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규슈지역 고분에서는 백제산 金工品이 출토된 바 있다. 熊本縣玉名市 江田船山古墳과 大坊古墳 출토품이 그것이다. 두 무덤 모두 고고학적 조사 이전에 교란이 진행되어 부장 맥락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029778
이한상 (대전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
2018
Korean
백제 ; 금공품 ; 규슈지역 ; 江田船山古墳 ; 大坊古墳 ; Baekje ; metal crafts ; Kyushu ; Etahunayama tomb ; Daibo tomb
380.000
KCI등재
학술저널
7-41(3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일본 규슈지역 고분에서는 백제산 金工品이 출토된 바 있다. 熊本縣玉名市 江田船山古墳과 大坊古墳 출토품이 그것이다. 두 무덤 모두 고고학적 조사 이전에 교란이 진행되어 부장 맥락을 ...
일본 규슈지역 고분에서는 백제산 金工品이 출토된 바 있다. 熊本縣玉名市 江田船山古墳과 大坊古墳 출토품이 그것이다. 두 무덤 모두 고고학적 조사 이전에 교란이 진행되어 부장 맥락을 알기 어려운 자료이지만, 5세기말~6세기 초의 九州지역 무덤 속에 백제산 금공품이 묻힌 점은 주목할 만하다. 江田船山古墳에서 출토된 금동관, 금귀걸이, 금동신발, 장식대도는 5세기 말~6세기 초 백제 유적 출토품과 여러 특징을 공유한다. 문양이나 제작기법으로 보면 일본열도에서 모방 제작하였다기보다는 백제 중앙 공방에서 제작하였을 가능성이 더 큰 것 같다. 大坊古墳에서 출토된 금귀걸이는 익산 입점리고분군이나 나주 정촌고분 출토품과 매우 유사하므로 5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백제산 금공품이 규슈지역에서 출토된 것은 당시 백제와 왜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 금공품을 倭王이 입수하여 하사한 것일 수도 있겠지만, 일본열도 전체의 금공품 분포 양상을 살펴보면 규슈지역 수장들이 백제로부터 개별적으로 입수했을 가능성이 더 클 것 같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me of the metal crafts made at Baekje workshop were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in Kyushu, Japan. The artifacts from Etahunayama tomb and Daibo tomb in Kumamoto Prefecture are examples. Both of the tombs were built during Baekje Woongjin era. As bo...
Some of the metal crafts made at Baekje workshop were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in Kyushu, Japan. The artifacts from Etahunayama tomb and Daibo tomb in Kumamoto Prefecture are examples. Both of the tombs were built during Baekje Woongjin era. As both of them had been disturbed prior to th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it is difficult to know burial context. But it is noteworthy that metal crafts of Baekje were buried in the tombs of Kyushu region in the late 5th and early 6th centuries. A gilt–bronze crown, gold earrings, gilt–bronze shoes, and an ornamental sword excavated from Etahunayama tomb are shared style characteristics with the relics of Baekje in the late 5th and early 6th centuries. Judging from the pattern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it is more likely that they were made at Baekje central workshop than imitated in Japan. The gilt–bronze crown and ornamental sword seem to have been made relatively earlier than the gilt–bronze shoes and gold earrings. The gold earrings were made later than gilt–bronze shoes. The gold earrings excavated from Daibo tomb are believed to have been made in the late 5th century, partly overlapping with the excavated items of Etahunayama tomb. Similar earrings were found from Ipjeom–ri tombs in Iksan and Jeongchon tomb in Naju. The discovery of such Baekje objects in Kyushu may have been attributed to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Japan. The Japanese king may have obtained these objects and given them to the person buried in Etahunayama tomb, but if you look at the distribution of metal crafts from all the Japanese islands, it is more likely that the heads of the Kyushu region obtained them separately from Baekj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金宇大, "金工品から讀む古代朝鮮と倭"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17
2 경상대학교박물관, "합천 옥전고분군Ⅷ" 1999
3 경상대학교박물관, "합천 옥전고분군Ⅵ" 1997
4 문화재연구소, "익산 입점리고분 발굴조사보고" 1989
5 공주대학교박물관, "용원리고분군" 2000
6 吉井秀夫, "석오윤용진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 1996
7 吉井秀夫, "백제의 관" 국립공주박물관 2011
8 이한상, "무령왕릉과 동아세아문화"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1
9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무령왕릉 발굴조사보고서" 1973
10 공주대학교박물관, "논산 모촌리 백제고분군 발굴조사보고서(Ⅱ)" 1994
1 金宇大, "金工品から讀む古代朝鮮と倭"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17
2 경상대학교박물관, "합천 옥전고분군Ⅷ" 1999
3 경상대학교박물관, "합천 옥전고분군Ⅵ" 1997
4 문화재연구소, "익산 입점리고분 발굴조사보고" 1989
5 공주대학교박물관, "용원리고분군" 2000
6 吉井秀夫, "석오윤용진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 1996
7 吉井秀夫, "백제의 관" 국립공주박물관 2011
8 이한상, "무령왕릉과 동아세아문화"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1
9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무령왕릉 발굴조사보고서" 1973
10 공주대학교박물관, "논산 모촌리 백제고분군 발굴조사보고서(Ⅱ)" 1994
11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2017
12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공주 수촌리유적" 2007
13 전남대학교박물관,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2015
14 원광대학교 마한ㆍ백제문화연구소, "고창 봉덕리1호분 종합보고서" 2016
15 野上丈助, "藤澤一夫先生古稀記念古文化論叢" 古代を考える會 1983
16 菊水町史編纂委員會, "菊水町史 江田船山古墳編" 和水町 2007
17 桃崎祐輔, "王權と武器と信仰" 同成社 2008
18 田添夏喜, "熊本縣玉名郡大坊古墳調査報告" 32 : 1967
19 熊本縣敎育委員會, "江田船山古墳" 1986
20 伊藤秋男, "武寧王陵發見の金製耳飾について" 5 : 1974
21 梅原末治, "史蹟名勝天然記念物調査報告 第一冊" 熊本縣 1922
22 高田貫太, "古墳時代の日朝關係" 吉川弘文館 2014
23 土屋隆史, "古墳時代の日朝交流と金工品" 雄山閣 2018
24 本村豪章, "古墳時代の基礎硏究稿-資料篇(Ⅱ)-" 26 : 1991
조선전기 경기지역 부장(副葬) 도기(陶器)에 나타난 신구(新舊)요소의 공존양상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6-02-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Cultural Studies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9-06-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Cultural Research Institute -> Korea Culture Research Institute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 | 0.73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