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내 소득기여도가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시간에 미치는 효과: 조사시기와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Wives' Household Income Contributions on Dual-Earner Couples' Housework Time: Focus on Investigating Period Interaction Eff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01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rst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whether wives' income contributions affect the time spent on housework by dual-earner couples. The second purpose was to investigate period interaction effects on the effect of wives' income contribut...

      The first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whether wives' income contributions affect the time spent on housework by dual-earner couples. The second purpose was to investigate period interaction effects on the effect of wives' income contributions. For this, Korean Time Use Survey data 2004-2019 was analyzed. The analysis target was dual-earner couple aged 20-59 years. The dependent variable was time spent on housework, and the analysis method was tobit reg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three findings: First, there was a U-shaped relation between wives' income contributions and wives' housework time. Second, this relationship became stronger as time progressed. Third, although wives' income contributions positively affected husband housework time, husband housework time was actually zero before 2019.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not economic perspective, but gender perspective, is more useful for understanding dual-earner couples' division of housewor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아내 소득기여도가 맞벌이 부부의 가사시간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아내 소득기여도 효과에 대한 조사시기 조절효과를 살피는 것이...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아내 소득기여도가 맞벌이 부부의 가사시간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아내 소득기여도 효과에 대한 조사시기 조절효과를 살피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04년부터 2019년까지의 통계청 생활시간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20세 이상 60세 미만 맞벌이 부부이다. 종속변수는 맞벌이 부부의 가사시간이며, 분석방법은 토빗 분석이다. 분석 결과 세 가지 사실들을 발견하였다. 첫째, 아내 소득기여도와 아내 가사시간 사이에는 U자형 관계가 있었다. 둘째, 시간이 흐르면서 아내 소득기여도와 아내 가사시간 사이의 U자형 관계는 점점 더 강해지고 있었다. 셋째, 아내 소득기여도가 증가할수록 남편 가사시간은 증가하지만 2019년 이전까지 남편의 가사시간은 사실상 0에 가까웠다. 이상의 결과들은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경제학적 관점이 아닌 젠더적 관점이 더 유용함을 보여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지원 ; 기은광 ; 고선강, "한국 여성과 남성의 세대별 가사노동시간의 변화(1999-2019) : 가정관리 및 가족돌봄 시간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5 (25): 53-78, 2021

      2 김수정 ; 김은지,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교환 혹은 젠더보상?" 한국사회학회 41 (41): 147-174, 2007

      3 은기수,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한국인구학회 32 (32): 145-171, 2009

      4 조미라 ; 윤수경, "한국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연구 -교육수준에 따른 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4) : 5-30, 2014

      5 이현아, "중년세대의 가사노동 변화 트렌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5 (25): 47-61, 2021

      6 송유미 ; 이제상, "저출산의 원인에 관한 연구: 산업사회의 변화와 여성의 사회진출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27-61, 2011

      7 이현아 ; 김선미, "아버지의 일ㆍ가정양립 유형과 일ㆍ가정양립 양상"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3 (23): 75-88, 2019

      8 이정은 ; 서지원, "아버지의 미취학자녀 돌봄시간 변화 추이 분석(2004-2019)"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5 (25): 103-120, 2021

      9 이현아 ; 김주희, "세대별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 연구: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5 (25): 71-86, 2021

      10 김소영 ; 진미정,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2004년 - 201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 가정과삶의질학회 34 (34): 65-84, 2016

      1 서지원 ; 기은광 ; 고선강, "한국 여성과 남성의 세대별 가사노동시간의 변화(1999-2019) : 가정관리 및 가족돌봄 시간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5 (25): 53-78, 2021

      2 김수정 ; 김은지,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교환 혹은 젠더보상?" 한국사회학회 41 (41): 147-174, 2007

      3 은기수,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한국인구학회 32 (32): 145-171, 2009

      4 조미라 ; 윤수경, "한국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연구 -교육수준에 따른 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4) : 5-30, 2014

      5 이현아, "중년세대의 가사노동 변화 트렌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5 (25): 47-61, 2021

      6 송유미 ; 이제상, "저출산의 원인에 관한 연구: 산업사회의 변화와 여성의 사회진출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27-61, 2011

      7 이현아 ; 김선미, "아버지의 일ㆍ가정양립 유형과 일ㆍ가정양립 양상"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3 (23): 75-88, 2019

      8 이정은 ; 서지원, "아버지의 미취학자녀 돌봄시간 변화 추이 분석(2004-2019)"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5 (25): 103-120, 2021

      9 이현아 ; 김주희, "세대별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 연구: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5 (25): 71-86, 2021

      10 김소영 ; 진미정,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2004년 - 201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 가정과삶의질학회 34 (34): 65-84, 2016

      11 허수연, "맞벌이가구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회 24 (24): 177-210, 2008

      12 주익현, "맞벌이 여성의 소득기여도가 가사 시간량에 미치는 효과: 2004년, 2009년, 2014년 시계열적 변화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46 (46): 49-68, 2015

      13 배호중, "맞벌이 가구 남편의 가사노동시간: 홑벌이 가구 남편과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1 (31): 151-181, 2015

      14 주익현 ; 최성수, "남자가 여자를 ‘도와줄’ 때: 부부 간 가사노동 분업에서 시간대 동기화의 중요성" 한국사회학회 53 (53): 213-248, 2019

      15 문재선 ; 이정윤, "기혼직장여성들의 진로지속동기와 사회적 지지에 기초한 군집유형별 일-가정 균형감 및 삶의 만족도의 차이" 한국상담학회 20 (20): 121-141, 2019

      16 김난주 ; 권태희, "기혼여성의 직장‧가정균형과 삶의 질의 상호관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76 (76): 43-70, 2009

      17 장인수 ; 우해봉, "기혼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 차이와 영향요인 분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95 (95): 41-72, 2017

      18 박수미, "가족내 성평등과 저출산" 2005 (2005): 36-44, 2005

      19 김외숙, "가사노동과 시간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5

      20 Feeney, C, "Women and the myth of having it all" Havard University 2017

      21 Bittman, M, "When does gender trump money? Bargaining and time in household work" 109 (109): 186-214, 2003

      22 Grunow, D, "What determines change in the division of housework over the course of marriage?" 27 (27): 289-307, 2012

      23 Voßemer, J, "Unemployment and Housework in Couples: Task‐Specific Differences and Dynamics Over Time" 81 (81): 1074-1090, 2019

      24 Hochschild, A. R, "The second shift" Avon Books 1989

      25 Gershuny, J, "The Social and Political Economy of the Household" 151-197, 1994

      26 Han, B, "Race, gender, and power in Asian American interracial marriages" 96 : 102542-, 2021

      27 Rodman, H, "Marital power in France, Greece, Yugoslavia, and the United States: A cross-national discussion" 320-324, 1967

      28 Blood, R, "Husbands and Wives" Free Press 1960

      29 Gershuny, J, "Exit, voice, and suffering: Do couples adapt to changing employment patterns?" 67 (67): 656-665, 2005

      30 Blau, P,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Routledge 1964

      31 Tobin, J, "Estimation of relationships for limited dependent variables" 24-36, 1958

      32 Chen, F, "Employment transitions and the household division of labor in China" 84 (84): 831-851, 2005

      33 Brines, J, "Economic dependency, gender, and the division of labor at home" 100 (100): 652-688, 1994

      34 Greenstein, T. N, "Economic dependence, gender, and the division of labor in the home: A replication and extension" 62 (62): 322-335, 2000

      35 Kan, M. Y, "Does gender trump money? Housework hours of husbands and wives in Britain" 22 (22): 45-66, 2008

      36 Evertsson, M, "Dependence within families and the division of labor : Comparing Sweden and the United States" 66 (66): 1272-1286, 2004

      37 Evertsson, M, "Changing resources and the division of housework: A longitudinal study of Swedish couples" 23 (23): 455-470, 2007

      38 Sullivan, O, "Change in spousal human capital and housework: A longitudinal analysis" 32 (32): 864-880, 2016

      39 Becker, G. S, "A Treatise on theFamil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외국어명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8-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 of KFRMA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6 1.709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