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일교육의 정치철학적 함의에 관한 연구 - 자유의 가치를 중심으로 - = A Political Philosophical Study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 Centering on the value of freedom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516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on the political philosophical study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subject among the study subject of political philosophy is a value of freedom. Unification education cleaning of freedom can not be established and existed. That is to say, freedom and unification education i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In this respect, to analyse the meaning and its character of freedom value in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starting point in the study on the unification problem and North Korea’s problem. If I might analyse a political philosophical undertone with view of freedom, freedom is basic element of unification education. Therefore, unification education is always based on the feedom. Next, unification education is tired by freedom in the setting of unification education’s destination. The destin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founding of unification nation by the universal value, freedom. For this goal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value of freedom is a core value. Finally, the value of freedom plays a central role on the setting of unification education’s ideology.
      번역하기

      This thesis is on the political philosophical study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subject among the study subject of political philosophy is a value of freedom. Unification education cleaning of freedom can not be established and ex...

      This thesis is on the political philosophical study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subject among the study subject of political philosophy is a value of freedom. Unification education cleaning of freedom can not be established and existed. That is to say, freedom and unification education i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In this respect, to analyse the meaning and its character of freedom value in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starting point in the study on the unification problem and North Korea’s problem. If I might analyse a political philosophical undertone with view of freedom, freedom is basic element of unification education. Therefore, unification education is always based on the feedom. Next, unification education is tired by freedom in the setting of unification education’s destination. The destin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founding of unification nation by the universal value, freedom. For this goal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value of freedom is a core value. Finally, the value of freedom plays a central role on the setting of unification education’s ideolo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통일교육의 정치철학적 함의를 분석하고 있다. 정치철학의 주제에는 다양한 것이 있으나 가장 중요한 주제 중의 하나는 바로 ‘자유’라고 하는 가치이다. 자유를 빼고 통일교육은 성립하기 힘들고 존립하기도 어렵다. 즉, 자유가 전제되지 않은 통일교육은 무의미하다는 점에서 자유와 통일교육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골자이다. 그렇기 때문에 통일교육에 있어서 자유의 가치가 지니는 의미와 그 성격을 면밀히 분석하고 고찰하는 것은 북한 및 통일문제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이고 본원적인 연구의 출발점을 이룬다고 하겠다. 통일교육의 정치철학적 함의를 자유의 가치를 중심으로 해서 분석해보면 우선 자유는 통일교육의 기초이자 전제라고 할 수 있다. 자유가 기초되지 않는 통일교육은 존립하기 어렵다. 통일교육은 오직 자유가 기초되고 전제되어야만 성립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일교육은 교육의 목적지를 정함에 있어서 자유의 가치에 의해 결정적으로 구속받는다는 사실을 지적할 수 있다. 통일교육의 목적지는 국가의 내적 기반조성을 통해 인류의 보편적 가치가 담보된 통일국가의 수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통일교육의 목적을 위해 자유의 가치는 핵심적 가치임에 틀림이 없다. 마지막으로 통일교육의 이념을 설정함에 있어서 자유의 가치는 핵심적인 역할과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통일교육의 정치철학적 함의를 분석하고 있다. 정치철학의 주제에는 다양한 것이 있으나 가장 중요한 주제 중의 하나는 바로 ‘자유’라고 하는 가치이다. 자유를 빼고 통일교육...

      본 연구는 통일교육의 정치철학적 함의를 분석하고 있다. 정치철학의 주제에는 다양한 것이 있으나 가장 중요한 주제 중의 하나는 바로 ‘자유’라고 하는 가치이다. 자유를 빼고 통일교육은 성립하기 힘들고 존립하기도 어렵다. 즉, 자유가 전제되지 않은 통일교육은 무의미하다는 점에서 자유와 통일교육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골자이다. 그렇기 때문에 통일교육에 있어서 자유의 가치가 지니는 의미와 그 성격을 면밀히 분석하고 고찰하는 것은 북한 및 통일문제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이고 본원적인 연구의 출발점을 이룬다고 하겠다. 통일교육의 정치철학적 함의를 자유의 가치를 중심으로 해서 분석해보면 우선 자유는 통일교육의 기초이자 전제라고 할 수 있다. 자유가 기초되지 않는 통일교육은 존립하기 어렵다. 통일교육은 오직 자유가 기초되고 전제되어야만 성립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일교육은 교육의 목적지를 정함에 있어서 자유의 가치에 의해 결정적으로 구속받는다는 사실을 지적할 수 있다. 통일교육의 목적지는 국가의 내적 기반조성을 통해 인류의 보편적 가치가 담보된 통일국가의 수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통일교육의 목적을 위해 자유의 가치는 핵심적 가치임에 틀림이 없다. 마지막으로 통일교육의 이념을 설정함에 있어서 자유의 가치는 핵심적인 역할과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亨錫, "倫理學" 철학과 현실사 1994

      2 정만수, "평양의 먹구름 : 김정일 없는 북한 어디로 갈 것인가?" 도서출판 이경 2013

      3 정경환, "통일교육의 이념에 관한 연구" 한국통일전략학회 13 (13): 159-184, 2013

      4 정경환, "통일교육의 목표와 원칙에 관한 연구"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187-212, 2014

      5 정경환, "통일교육과 한반도통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161-185, 2014

      6 정경환, "정치철학 강의록"

      7 Jaspers, Karl, "역사의 기원과 목표" 梨花女子大學校 出版部 1987

      8 박혁, "야스퍼스와 사유의 거인들" 지식을만드는지식 2010

      9 배영애, "사회통일교육의 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과제"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65-96, 2014

      10 박병철, "사회통일교육의 쟁점과 활성화 방향"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41-64, 2014

      1 金亨錫, "倫理學" 철학과 현실사 1994

      2 정만수, "평양의 먹구름 : 김정일 없는 북한 어디로 갈 것인가?" 도서출판 이경 2013

      3 정경환, "통일교육의 이념에 관한 연구" 한국통일전략학회 13 (13): 159-184, 2013

      4 정경환, "통일교육의 목표와 원칙에 관한 연구"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187-212, 2014

      5 정경환, "통일교육과 한반도통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161-185, 2014

      6 정경환, "정치철학 강의록"

      7 Jaspers, Karl, "역사의 기원과 목표" 梨花女子大學校 出版部 1987

      8 박혁, "야스퍼스와 사유의 거인들" 지식을만드는지식 2010

      9 배영애, "사회통일교육의 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과제"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65-96, 2014

      10 박병철, "사회통일교육의 쟁점과 활성화 방향"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41-64, 2014

      11 박광득, "북한인권법 제정의 당위성과 향후 과제에 관한 연구" 한국통일전략학회 13 (13): 37-73, 2013

      12 북한인권사회연구센터, "북한인권백서 2014" 통일연구원 2014

      13 우정, "북한사회구성론" 도서출판 진솔북스 2000

      14 변창구, "박근혜 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통일외교"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161-185, 2014

      15 황장엽, "개인의 생명보다 귀중한 민족의 생명" 시대정신 1999

      16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4 통일교육기본계획"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4

      17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3 통일교육지침서(학교용)"

      18 조경근, "10·4남북공동선언의 주요 내용과 쟁점 분석"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41-73,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5 1.75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05 1.054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