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의 통합비전, 생명평화의 섬과 제주특별법의 미래 = The Integral Vision of Jeju, Island of Life Peace and the Future of Jeju Special La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520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제주는 난개발로 인한 자연환경 훼손, 지역사회 갈등, 삶의 질의 악화 등 총체적인 위기를 맞고 있다. 이는 올바른 비전의 부재가 가져온 결과다. 기존의 제주 비전인 국제자유도시, ...

      오늘날 제주는 난개발로 인한 자연환경 훼손, 지역사회 갈등, 삶의 질의 악화 등 총체적인 위기를 맞고 있다. 이는 올바른 비전의 부재가 가져온 결과다. 기존의 제주 비전인 국제자유도시, 세계평화의 섬, 세계환경수도, 특별자치도 등은 서로 모순되고 여러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제주의 독특한 역사와 문화, 지정학적 위치, 천혜의 자연환경을 잘 담아내면서도 시대의 패러다임 변화를 선도할 수 있는 새로운 비전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제주특별법의 진화과정을 살펴보고 각종의 제주비전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다음, 제주지역에서 자생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생명평화의 섬 제주를 새로운 비전으로 제시하고 이를 구체화하는 3대 목표로 ⅰ) 고도의 자치권을 향유하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완성, ⅱ) 쉼과 치유의 본향인 자연치유의 섬 지정, ⅲ) 세계평화와 번영에 기여하는 국제평화도시 조성을, 그 추진기반으로 지역경제를 일구는 씨·네트워크를 각각 설정하는 것을 제안해 본다. 한편 위와 같은 비전과 3대 목표, 추진기반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제주특별자치도법」을 대체하는 「제주생명평화의 섬 실현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이 법에 근거한 ‘제주생명평화의 섬 종합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ㆍ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Jeju is facing the general crisis such as damaging the natural environment, community conflict,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life. The reason is that there is no correct vision in Jeju. Jeju visions like free international city, island of world...

      Today, Jeju is facing the general crisis such as damaging the natural environment, community conflict,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life. The reason is that there is no correct vision in Jeju. Jeju visions like free international city, island of world peace, world environmental hub,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re contradictory to each other and have several limits. So we need new vision which would put Jeju`s own history and culture, geopolitical area,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 well in it, and lead the change of paradigm. I would look into the evolutionary process of Jeju special law, and examine several Jeju visions critically, then, I would propose island of life peace, Jeju as a new vision, and ⅰ) the completion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as, ⅱ) the designation as island of natural healing, ⅲ)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peace city as three goals, and ssiol network as a foundation. We need to establish the special law on the realization of the island of life peace, Jeju and the master plan on the island of life peace, Jeju to fulfill a new vision, three goals, a found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근형, "해군기지와 제주발전" 제주대학교평화연구소 2007

      2 제주국제협의회, "평화와 번영의 제주" 신라출판사 1993

      3 "특별자치도추진백서" 제주특별자치도 2007

      4 한석지, "지역발전의 지방정치학" 인간사랑 2008

      5 부만근, "제주지방행정사" 제주대학교 출판부 2007

      6 김부찬, "제주의 국제화 전략" 온누리 2007

      7 조성윤, "제주도의 평화정책과 해군기지 문제" 제주학회 2011

      8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보완계획" 제주특별자치도 2006

      9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제주도 2002

      10 오영덕, "자연치유의 섬, 제주 미래를 바꾸다(제주자연치유시민연합 내부토론 자료집)" 2012

      1 강근형, "해군기지와 제주발전" 제주대학교평화연구소 2007

      2 제주국제협의회, "평화와 번영의 제주" 신라출판사 1993

      3 "특별자치도추진백서" 제주특별자치도 2007

      4 한석지, "지역발전의 지방정치학" 인간사랑 2008

      5 부만근, "제주지방행정사" 제주대학교 출판부 2007

      6 김부찬, "제주의 국제화 전략" 온누리 2007

      7 조성윤, "제주도의 평화정책과 해군기지 문제" 제주학회 2011

      8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보완계획" 제주특별자치도 2006

      9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제주도 2002

      10 오영덕, "자연치유의 섬, 제주 미래를 바꾸다(제주자연치유시민연합 내부토론 자료집)" 2012

      11 신구범, "신지사, 독립운동 한다며" 도서출판 각 2001

      12 신용인, "소프트 파워와 제주 ‘평화의 섬’의 법적 과제" 법과정책연구원 18 (18): 319-347, 2012

      13 "세계환경수도조성기본계획" 제주특별자치도 2010

      14 프리초프 카프카, "생명의 그물" 범양사출판부 2001

      15 고성준, "남북화해ㆍ협력시대와 제주국제자유도시 건설" 제주발전연구원 (4) : 2000

      16 신용인, "국제자유도시의 비판적 검토와 제주 비전 찾기" 2012

      17 진관훈, "국제자유도시의 경제학" 각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0-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Law & Policy Institute -> The Institute of Law & Policy Jeju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4-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과정책연구소 -> 법과정책연구원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10-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Law & Policy Review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소 -> 법과정책연구소
      영문명 : 미등록 -> Law & Policy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1 0.735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