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해 연안해역의 천문조위 산출 및 조석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487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 자료는 국립해양조사원의 관측시기가 18.6년인 이상은 검조소를 5곳을 선정하여 부산, 울산, 속초, 묵호, 울릉도 검조소의 1시간 간격 조위자료에서 천문조를 포함하는 ...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 자료는 국립해양조사원의 관측시기가 18.6년인 이상은 검조소를 5곳을 선정하여 부산, 울산, 속초, 묵호, 울릉도 검조소의 1시간 간격 조위자료에서 천문조를 포함하는 자료를 취득하였다. 서해안과 남해안에 비하여 동해안은 조수간만의 차가 작게 나타나는 곳으로 동해안의 조석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년 장기 조화분해를 실시하여 조화상수를 취득하였다. 태음반일주조(M2분조)가 가장 높게 나타난 부산 37.3cm, 울산 15.5cm로 가장 높게 나타나며, 태양연주조(SA분조)가 가장 높게 나타난 묵호 10.6cm, 속초 11.9cm, 울릉도 12.5cm로 나타났다. 부산에서 울산까지는 천문조(M2, S2, K1, O1, N2)의 성분이 높게 나타났지만 묵호, 속초, 울릉도에서 주기적인 기상조(SA, SSA)의 성분이 높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ide data including astronomical tides were obtained from tide data at 1-hour intervals from Busan, Ulsan, Sokcho, Mukho, and Ulleungdo by selecting 5 tide stations for the East Coast data with an observation period of 18.6 years or mor...

      In this study, tide data including astronomical tides were obtained from tide data at 1-hour intervals from Busan, Ulsan, Sokcho, Mukho, and Ulleungdo by selecting 5 tide stations for the East Coast data with an observation period of 18.6 years or more by KHOA. Compared to the west coast and the south coast, the east coast shows a small difference in tidal flow. In order to understand the tidal characteristics of the east coast, a long-term harmonic decomposition was performed for 19 years to obtain a harmonic constant. The lunar semidiurnal constituent(M2 tidal constituents) was highest in Busan at 37.3 cm and Ulsan at 15.5 cm, The solar annual tide(SA tidal constituents) were Mukho 10.6cm, Sokcho 11.9cm, and Ulleungdo 12.5cm. From Busan to Ulsan, the astronomical tides (M2, S2, K1, O1, N2) were high, but in Mukho, Sokcho, and Ulleungdo, the meteorological tide(SA, SSA) were high.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