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 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포스트식민주의 담론의 기원과 전개
- Ⅲ. 포스트식민주의 성서비평과 여성신학
- Ⅳ. 실천신학에 대한 포스트식민주의 접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29116
2024
Korean
포스트식민주의 ; 혼종성 ; 제3의 공간 ; 실천신학 ; 기독교교육학 ; postcolonialism ; hybridity ; third space ; practical theology ; Christian education
235
KCI등재
학술저널
413-451(3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내한 선교사 언더우드와 마펫의 종교 · 교육적 동일화 연구
아포스톨로스(ἀπόστολος)와 선교적 사명 : 요한복음 17장 18절을 중심으로
알렉산더 더프(Alexander Duff)의 인도 교육 선교에 관한 연구
은퇴 선교사의 두 번째 인생 : 자기성찰 디브리핑의 역할 수행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