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교재의 성차별적 요소 연구 = A Study on the Gender Discriminatory Factor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394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gender discriminatory factor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order to develop more desirable Korean textbooks in which the values of gender equality and diversity are resp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is paper analyzed gender discriminatory factor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order to develop more desirable Korean textbooks in which the values of gender equality and diversity are resp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this end, a total of 40 textbooks in 3 typ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cluding <Sejong Korean>(2022) were analyzed for language materials and visual materials such as illustrations and photos in the textbooks, and what gender-discrimination factors appeared by textbook and lev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men and women were generally balanced in the frequency of characters and the number of utterance sentences in the dialogue, except for the advanced level of male-oriented <Yonsei University> textbook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t imbalance depending on the textbook or level in the frequency of gender conversations, and in the frequency of initiating & leading conversation.
      In the dialogues, all three types of Korean textbooks did not consistently show typical differences in male and female speech act described in previous studies, but it was confirmed that some speech acts of men and women were not balanced by level.
      In terms of conversation topics,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textbooks revealed gender stereotypes and imbalances by showing differences in conversation topics between men and women. However,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textbooks did not show such standardized differences, but showed an imbalance centered on female speakers in most topics. The <Yonsei University> textbooks showed typical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topics related to ‘social’, but women were biased in topics related to ‘individual’.
      In the analysis of gender occupations and activity types, typical gender stereotypes and imbalances were also confirmed. The gender occupation and activity types were classified into 12 categories each. Imbalance and gender stereotypes were observed, with differences ranging from approximately 1.5 to 14 times in 6 categories for gender occupation and 6 categories for gender activity types of <Korean Language Institute>, 9 and 10 categorie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12 and 11 categories of <Yonsei University>, respectively.
      In addition, other typical gender stereotypes and gender -separated thinking were confirmed, such as the standardized expressions of men and women's characteristics, appearance- oriented expressions for women, representation or invisualization of either gender, and cosmetic discrimination.
      Such gender discrimination elements of Korean textbooks are a kind of potential curriculum that allows foreign learners to unconsciously learn such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gainst men and women. Therefore, for gender-equ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esent equal and balanced data that does not reveal gender discrimin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void a mindset that separates men and women, contrast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to prevent the representation, visualization, and subordination of either man or woman. Instead, we should aim for a gender-neutral approach that embrac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ivers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세계 시민 교육의 관점에서 양성평등과 다양성의 가치가 존중되는 보다 바람직한 한국어 교재의 개발을 위해 한국어 교재에 나타나는 성차별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

      이 논문은 세계 시민 교육의 관점에서 양성평등과 다양성의 가치가 존중되는 보다 바람직한 한국어 교재의 개발을 위해 한국어 교재에 나타나는 성차별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세종 한국어󰡕(2022) 등 3종의 교재 총 40권을 대상으로 교재 내 모든 언어 자료와 삽화, 사진 등의 시각적 자료를 분석하여, 교재별 그리고 등급별로 어떠한 성차별적 요소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화문에서의 성별 등장인물의 빈도 및 발화 문장 수는 남성 편중의 <연세대> 고급을 제외하고 대체로 남녀가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성별 대화문 빈도와 대화 개시 및 주도 양상에서는 교재나 등급에 따라 다르게 불균형이 나타났다. 대화문의 화행에서는 세 교재 모두 선행 연구에서 기술된 전형적인 남녀 화행상의 차이가 일관되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등급별로 일부 남녀의 화행이 균형 있게 구성되지 못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화문의 주제에서는 <서울대> 교재가 가장 정형화된 남녀 간 대화 주제의 차이를 보여 성 고정 관념과 불균형을 드러낸 데 비해, <국어원> 교재는 그러한 정형화된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주제에서 여성 화자에 편중된 불균형을 보였다. <연세대> 교재는 ‘사회’ 관련 주제에서는 전형적인 남녀 간의 차이를 보였지만, ‘개인’ 관련 주제의 ‘남-우세’ 주제에서는 여성 편중 현상을 보였다.
      또한 성별 직업 및 활동 유형을 각각 12개로 분류하여 그 빈도 차이를 분석하였는데 <국어원>은 각각 6개, <서울대>는 9개와 10개, <연세대>는 12개와 11개 유형에서 약 1.5~14배의 차이를 보이는 불균형과 성 고정 관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정형화된 남녀의 특성 표현이나 여성의 외모 중시 표현, 남녀 한 성의 대표화나 비가시화 양상, 겉 포장적 차별 등 전형적인 성 고정 관념과 성 분리적 사고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