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接尾辞「的」の現代日本語․韓国語における用例比較 -「的」の生産性と学習者への指導を中心に- = A study on example comparison of the suffix “的(teki / jeok)” in modern Japanese and Korean -Focusing on productivity and guidance to lear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417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examples of the suffix “的(teki / jeok)” in Japanese and Korean. This survey is based on examples from newspaper articles for one year. The examples are classified into examples that are used only in Japa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examples of the suffix “的(teki / jeok)” in Japanese and Korean. This survey is based on examples from newspaper articles for one year. The examples are classified into examples that are used only in Japanese, examples that are used only in Korean, and examples that are commonly used. As a result of analysis, Korean is more productive about “的”. The reason is as follows. ①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Korean had more words that used “的”. As a reason for this, previous studies pointed out the effect of part of speech, which is also true in this survey. However, another reason is that Korean has a high propor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there are many Chinese characters words that are not used in Japanese, so there are many words that are preceded by “的”. ②When a noun is modified with the particle “の(no)” in Japanese, Korean tends to use “的”. Furthermore, when using a suffix other than “的” in Japanese, “的” was sometimes used in Korean. For these reasons, Korean uses more suffix “的” than Japanese. In addition, learners should note the following points. Examples that are commonly used in Japanese and Korean also have different usages. The reason is that the same Chinese characters can have different meanings in Japanese and Korea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선주, "코퍼스를 이용한 일본어 어휘학습의 제안― 「~的」가 붙는 어기의 요소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85) : 1-16, 2018

      2 오경순, "일한 번역의 번역투 연구 - ‘~적(的)’의 번역과 번역투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학회 (99) : 75-92, 2014

      3 이광수, "일본어 「的」의 의미용법의 변용" 일본연구소 (60) : 443-457, 2014

      4 李仁淳, "韓国語における「的」について-日本語『的』との対照を通して" 17 : 63-81, 2001

      5 김유영, "近代日本語の「-的」の近代韓国語における受容: 「-的」の語構成の原理を中心に" 글로벌일본연구원 (32) : 227-253, 2019

      6 南雲千歌, "現代日本語の「~的」について―雑誌『中央公論』1992年11月号の場合―" 3 : 72-98, 1994

      7 澤野勝巳, "現代日本語における「『何々』的」の使われ方" 14 : 57-78, 2009

      8 "朝日新聞"

      9 나가하라 나리카츠, "日韓両言語の「∼的」に関する一考察" 한국일본어교육학회 (77) : 39-64, 2016

      10 望月通子, "接尾辞「~的」の使用と日本語教育への示唆-日本人大学生と日本語学習者の調査に基づいて" 2 : 1-12, 2010

      1 박선주, "코퍼스를 이용한 일본어 어휘학습의 제안― 「~的」가 붙는 어기의 요소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85) : 1-16, 2018

      2 오경순, "일한 번역의 번역투 연구 - ‘~적(的)’의 번역과 번역투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학회 (99) : 75-92, 2014

      3 이광수, "일본어 「的」의 의미용법의 변용" 일본연구소 (60) : 443-457, 2014

      4 李仁淳, "韓国語における「的」について-日本語『的』との対照を通して" 17 : 63-81, 2001

      5 김유영, "近代日本語の「-的」の近代韓国語における受容: 「-的」の語構成の原理を中心に" 글로벌일본연구원 (32) : 227-253, 2019

      6 南雲千歌, "現代日本語の「~的」について―雑誌『中央公論』1992年11月号の場合―" 3 : 72-98, 1994

      7 澤野勝巳, "現代日本語における「『何々』的」の使われ方" 14 : 57-78, 2009

      8 "朝日新聞"

      9 나가하라 나리카츠, "日韓両言語の「∼的」に関する一考察" 한국일본어교육학회 (77) : 39-64, 2016

      10 望月通子, "接尾辞「~的」の使用と日本語教育への示唆-日本人大学生と日本語学習者の調査に基づいて" 2 : 1-12, 2010

      11 이경규, "接尾辞「-的」의 日韓 対応表現에 관한 考察 - 村上春樹作『ノルウェイの森』의 翻訳用例 対照를 中心으로 -" 한국일본근대학회 (21) : 113-126, 2008

      12 李仁淳, "接尾語「的」攷-語構造と句構造を中心として" 46 : 155-163, 2001

      13 王娟, "形態論的な視点から見た「的」の語基" 39 : 73-84, 2016

      14 권선화, "形容動詞化する接尾詞辭「的」について" 한국일본학회 (64) : 1-16, 2005

      15 松村明, "大辞林" 三省堂

      16 "国立国語院"

      17 遠藤織枝, "使い方の分かる類語例解辞典 新装版" 小学館

      18 "中央日報"

      19 呉雪梅, "中国人日本語学習者の「的」付きナ形容詞の習得に関する研究―BCCWJ コーパス調査とアンケート調査の分析を通じて―" 2012

      20 松村明, "デジタル大辞泉" 小学館

      21 高橋勝忠, "「的」論考" 49 : 1-22, 2005

      22 "Wikipedi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제주국제언어학회 -> 한국언어연구학회
      영문명 : The International Linguistics Society of Jeju -> The Korean Association of Language Studies
      2008-04-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제주언어학회 -> 제주국제언어학회
      영문명 : The Linguistic Society Of Cheju -> The International Linguistics Society of Jeju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39 0.788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