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 동독 사회정책의 이념과 실제 = Ideology and Practice of Social Policy in Formal East German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865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독일의 통일과 관련하여 구 동독지역의 사회정책 이념의 형성과 역사적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특히 동독의 몰락과 사회정책과의 관계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

      본 연구는 독일의 통일과 관련하여 구 동독지역의 사회정책 이념의 형성과 역사적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특히 동독의 몰락과 사회정책과의 관계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는 것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구 동독에서 사회정책의 기본 이념은 무엇이며, 이는 어떠한 배경을 가지고 형성 되었는가?
      둘째, 구 동독에서 사회정책은 소련의 점령시기에서 베를린장벽의 붕괴까지 중요한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셋째, 구 동독의 사회정책은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넷째, 구 동독의 사회정책의 이념과 실제는 어떻게 다른가?
      다섯째, 구 동독이 몰락하는데 사회정책은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쳤는가?
      여섯째, 한반도의 통일과정에서 사회정책을 설계하는데 동독의 사례연구에서 어떤 시사점을 얻을 수 있나?
      연구 결과 구 동독의 사회정책은 몇 가지의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구 동독은 ‘사회적 시장경제’를 기반으로 형성된 구 서독의 사회정책에 대비되는 고유의 사회정책을 구성해야 했으나, 1989년 정권의 몰락까지 일관된 형태의 사회정책의 개념은 부재하였다.
      둘째, 동독의 사회정책은 서독의 사회정책보다 많은 분야를 포괄하고 있다. 물질적 기아의 보호, 노동, 교육, 건강 돌봄 및 주택과 같은 기본적인 기초욕구의 보장에서 모든 시민의 의식을 가능하게 하는 소득 요구권까지 포함하였다.
      셋째, 구 동독의 사회정책이 다른 나라와 특히 차이를 보이는 것은 사회정책이 기업 내의 차원에서 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넷째, 구 동독지역에서는 집중화된 단일보험이 성립하였다. 기존의 사회보험의 자치 행정권은 소멸되었고, 사회보험의 행정은 독일자유노총(FDGB)이 담당하게 되었다.
      다섯째, 구 동독의 사회정책은 1971년 이후 ‘경제정책과 사회정책’의 통일이라는 구호를 내세워 사회정책의 확대를 시도하였으나, 경제력을 기반으로 하지 못한 과다한 국가개입의 결과 동독의 몰락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결국 동독의 주민들은 실업이 없는 사회주의에서 완전고용을 누리고 양질의 사회보장을 받는다고 선전되었지만, 동독주민의 삶은 서독 지역의 주민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formation of ideology and historical evolution of social policy in former East Germany in connection with the unification of Germany. It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collapse of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formation of ideology and historical evolution of social policy in former East Germany in connection with the unification of Germany. It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collapse of the DDR and social policy. This study speculates the following questions: in former East Germany, what had been the basic philosophy of social policy?; how social policy in former East Germany had been changed by the time of the Soviet occupation in the critical period until the fall of the Berlin Wall?;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former East German social policy?;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ideology and practice of social policy?; what are impact of, the fall of former East Germany on social policies?; are there any possibilities to get lessons from the DDR experiences for designing social policies in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near future?
      This research shows that former East Germany appeared to have several characteristics. First, there was no concept of a consistent form of social policy until 1989. Second, social policies of the DDR are much more comprehensive than the field of social policy of West Germany. Third, special difference between East Germany and other countries in social policies is that social policy in former East Germany is mainly done in within the enterprise level. Fourth, in formal East Germany it was established centralized single social insurance system. Autonomous executive power of formal social insurance has been destroyed, the administration of social insurance has been in charge of Free German Trade Union Federation (FDGB). Fifth, DDR was attempting to expand social policy since 1971. The result of excessive state intervention not based on the economic powe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llapse of the DD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규성, "통일독일의 불평등과 사회국가의 정당성" 한국독일사학회 (25) : 61-95, 2013

      2 황규성, "통일 독일의 사회정책과 복지국가" 후마니타스 2011

      3 고명덕, "통일 독일의 노동시장정책과 정책적 시사점" 한독경상학회 29 (29): 1-21, 2011

      4 권형둔, "독일통일에서 복지재정법제의 통합과 발전"

      5 권형둔, "독일의 통일과정에서 재정헌법의 역할과 발전" 한국공법학회 41 (41): 221-248, 2012

      6 이정우, "독일의 통일과정에서 복지국가의 역할" 한독경상학회 29 (29): 51-78, 2011

      7 Müller, W., "Zur Geschichte des FDGB - eine vorläufige Bilanz" 90 (90): 340-352, 1990

      8 Hockerts, H., "West und Ost-Vergleich der Sozialpolitik in den beiden deutschen Staaten" 55 (55): 41-56, 2009

      9 Blessing, K., "War die DDR pleite?, Zur Widerlegung einer immer wieder gebrauchten Lge"

      10 Hauser, R., "Ungleichheit und Sozialpolitik" Leske und Budrich 1996

      1 황규성, "통일독일의 불평등과 사회국가의 정당성" 한국독일사학회 (25) : 61-95, 2013

      2 황규성, "통일 독일의 사회정책과 복지국가" 후마니타스 2011

      3 고명덕, "통일 독일의 노동시장정책과 정책적 시사점" 한독경상학회 29 (29): 1-21, 2011

      4 권형둔, "독일통일에서 복지재정법제의 통합과 발전"

      5 권형둔, "독일의 통일과정에서 재정헌법의 역할과 발전" 한국공법학회 41 (41): 221-248, 2012

      6 이정우, "독일의 통일과정에서 복지국가의 역할" 한독경상학회 29 (29): 51-78, 2011

      7 Müller, W., "Zur Geschichte des FDGB - eine vorläufige Bilanz" 90 (90): 340-352, 1990

      8 Hockerts, H., "West und Ost-Vergleich der Sozialpolitik in den beiden deutschen Staaten" 55 (55): 41-56, 2009

      9 Blessing, K., "War die DDR pleite?, Zur Widerlegung einer immer wieder gebrauchten Lge"

      10 Hauser, R., "Ungleichheit und Sozialpolitik" Leske und Budrich 1996

      11 Manz, G., "Theorie und Praxis der Sozialpolitik in der DDR" Aksdemie-Verlag 1979

      12 Schwartz, M., "Sozialstaatlichkeit in der DDR" Oldenbourg 47-87, 2005

      13 Hoffmann, D., "Sozialstaatlichkeit in der DDR" Oldenbourg 89-113, 2005

      14 Ritter, G. A., "Sozialstaatlichkeit in der DDR" Oldenbourg 11-29, 2005

      15 Hoffmann, D., "Sozialstaatlichkeit in der DDR" Oldenbourg 1-9, 2005

      16 Bollinger, S., "Sozialstaat DDR–nur Erinnerung oder auch Herausforderung?" 180 : 876-884, 2005

      17 Winkler, G., "Sozialpoltik" Verlag Die Wirtschaft 1988

      18 Groothuis, R., "Sozialpolitik und Sozialismus, Anspruch und Wirklichkeitder sozialen Sicherung in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Diplomica Verlag 2009

      19 Ritter, G. A., "Sozialpolitik in der deutschen Wiedervereinigung" 55 (55): 57-70, 2009

      20 Barthel, H., "Sozialpolitik in der DDR. Ziele und Wirklichkeit" trafo verlag 35-44, 2001

      21 Winkler, G., "Sozialpolitik in der DDR. Ziele und Wirklichkeit" trafo verlag 13-33, 2001

      22 Manz, G., "Sozialpolitik in der DDR. Ziele und Wirklichkeit" trafo verlag 45-52, 2001

      23 Manz, G., "Sozialpolitik in der DDR. Ziele und Wirklichkeit" trafo verlag 2001

      24 Schmidt, M. G., "Sozialpolitik in Deutschland, Historische Entwicklung und internationaler Vergleich" VS Verlag 2005

      25 Schmidt, M. G., "Sozialpolitik in Deutschland" Leske+Budrich 1998

      26 Schmidt, M. G., "Sozialpolitik der DDR" VS Verlag 2004

      27 Mitzscherling, P., "Soziale Sicherung in der DDR: Ziele, Methoden und Erfolge mitteldeutscher Sozialpolitik" Duncker & Humblot 1968

      28 Schulz, G., "Lexikon des DDR-Sozialismus" Schöningh 1996

      29 Lampert, H., "Lehrbuch der Sozialpolitik" Springer-Verlag 1996

      30 Frerich, J., "Handbuch der Geschichte der Sozialpolitik in Deutschland, Bd.2, Sozialpolitik in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Oldenbourg Verlag 1996

      31 Schmidt, M. G., "Grundzüge der Sozialpolitik in der DDR"

      32 Winkler, G., "Geschichte der Sozialpolitik der DDR 1945 bis 1985" Akademie-Verlag 1989

      33 Hockerts, H., "Drei Wege deutscher Sozialstaatlichkeit. NS-Diktatur, Bundesrepublik und DDR im Vergleich" Oldenbourg 1998

      34 Hoffmann, D., "Die Endzeit der DDR-Wirtschaft-Analysenzur Wirtschafts-, Sozial- und Umweltpolitik" Leske und Budrich 375-423, 1999

      35 Vollmer, U., "Die Endzeit der DDR-Wirtschaft-Analysen zur Wirtschafts-, Sozial- und Umweltpolitik" Leske und Budrich 323-373, 1999

      36 Bouvier, B., "Die DDR-ein Sozialstaat? Sozialpolitik in der Ära Honecker" Dietz 2002

      37 Hübner, P., "Deutsche Demokratische Republik 1961-1971. Geschichte der Sozialpolitik in Deutschland seit 1945. Band 9. Politische Stabilisierung und wirtschaftliche Mobilisierung" Nomos 721-762, 2006

      38 Hübner, P., "Der deutsche Sozialstaats im 20. Jahrhundert. Weimarer Republik, DDR und Bundesrepublik im Vergleich" Dietz 131-156, 2012

      39 Hockerts, H., "Der deutsche Sozialstaat, Entfaltung und Gefährdung seit 1945" bpb 2012

      40 Pilz, F., "Der Sozialstaat: Ausbau-Kontroversen-Umbau" bpb 2009

      41 Ritter, G. A., "Der Preis der deutschen Einheit: Die Wiedervereinigung und die Krise des Sozialstaats" C.H.Beck 2007

      42 Niephaus, Y., "Der Geburteneinbruch in Ostdeutschland nach 1990-Staatliche Regulierung generativen Handelns" Leske+Budrich 2003

      43 Schmidt, M. G., "Das Politische System Deutschlands" Verlag C. H. Beck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 0.66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