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노베르트 힌스케, "현대에 도전하는 칸트" 이학사 2004
2 김수배, "칸트철학의 DEF"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2
3 김은하, "칸트의 열려있는 계기적 시간: 1770년 「교수취임논문」 시간론을 중심으로 한 시적 고찰" 한국현상학회 (73) : 35-68, 2017
4 테오도르 아도르노,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세창 2022
5 김석수, "칸트의 ‘사이성’의 철학과 주체" 문예미학회 10 : 2002
6 김은하, "칸트, <교수취임논문>에서의 사유 활동과 구상력(KrV A100)의 필연성" 새한철학회 74 (74): 101-125, 2013
7 김은하, "칸트 비판철학의 모체로서 1770년「교수취임논문」의 발달사적 의미" 한국해석학회 (34) : 133-152, 2014
8 김혜숙, "칸트 경계의 철학, 철학의 경계"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1
9 김은하, "줄리앙의 에캬르(ÉCART) 개념 분석을 통한 문화의 다원화 가능성" 대동철학회 94 : 109-128, 2021
10 김영진, "작동 개념으로서의 선험성 - 칸트와 후설의 경우" 한국칸트학회 (25) : 201-228, 2010
1 노베르트 힌스케, "현대에 도전하는 칸트" 이학사 2004
2 김수배, "칸트철학의 DEF"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2
3 김은하, "칸트의 열려있는 계기적 시간: 1770년 「교수취임논문」 시간론을 중심으로 한 시적 고찰" 한국현상학회 (73) : 35-68, 2017
4 테오도르 아도르노,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세창 2022
5 김석수, "칸트의 ‘사이성’의 철학과 주체" 문예미학회 10 : 2002
6 김은하, "칸트, <교수취임논문>에서의 사유 활동과 구상력(KrV A100)의 필연성" 새한철학회 74 (74): 101-125, 2013
7 김은하, "칸트 비판철학의 모체로서 1770년「교수취임논문」의 발달사적 의미" 한국해석학회 (34) : 133-152, 2014
8 김혜숙, "칸트 경계의 철학, 철학의 경계"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1
9 김은하, "줄리앙의 에캬르(ÉCART) 개념 분석을 통한 문화의 다원화 가능성" 대동철학회 94 : 109-128, 2021
10 김영진, "작동 개념으로서의 선험성 - 칸트와 후설의 경우" 한국칸트학회 (25) : 201-228, 2010
11 김은하, "이데올로기의 탈피 방법론으로서 ‘탈-합치(de-coincidence)’의 공존 윤리" 인문학연구원 87 : 487-520, 2021
12 김은하, "시적 사색을 통한 칸트의 ‘시간(tempus)’ 개념 고찰- 칸트의 1770년 「교수취임논문」을 중심으로 -" 새한철학회 89 (89): 31-58, 2017
13 김은하, "시문학에서의 경험적 시간 해석과 실러의 구성․논리적 시간에 대한 고찰" 인문과학연구소 40 (40): 339-372, 2019
14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2" 아카넷 2011
15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1" 아카넷 2013
16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 삼성세계사상 1999
17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 박영사 2023
18 임마누엘 칸트, "비판기 이전 저작III (1763~1777)" 한길사 2021
19 김은하, "경험적 시간과 논리적 구성물로서의 시간 - 칸트 시간론의 시(詩)적 적용" 한국현상학회 (80) : 57-81, 2019
20 빌헬름 빈델반트, "감성계와 지성계의 형식과 원리들" 이제이북스 2007
21 임마누엘 칸트, "감성계와 지성계의 형식과 원리들" 이제이북스 2007
22 쿠노 피셔, "감성계와 지성계의 형식과 원리들" 이제이북스 2007
23 임재훈, "「순수이성비판」에 나타난 수학적 인식의 특성: 개념의 구성"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6 (16): 1-19, 2012
24 Kant, I, "Über eine Entdeckung, nach der alle neue Kritik der reinen Vernunft durch eine ältere entbehrlich gemacht werden soll, Aufl.2"
25 Fink, O., "Operative Begriffe in Husserls Phänomenologie" 11 (11): 1957
26 Kant, I., "Kritik der reinen Vernunft, nach der ersten und zweiten Originalausgabe" Meiner 1998
27 Kant, I., "Kritik der Urteilskraft" Meiner 2006
28 Kant, I., "De mundi sensibilis atque intelligibilis forma et principiis" Meiner 1958
29 Kant, I., "Beantwortung der Frage : Was ist Aufklärung?" (12) : 1784
30 Kant, I., "Akademie-Ausgabe: Kant’s gesammelte Schriften, Bd. II-XXV" 1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