관계가 형성되었거나 특수교사가 협력을 위해 기본적인 여건을 조성해 놓았다 하더라도 통합학급 교사가 이에 응해 상호협력적인 관계로 나아가지 못하면 실질적으로 연계성있는 학급 운영, 교육내용과 방법 수정과 같은 교수적 수정 혹은 특수교사의 실질적 지원이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특성이 교사간 협력과 교수적 수정의 구체적인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 두 집단의 교사간 협력변인이 교수적 수정에 미치는 영향력과 예측력의 ...

      본 연구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특성이 교사간 협력과 교수적 수정의 구체적인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 두 집단의 교사간 협력변인이 교수적 수정에 미치는 영향력과 예측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변인의 내용은 국내외 문헌을 통해 관련요소를 추출하여 정교화하였다. 첫째 교사개인적 특성으로 통합교육 관련인식, 교육과정 운영지식 및 의지, 교사간 갈등, 둘째 교사간 협력으로 개인적 친분, 특수교사의 노력, 상호협력, 셋째 교수적 수정으로 통합학급교사는 물리적 환경조성, 교육내용 및 방법수정, 특수교사는 통합학급과 연계성있는 교육과정 운영, 교수적 수정을 위한 지원으로 구분하였다. 각 변인에서 103개 세부 측정항목을 추출하여 질문지를 구성하고, 전국 단위로 두 집단 교사로부터 각각 203개의 자료를 수집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교사개인적 특성의 교사 간 협력과 교수적 수정의 세부 측정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의 비교를 통해, 통합학급 교사는 의지와 같은 정의적 요인이, 특수교사는 지식요인이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교사간 개인적인 관계가 형성되었거나 특수교사가 협력을 위해 기본적인 여건을 조성해 놓았다 하더라도 통합학급 교사가 이에 응해 상호협력적인 관계로 나아가지 못하면 실질적으로 연계성있는 학급 운영, 교육내용과 방법 수정과 같은 교수적 수정 혹은 특수교사의 실질적 지원이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윤한, "학생들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한 개별화수업: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2005

      2 이숙향, "학급내 가치있는 역할부여가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3 이숙향, "학교에서의 통합교육 협력체제" 국립특수교육원 1999

      4 백운국, "특수학급 아동의 교육적 통합을 위한 교수전략의 사용과 지원의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7 : 89-112, 2000

      5 이유훈,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편성·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1 : 3-29, 2000

      6 교육인적자원부, "특수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1998

      7 강경숙, "특수교육보조원의 실태 및 자질과 역할에 대한 인식수준" 국립특수교육원 11 (11): 131-155, 2004

      8 강경숙, "특수교육 교육과정 국제동향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2004

      9 김주혜, "특수교사의 서신지원이 통합학급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통합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0 강혜경, "특수교사와 치료교사 간 협력적 접근을 통한 교실중심언어중재가 장애유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 황윤한, "학생들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한 개별화수업: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2005

      2 이숙향, "학급내 가치있는 역할부여가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3 이숙향, "학교에서의 통합교육 협력체제" 국립특수교육원 1999

      4 백운국, "특수학급 아동의 교육적 통합을 위한 교수전략의 사용과 지원의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7 : 89-112, 2000

      5 이유훈,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편성·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1 : 3-29, 2000

      6 교육인적자원부, "특수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1998

      7 강경숙, "특수교육보조원의 실태 및 자질과 역할에 대한 인식수준" 국립특수교육원 11 (11): 131-155, 2004

      8 강경숙, "특수교육 교육과정 국제동향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2004

      9 김주혜, "특수교사의 서신지원이 통합학급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통합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0 강혜경, "특수교사와 치료교사 간 협력적 접근을 통한 교실중심언어중재가 장애유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1 방명애,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간 협력에 대한 인식 비교" 36 (36): 65-82, 2001

      12 정주영, "통합학급의 정신지체 초등학생을 위한 교수적합화에 대한 일반 교사의 지각"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441-462, 2002

      13 박은혜, "통합된 장애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전략" 25 : 93-113, 1997

      14 박은혜, "통합교육의 한 방법론으로서의 협력교수: 개념과 실행에 관한 논의" 7 : 47-66, 2000

      15 강경숙, "통합교육의 질적인 진전을 위하여" 국가인권위원회 2004

      16 강경숙, "통합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특수학급의 교육과정 운영 및 교사 간 협력" 경기도교육청 2005

      17 권주석, "통합교육의 이행수준과 기대수준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 연구" 34 (34): 135-155, 1999

      18 이소현,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일반교사간 협력모형: 구조적 측면을 중심으로" 7 : 67-87, 2000

      19 유장순, "통합교육 효율화를 위한 초등학교 협력교수 수행과정 연구" 단국대학교대학원 2001

      20 우정한, "통합교육 효율화를 위한 웹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5

      21 이소현,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특수교육 장학의 방향과 과제: 특수학급 및 통합학급 교사지원 중심" 국립특수교육원 2005

      22 강경숙,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면담연구"

      23 정희섭, "통합교육 장면에서의 교육과정 실행 전략"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24 김계숙, "통합교육 운영의 저해요인과 문제해결방안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5 정윤주, "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교사역할에 대한 서울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필요도 인식 및 실행도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6 정주영, "통합교실의 발달지체 초등학생을 위한평가적합화에 대한 일반교사의 지각"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8 (18): 247-268, 2002

      27 노선옥, "초등학생의 성공적 학급 생활을 위한 사회적 기술에 관한 교사의 기대" 국립특수교육원 11 (11): 69-92, 2004

      28 박승희, "초등학교 학교교육운영계획서에 포함된 장애학생 통합교육 관련 내용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16 (16): 423-447, 2003

      29 정영희,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일반교육과정 적용 실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2

      30 정주영, "초등학교 통합교실의 장애학생을 위한 평가적합화에 대한 교사인식" 4 (4): 143-159, 2001

      31 최진영, "초등학교 사회과 교수실제에 영향을 미치는교사변인들의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18 (18): 149-170, 2005

      32 노선옥, "중학교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자료. 과학과 1, 2, 3학년"

      33 김경숙, "제3장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적 접근. 교사를 위한 특수교육 입문: 통합교육. 한국통합교육학회 편" 학지사 2005

      34 강병호, "장애학생의 통합을 위한 협력교수프로그램 in: 초등수학과를 중심으로" 국립특수교육원 2002

      35 강경숙, "장애학생의 질적 통합을 위한 관련변인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34 (34): 119-158, 2007

      36 강경숙,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교과별 수업적용 방법 구안 in: 초등학교 도덕, 사회,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국립특수교육원 2005

      37 김은주, "장애학생 통합을 위한 협동학습 중심의 교수-학습 지원 프로그램 in: 초등사회과를 중심으로" 국립특수교육원 2001

      38 김주홍, "장애중학생을 위한 통합교육 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교사 인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39 박현옥,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의 성공적 실행을 위한 특수교사-일반교사 간 협력" 31 (31): 37-52, 2000

      40 박승희,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적 수정의 개념과 실행방안" 34 (34): 29-71, 1999

      41 김병하, "일반학교 특수학급교사의 교욱세계 - 언저리에 있는 특수학급교사-" 한국특수교육학회 36 (36): 77-100, 2002

      42 강경숙,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00

      43 강경숙, "세 학교의 통합교육 운영사례" 국립특수교육원 2000

      44 박승희, "교실중심 언어중재를 위한 교사와 언어치료사의 협력적 역할 수행"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117-143, 2003

      45 원종례, "교사 간 협력모델이 적용된 활동-중심 삽입교수 중재가 장애유아의 활동 참여와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46 이은주, "게시판을 활용한 통합학급지원이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47 Sailor,W., "Whole-school success and inclusive education: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 achievement, and accountability" Teachers College Press 2002

      48 Burke, M. D., "What curricular designs and strategies accomodate diverse learners?" 34-38, 1998

      49 Tabachinick,B.G.,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HarperCollins Publishers 1996

      50 King-Sears,M.E., "Three steps for gaining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learners with disabilities" 37 (37): 67-76, 2001

      51 McLeskey,J., "The supply of and demand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 review of research regarding the chronic shorta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38 (38): 5-21, 2004

      52 Karge,B.D., "The success of collaboration resource program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rades 6-through 8" 16 (16): 79-89, 1995

      53 Klingner,J.K., "The scienc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37 : 248-255, 2004

      54 Vaughn,S., "The effects of inclusion of the social functioning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29 : 598-608, 1996

      55 Waldron,N.L., "The effects of an inclusive school program on students with mild and severe learning disabilities" 64 : 395-405, 1998

      56 Johnson,E.S., "The effects of accommodations on performance assessments" 21 (21): 261-267, 2000

      57 Cochran,H.K., "Th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analysis of the scale of teachers' attitudes towards inclusion" Education Testing Service 1999

      58 Smith,T.C., "Teach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inclusive settings" Allyn & Bacon 2001

      59 Vaughn,S., "Teaching exceptional, diverse, and at-risk students in the general education classroom" Allyn & Bacon 2000

      60 Cook, B. G.,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ir includ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67 (67): 115-135, 2000

      61 Minke,K.M., "Teacher's Experience with inclusive classrooms: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reform" 30 (30): 152-186, 1996

      62 Kochhar,C.A., "Successful Inclusion: Practical Strategies for a Shared Responsibility" Prentice-Hall 2000

      63 Chung,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ppraisal of Inclusion in the Continuation Stage" Indiana University 2001

      64 Hallahan,D.P., "Sounds bytes from special education reform rhetoric" 19 : 67-69, 1998

      65 Stodden,R.A., "Secondary school curricula issues: Impact on postsecond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70 (70): 9-25, 2003

      66 Hobbs, T., "Promoting successful inclusion: Through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12-19, 1998

      67 Mason, C., "Priority issues reflected i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association journals" 70 (70): 215-229, 2004

      68 Ryan,J.B., "Peer-mediated intervention studies on academic achievement for students with" 25 : 330-341, 2004

      69 Pugach,M.C., "On the failure of imagination in inclusive schooling" 29 : 212-223, 1995

      70 Stainback,W., "Learning together in inclusive classrooms: What about the curriculum?" 28 (28): 14-19, 1996

      71 Villa,R.A., "Instilling collaboration for inclusive schooling as a way of doing business in public schools" 17 (17): 1996

      72 Copeland, S. R., "Increasing access to general education: Perspectives of participants in a high school peer support program" 25 (25): 342-352, 2004

      73 Fisher, D., "Inclusive high schools: Learning from contemporary classrooms" Brookes 1999

      74 Lipsky,D.K., "Inclusive education and school restructuring in Controversial issues confronting special education: Divergent perspectives" Allyn & Bacon 1996

      75 Falvey,M.A., "Inclusive and heterogeneous schooling: Assessment, curriculum, and instruction" Brookes 1995

      76 King-Sears,M.E., "Inclusive Practices of classroom" 17 (17): 217-225, 1996

      77 Lipsky,D.K., "Inclusion and school reform: Transforming America's classrooms"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1997

      78 McLeskey,J., "Inclusion and School Change: Teacher Perceptions Regarding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Adaptations" 25 (25): 41-54, 2002

      79 Scott,B.J., "Implementing instructional adapt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19 (19): 106-119, 1998

      80 Schumm,J.S., "Getting ready for inclusion: Is the stage set?" 10 : 169-179, 1995

      81 deBettencourt,L.U., "General educators'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and their use of instructional strategies: Implications for training" 20 : 27-35, 1999

      82 Turnbull,A.P., "Families, professionals, and exceptionality" Merrill, an imprint of Prentice Hall 1997

      83 Wischnowski,M.W., "Evaluating co-teaching as a means for successful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 rural district" 23 (23): 3-15, 2004

      84 OECD, "Equity in educati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learning difficulties, and disadvantages"

      85 Mercer, C. D., "Empowering teachers and students with instructional choices in inclusive settings" 17 (17): 226-236, 1996

      86 Logan, K. R., "Effects of instructional variables on engaged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63 (63): 481-497, 1997

      87 Kauffman,J.M., "Diverse knowledge and skills require a diversity of instructional groups" 26 (26): 2-6, 2005

      88 Pugach,M.C., "Curriculum trends, special education, and reform: Refocusing the conversation" Teachers College Press 227-252, 1996

      89 Pugach,M.C., "Curriculum matters.: Raising expect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22 (22): 194-196, 2001

      90 Stainback,S., "Curriculum considerations in inclusive classroom: Facilitating learning for all students" Paul H. Brookes 1992

      91 Warger C.D., "Curriculum considerations in an inclusive environment" 28 (28): 1996

      92 Hoover,J.J., "Curriculum adapta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and behavior problems: Principles and practices" Pro-ed 1997

      93 Salend,S.J., "Creating inclusive classrooms: Effective and reflective practices" Merrill Prentice Hall. Chapter 8. Differentiating instruction for diverse learners 2001

      94 Hunt,P., "Collaborative teaming to support students at risk and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69 (69): 315-332, 2003

      95 Walther-Thomas,C., "Collaboration to support students’ success" 32 (32): 1-18, 1999

      96 Walther-Thomas,C., "Collaboration for Inclusive Education: Developing successful programs" Ally and Bacon 2000

      97 Sharpe,M.N., "Collaboration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Making it work" 2 (2): 1-6, 2003

      98 Jordan,A., "Classroom teachers’ instructional interactions with students who are exceptional, at risk, and typically achieving" 18 (18): 82-93, 1997

      99 Matlock,L., "Building the foundation for standards-based instruction for all students" 33 (33): 68-72, 2001

      100 Halvorsen, A. T., "Building inclusive schools: Tools and strategies for success" Allyn and Bacon 2001

      101 Cook, B. G., "Attitudes of principal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ward the inclusion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20 : 199-207, 1999

      102 Praisner,C.L.,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towards the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69 (69): 135-145, 2003

      103 Olsen,M.R., "Attitudes and attribute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identified as effective inclusionists" 18 (18): 28-35, 1997

      104 Baker, J., "Are regular education classes equipped to accommodat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56 : 515-526, 1990

      105 Thurlow,M., "Accomod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high school" 1 (1): 1-6, 2002

      106 Agran. M., "Access to the gener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What it means to teachers" 37 : 123-133, 2002

      107 Fisher, D., "Access to the core curriculum: Critical ingredients for student success" 22 (22): 148-157, 2001

      108 Cook,B.G., "A comparison of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ir included students with mild and severe disabilities" 34 : 203-213, 2001

      109 Jitendra, A. K., "A collaborative approach to planning in the content area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ccessing the general curriculum" 17 (17): 252-267, 2002

      110 박승희, "2000년대 한국 특수학급의 정체성과 발전방향: 특수학교, 특수학급 및 일반학급의 관계구도의 진전" 33 (33): 35-66,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