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 전략이 운동열정, 운동정서,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870236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96.8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Effect of the self-management strategies on passionate movement, exercise affect,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college Taekwondo player’s

      • 형태사항

        vii, 95장: 삽화; 30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유찬
        참고문헌 :78-86장 서지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self management of Taekwondo players effects on the sports passion, exercise emotion and cognitive performance. The subjects were 300 of Taekwondo players registered on the 2012 Korea Taekwondo association and performed the questionnaires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and 294 sets besides the 6 sets that were answerd neglectedly are practically used for the analysis. Statistical techniques to analyze above data was process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s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of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ed that self-management has an effect on sports passion statistically. The college Taekwondo players of self-management significantly influences on sports passion partially.
      Second, The study showed that self-management has an effect on exercise emotion. The college Taekwondo players of self-management significantly influences on exercise emotion partially.
      Third, The study showed that self-management has an effect on cognitive performance. The college Taekwondo players of self-management significantly influences on cognitive performance.
      fourth, The study showed that sports passion has an effect on exercise emotion. The college Taekwondo players of sports passion significantly influences on exercise emotion.
      Fifth, The study showed that sports passion has an effect on cognitive performance. The college Taekwondo players of sports passion significantly influences on cognitive performance.
      Sixth, The study showed that exercise emotion has an effect on cognitive performance. The college Taekwondo players of exercise emo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on cognitive performa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self management of Taekwondo players effects on the sports passion, exercise emotion and cognitive performance. The subjects were 300 of Taekwondo players registered on the 2012 Korea Taekwondo associ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self management of Taekwondo players effects on the sports passion, exercise emotion and cognitive performance. The subjects were 300 of Taekwondo players registered on the 2012 Korea Taekwondo association and performed the questionnaires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and 294 sets besides the 6 sets that were answerd neglectedly are practically used for the analysis. Statistical techniques to analyze above data was process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s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of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ed that self-management has an effect on sports passion statistically. The college Taekwondo players of self-management significantly influences on sports passion partially.
      Second, The study showed that self-management has an effect on exercise emotion. The college Taekwondo players of self-management significantly influences on exercise emotion partially.
      Third, The study showed that self-management has an effect on cognitive performance. The college Taekwondo players of self-management significantly influences on cognitive performance.
      fourth, The study showed that sports passion has an effect on exercise emotion. The college Taekwondo players of sports passion significantly influences on exercise emotion.
      Fifth, The study showed that sports passion has an effect on cognitive performance. The college Taekwondo players of sports passion significantly influences on cognitive performance.
      Sixth, The study showed that exercise emotion has an effect on cognitive performance. The college Taekwondo players of exercise emo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on cognitive perform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 전략이 운동열정과 운동정서 그리고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2년 현재 대한태권도협회 산하 경기단체 등록한 남・여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이 들 가운데 2012년 대한태권도협회 주관으로 실시되는 제39회 전국대학 태권도개인선수권대회에 참가한 대학부 남·여 태권도 겨루기선수들 가운데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300명을 표집 하였으며, 실제분석은 294부를 이 연구에 활용하였다. 사용된 통계프로그램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자료 분석 기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자기관리전략의 하위요인인 대인관리요인은 운동열정의 하위요인인 강박열정에 그리고 훈련관리와 대인관리는 조화열정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요인의 하위요인인 훈련관리요인은 운동정서의 긍정적 정서부분인 자부심과 행복에, 신체관리는 긍·부정적 부분인 행복, 사랑, 분노, 슬픔에, 정신관리는 행복에, 대인관리는 불안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의 하위요인인 훈련관리요인은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 정신적인 태도와 사고, 시합 중 자신감의 수준, 노력의 양, 기술의 질, 신체의 느낌, 집중력, 타이밍과 리듬, 시합에서 기대했던 수행과 실제 수행과 비교 등 모든 요인에, 정신관리는 노력의 양, 신체의 느낌, 집중력에, 대인관리는 정신적인 태도와 사고, 기술의 질, 집중력에, 신체관리는 신체의 느낌과 타이밍과 리듬에 각각 영향을 미친다.
      넷째,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열정 하위요인인 강박열정은 운동정서의 하위요인인 행복, 사랑, 분노, 슬픔에, 조화열정은 운동정서의 긍정적 요인인 자부심, 행복, 사랑, 부정적 요인인 분노, 슬픔, 불안에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열정 하위요인인 강박열정은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인 시합 중 자신감의 수준, 기술의 질, 신체의 느낌, 집중력에, 조화열정은 정신적인 태도와 사고, 시합 중 자신감의 수준, 노력의 양, 기술의 질, 신체의 느낌, 타이밍과 리듬, 집중력, 시합에서 기대했던 수행과 실제 수행과 비교 등 인지된 경기력 하위요인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정서의 긍정적 정서요인인 자부심은 정신적인 태도와 사고, 시합 중 자신감의 수준, 노력의 양, 기술의 질, 신체의 느낌, 집중력, 시합에서 기대했던 수행과 실제 수행과의 비교에, 행복은 노력의 양, 신체의 느낌, 집중력, 시합에서 기대했던 수행과 실제 수행과의 비교에, 사랑은 노력의 양, 시합에서 기대했던 수행과 실제수행과의 비교에 정적 영향을, 부정적 정서요인인 슬픔은 신체의 느낌에, 불안은 노력의 양, 신체의 느낌, 집중력, 시합에서 기대했던 수행과 실제 수행과의 비교에 부적영향을 미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 전략이 운동열정과 운동정서 그리고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2년 현재 대한태권도협회 산하...

      이 연구는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 전략이 운동열정과 운동정서 그리고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2년 현재 대한태권도협회 산하 경기단체 등록한 남・여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이 들 가운데 2012년 대한태권도협회 주관으로 실시되는 제39회 전국대학 태권도개인선수권대회에 참가한 대학부 남·여 태권도 겨루기선수들 가운데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300명을 표집 하였으며, 실제분석은 294부를 이 연구에 활용하였다. 사용된 통계프로그램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자료 분석 기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자기관리전략의 하위요인인 대인관리요인은 운동열정의 하위요인인 강박열정에 그리고 훈련관리와 대인관리는 조화열정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요인의 하위요인인 훈련관리요인은 운동정서의 긍정적 정서부분인 자부심과 행복에, 신체관리는 긍·부정적 부분인 행복, 사랑, 분노, 슬픔에, 정신관리는 행복에, 대인관리는 불안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의 하위요인인 훈련관리요인은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 정신적인 태도와 사고, 시합 중 자신감의 수준, 노력의 양, 기술의 질, 신체의 느낌, 집중력, 타이밍과 리듬, 시합에서 기대했던 수행과 실제 수행과 비교 등 모든 요인에, 정신관리는 노력의 양, 신체의 느낌, 집중력에, 대인관리는 정신적인 태도와 사고, 기술의 질, 집중력에, 신체관리는 신체의 느낌과 타이밍과 리듬에 각각 영향을 미친다.
      넷째,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열정 하위요인인 강박열정은 운동정서의 하위요인인 행복, 사랑, 분노, 슬픔에, 조화열정은 운동정서의 긍정적 요인인 자부심, 행복, 사랑, 부정적 요인인 분노, 슬픔, 불안에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열정 하위요인인 강박열정은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인 시합 중 자신감의 수준, 기술의 질, 신체의 느낌, 집중력에, 조화열정은 정신적인 태도와 사고, 시합 중 자신감의 수준, 노력의 양, 기술의 질, 신체의 느낌, 타이밍과 리듬, 집중력, 시합에서 기대했던 수행과 실제 수행과 비교 등 인지된 경기력 하위요인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정서의 긍정적 정서요인인 자부심은 정신적인 태도와 사고, 시합 중 자신감의 수준, 노력의 양, 기술의 질, 신체의 느낌, 집중력, 시합에서 기대했던 수행과 실제 수행과의 비교에, 행복은 노력의 양, 신체의 느낌, 집중력, 시합에서 기대했던 수행과 실제 수행과의 비교에, 사랑은 노력의 양, 시합에서 기대했던 수행과 실제수행과의 비교에 정적 영향을, 부정적 정서요인인 슬픔은 신체의 느낌에, 불안은 노력의 양, 신체의 느낌, 집중력, 시합에서 기대했던 수행과 실제 수행과의 비교에 부적영향을 미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4
      • 3. 연구모형 및 가설 4
      • 4. 용어의 정의 8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4
      • 3. 연구모형 및 가설 4
      • 4. 용어의 정의 8
      • Ⅱ. 이론적 배경 10
      • 1. 자기관리 전략 10
      • 1) 자기관리 요인 10
      • 2) 자기관리 전략 구성요인 10
      • 3) 자기관리 전략의 선행연구 12
      • 2. 운동열정 14
      • 1) 운동열정 요인 14
      • 2) 운동열정 구성요인 15
      • 3) 운동열정의 선행연구 16
      • 3. 운동정서 19
      • 1) 운동정서 요인 19
      • 2) 운동정서의 구성요인 20
      • 3) 운동정서의 선행연구 21
      • 4. 인지된 경기력 24
      • 1) 경기력 24
      • 2) 인지된 경기력 25
      • 3) 인지된 경기력 선행연구 26
      • Ⅲ. 연구방법 27
      • 1.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27
      • 2. 조사도구 28
      • 1) 설문지의 구성 29
      • 2)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30
      • 3. 자료처리방법 37
      • Ⅳ. 연구결과 38
      • 1.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 전략, 운동열정, 운동정서, 인지된 경기력의 상관관계 38
      • 2.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 전략이 운동열정, 운동정서,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42
      • 1)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 전략이 운동열정에 미치는 영향 42
      • 2)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 전략이 운동정서에 미치는 영향 43
      • 3)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 전략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46
      • 3.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열정이 운동정서,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50
      • 1)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열정이 운동정서에 미치는 영향 50
      • 2)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열정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52
      • 4.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정서가 운동정서,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56
      • Ⅴ. 논의 61
      • 1.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 전략이 운동열정, 운동정서,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61
      • 1)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 전략이 운동열정에 미치는 영향 61
      • 2)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 전략이 운동정서에 미치는 영향 62
      • 3) 대학 태권도 선수의 자기관리 전략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64
      • 2.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열정이 운동정서,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67
      • 1)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열정이 운동정서에 미치는 영향 67
      • 2)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열정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69
      • 3.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정서가 운동정서,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71
      • Ⅵ. 결론 75
      • 1. 연구결과의 요약 75
      • 2. 제언 76
      • 참고문헌 78
      • 부 록 87
      • Abstract 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