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 전략이 운동열정과 운동정서 그리고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2년 현재 대한태권도협회 산하...
이 연구는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 전략이 운동열정과 운동정서 그리고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2년 현재 대한태권도협회 산하 경기단체 등록한 남・여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이 들 가운데 2012년 대한태권도협회 주관으로 실시되는 제39회 전국대학 태권도개인선수권대회에 참가한 대학부 남·여 태권도 겨루기선수들 가운데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300명을 표집 하였으며, 실제분석은 294부를 이 연구에 활용하였다. 사용된 통계프로그램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자료 분석 기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자기관리전략의 하위요인인 대인관리요인은 운동열정의 하위요인인 강박열정에 그리고 훈련관리와 대인관리는 조화열정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요인의 하위요인인 훈련관리요인은 운동정서의 긍정적 정서부분인 자부심과 행복에, 신체관리는 긍·부정적 부분인 행복, 사랑, 분노, 슬픔에, 정신관리는 행복에, 대인관리는 불안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의 하위요인인 훈련관리요인은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 정신적인 태도와 사고, 시합 중 자신감의 수준, 노력의 양, 기술의 질, 신체의 느낌, 집중력, 타이밍과 리듬, 시합에서 기대했던 수행과 실제 수행과 비교 등 모든 요인에, 정신관리는 노력의 양, 신체의 느낌, 집중력에, 대인관리는 정신적인 태도와 사고, 기술의 질, 집중력에, 신체관리는 신체의 느낌과 타이밍과 리듬에 각각 영향을 미친다.
넷째,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열정 하위요인인 강박열정은 운동정서의 하위요인인 행복, 사랑, 분노, 슬픔에, 조화열정은 운동정서의 긍정적 요인인 자부심, 행복, 사랑, 부정적 요인인 분노, 슬픔, 불안에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열정 하위요인인 강박열정은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인 시합 중 자신감의 수준, 기술의 질, 신체의 느낌, 집중력에, 조화열정은 정신적인 태도와 사고, 시합 중 자신감의 수준, 노력의 양, 기술의 질, 신체의 느낌, 타이밍과 리듬, 집중력, 시합에서 기대했던 수행과 실제 수행과 비교 등 인지된 경기력 하위요인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정서의 긍정적 정서요인인 자부심은 정신적인 태도와 사고, 시합 중 자신감의 수준, 노력의 양, 기술의 질, 신체의 느낌, 집중력, 시합에서 기대했던 수행과 실제 수행과의 비교에, 행복은 노력의 양, 신체의 느낌, 집중력, 시합에서 기대했던 수행과 실제 수행과의 비교에, 사랑은 노력의 양, 시합에서 기대했던 수행과 실제수행과의 비교에 정적 영향을, 부정적 정서요인인 슬픔은 신체의 느낌에, 불안은 노력의 양, 신체의 느낌, 집중력, 시합에서 기대했던 수행과 실제 수행과의 비교에 부적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