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라이브 스트리밍 공연의 소비자 시청요인이 시청만족과 지속이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87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외 주요 극장 및 공연단체들이 공연생중계를 위한 스트리밍용 공연을 제작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현 시점에서, 온라인 공연 소비자에 대한 다각적 탐구를 통한 온라인 ...

      본 연구는 국내외 주요 극장 및 공연단체들이 공연생중계를 위한 스트리밍용 공연을 제작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현 시점에서, 온라인 공연 소비자에 대한 다각적 탐구를 통한 온라인 공연 소비 활성화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스트리밍 방식으로 공연을 소비하는 소비자들의 시청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요인들이 시청 만족과 지속이용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온라인 스트리밍 공연의 유료, 무료 시청자 그룹을 나누어 그룹별로 시청요인들이 만족도와 지속이용의사에 어떠한 다른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도출된 5개의 시청요인(개인적요인, 홍보마케팅요인, 콘텐츠요인, 편의성요인, 영상화요인) 중 개인적요인, 콘텐츠요인, 편의성요인이 시청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개인적요인, 홍보마케팅요인이 지속이용의사에 통계적 유의수준하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료시청자 그룹과 무료 시청자그룹 별 시청만족과 지속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력도 그룹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브 스트리밍 관객들의 시청 결정 요인을 정립하여 시청만족, 지속이용의사와의 영향력을 검증한 본 연구는 기존에 미흡하였던 온라인 공연 소비자 분야 연구의 확장에 기여할 것이며 라이브 스트리밍 공연을 기획·제작하는 실무진들에게도 미래 전략 수립을 위한 세부적인 지침과 통찰을 제공하리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talize online performance consumption through multi-faceted research on online performance consumers at a time when major domestic and foreign theaters and performance organizations are focusing their efforts on pr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talize online performance consumption through multi-faceted research on online performance consumers at a time when major domestic and foreign theaters and performance organizations are focusing their efforts on producing streaming performances for live performances. Accordingly, we tried to derive the viewing factors of consumers who consume performances through online streaming, and to examine how these factors affect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use. In addition, we divided the paid/free viewer groups of online streaming performances and tried to find out how the viewing factors have different effects on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e intention for each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mong the five factors(personal factors, marketing factor, content factor, convenience factor, video factor), personal factors, content factors, and convenience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and personal factors and marketing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ed use inten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satisfaction and th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paid viewer groups and the free viewer groups. This study, which established the determining factors for the viewing of live streaming audiences and verified the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will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research in the field of online performance consumer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rovide detailed guidelines and insights for future strategy establishment to working-level staff who plan and produce live streaming performan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III. 연구방법
      • IV. 연구 결과
      • V. 결론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III. 연구방법
      • IV. 연구 결과
      • V.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선혜, "포스트코로나 시대 비대면 공연예술의 전망과 과제" 서울연구원 1-30, 2020

      2 권혁인, "클래식 음악공연의 소비자 선택요인이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객유형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168-182, 2016

      3 예술경영지원센터, "클래식 음악‧발레 관객 조사 보고서" 2010

      4 김성경, "클래식 라이브 스트리밍 공연의 서비스 품질이 시청만족과 현장공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20 (20): 60-72, 2020

      5 전종우, "코로나19 정보 이용과 소비자 특성이 비대면 온라인 공연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공사 33 (33): 193-214, 2021

      6 뉴시스, "집에서 즐기는 연극‧콘서트‧클래식‧‧‧온라인 공연 총정리"

      7 한찬희, "전통예술공연 관객의 만족도 및 중요도 분석" 한국문화산업학회 20 (20): 43-52, 2020

      8 박명숙, "음악 공연의 서비스 품질과 관계 품질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5 (15): 88-97, 2015

      9 예술경영지원센터, "월간 공연전산망, Vol.3, 2021년 7월호" 2021

      10 김현수, "온라인공연 소비자의 시청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상품학회 39 (39): 25-34, 2021

      1 백선혜, "포스트코로나 시대 비대면 공연예술의 전망과 과제" 서울연구원 1-30, 2020

      2 권혁인, "클래식 음악공연의 소비자 선택요인이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객유형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168-182, 2016

      3 예술경영지원센터, "클래식 음악‧발레 관객 조사 보고서" 2010

      4 김성경, "클래식 라이브 스트리밍 공연의 서비스 품질이 시청만족과 현장공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20 (20): 60-72, 2020

      5 전종우, "코로나19 정보 이용과 소비자 특성이 비대면 온라인 공연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공사 33 (33): 193-214, 2021

      6 뉴시스, "집에서 즐기는 연극‧콘서트‧클래식‧‧‧온라인 공연 총정리"

      7 한찬희, "전통예술공연 관객의 만족도 및 중요도 분석" 한국문화산업학회 20 (20): 43-52, 2020

      8 박명숙, "음악 공연의 서비스 품질과 관계 품질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5 (15): 88-97, 2015

      9 예술경영지원센터, "월간 공연전산망, Vol.3, 2021년 7월호" 2021

      10 김현수, "온라인공연 소비자의 시청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상품학회 39 (39): 25-34, 2021

      11 김종근, "온라인 기반 예술 공연의 관객 확보 요인에 관한 탐색 연구 - 시스템 사고에 기반한 피드백 구조를 중심으로 -" 국가미래기술경영연구소 5 (5): 1-20, 2020

      12 윤유경, "여성의 클래식음악공연 수용과정 연구 - 성차를 중심으로 -" 이화사회과학원 22 : 145-166, 2009

      13 이찬, "소비자의 클래식공연유형 인식과 활용이 클래식공연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8 (18): 661-674, 2018

      14 김은미, "공연예술계 온라인 문화매개자의 등장과 변화" 언론정보연구소 49 (49): 74-114, 2012

      15 안호상, "공연예술 시즌 티켓이 관객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2016

      16 김규진, "Sac on Screen 사업 분석을 통한 온라인 공연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 (20): 114-127, 2020

      17 Skrzpczak, C. S., "Is there a niche for major symphony with its own symphony hall on Long Island" l7 (l7): 163-202, 1970

      18 Fowler, F. J., "Improving Survey Questions : Design and Evaluation" Sage 1995

      19 박근영, "IPA를 활용한 전통무용공연 관람동기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연구" 한국체육학회 54 (54): 677-690, 2015

      20 Fink, A., "How to Ask Survey Questions" Sage 1995

      21 유안나, "BTS‘방방콘 The Live’의 비접촉 콘서트로서의 대안 포맷 가능성"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27-35, 2020

      22 Bradburn, N. M., "Asking Questions: the Definitive Guide to Questionnaire Design for Market Research, Political Polls, and Social and Health Questionnaires" John Wiley & Sons 2004

      23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 만화·애니·캐릭터·음악 이용자 실태조사" 2020

      24 김광현, "1인 미디어 무용 콘텐츠 현황 분석 -유튜브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78 (78): 25-39,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무역학회 -> 한국문화산업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 Korea Society of Culture Industr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3 1.366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