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淸水昭博, "황룡사지 출토 신라고식수막새 연구현황과 검토"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4
2 申昌秀, "황룡사지 출토 신라 고식수막새 연구현황과 검토"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4
3 노윤성, "황룡사 중문 암·수막새 문양과 규격 검토" 한국기와학회 2017
4 金誠龜, "황룡사 —와전 및 철물 고증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5 贺云翱, "한성기백제의 물류 시스템과 대외교섭" 한신대학교 학술원 2004
6 조원창, "연구논문 : 법천리(法泉里) 4호분 출토 청동개(靑銅蓋) 연화돌대문(蓮花突帶文)의 의미" 백제문화연구소 (33) : 289-306, 2004
7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신라수막새 분류 기준안" 2013
8 김유식, "신라 와당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9 河瑾暎, "신라 단판능선연화문수막새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10 양은경, "신라 단석산 마애불 - 공양주와 조성시기를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62) : 73-100, 2007
1 淸水昭博, "황룡사지 출토 신라고식수막새 연구현황과 검토"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4
2 申昌秀, "황룡사지 출토 신라 고식수막새 연구현황과 검토"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4
3 노윤성, "황룡사 중문 암·수막새 문양과 규격 검토" 한국기와학회 2017
4 金誠龜, "황룡사 —와전 및 철물 고증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5 贺云翱, "한성기백제의 물류 시스템과 대외교섭" 한신대학교 학술원 2004
6 조원창, "연구논문 : 법천리(法泉里) 4호분 출토 청동개(靑銅蓋) 연화돌대문(蓮花突帶文)의 의미" 백제문화연구소 (33) : 289-306, 2004
7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신라수막새 분류 기준안" 2013
8 김유식, "신라 와당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9 河瑾暎, "신라 단판능선연화문수막새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10 양은경, "신라 단석산 마애불 - 공양주와 조성시기를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62) : 73-100, 2007
11 최성은, "신라 皇龍寺 중금당 장육삼존불상에 대한 연구" 신라사학회 (23) : 235-298, 2011
12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백제 사비기 기와연구 VI" 2014
13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백제 사비기 기와연구 II" 2010
14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백제 사비기 기와연구 I" 2009
15 淸水昭博, "기와에 담긴 700年의 숨결 百濟瓦塼" 國立扶餘博物館 2010
16 金有植, "韓國 蓮華紋 硏究" 梨花女子大學校大學院 1977
17 金誠龜, "雁鴨池 出土 古式瓦當의 形式的 考察" 國立中央博物館 29 : 1981
18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芬皇寺 發掘調査報告書 II" 2015
19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芬皇寺 發掘調査報告書 1" 2005
20 保寧市, "聖住寺" 1998
21 金誠龜, "統一新羅時代의 瓦塼硏究" 韓國美術史學會 162.163 : 1984
22 최영희, "統一新羅式기와의 成立과 造瓦體制의 變化" 영남고고학회 (70) : 262-300, 2014
23 조원창, "皇龍寺 重建期 瓦當으로 본 新羅의 對南朝 交涉" 한국상고사학회 52 (52): 25-43, 2006
24 金誠龜, "百濟의 彫刻과 美術" 公州大學校 博物館 1992
25 朴容塡, "百濟瓦當의 體系的 分類 —수막새기와를 중심으로"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9 : 1976
26 朴容塡, "百濟瓦當의 體系的 分類 1 —수막새기와를 중심으로"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8 : 1975
27 金有植, "百濟瓦塼文化의 對外交涉 —백제계 신라와당의 수용과 전개" 한국기와학회 7 : 2010
28 龜田修一, "百濟古瓦考"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2 : 1981
29 金誠龜, "百濟 瓦當樣式의 變遷과 그 類型 —素文單瓣 蓮花文 瓦當을 중심으로" 東岳美術史學會 (창간) : 2000
30 李炳鎬, "百濟 泗沘都城의 造營과 區劃" 서울大學校 大學院 2001
31 王志高, "略论中国南朝与新罗的文物交流" 安徽省文物考古硏究所, 安徽省考古学会, 科学出版社 20 : 2012
32 井內潔, "新羅素弁紋系屋瓦の源流" 井內古文化硏究室 12 : 1975
33 金誠龜, "新羅瓦塼: 아름다운 신라기와, 그 천년의 숨결" 國立慶州博物館 2000
34 姜友邦, "新羅瓦塼: 아름다운 신라 기와, 그 천년의 숨결" 國立慶州博物館 2000
35 임남수, "新羅彫刻의 對日交涉" 全國美術史學大會 6 : 2000
36 辛鍾遠, "新羅初期佛敎史硏究" 民族社 1992
37 소현숙, "新羅 皇龍寺 丈六像의 淵源과 性格 -6세기 중국 南北朝時代 ‘政治的 瑞像’과 比較分析을 통한 연구" 한국고대학회 (37) : 5-30, 2012
38 최영희, "新羅 古式수막새의 製作技法과 系統" 한국상고사학회 70 (70): 99-142, 2010
39 이병호, "扶餘 陵山里寺址 出土 瓦當의 再檢討" 한국고대사학회 (51) : 191-232, 2008
40 聖林文化財硏究院, "慶州 仁旺洞 王京遺蹟 III —경주 인왕동 경주중고등학교 진입로 개설공사 구간 내" 2015
41 聖林文化財硏究院, "慶州 仁旺洞 王京遺蹟 I —경주 인왕동 선덕여고 증축(기숙사·승강기)부지 내" 2013
42 奈良文化財硏究所, "山田寺発掘調査報告" 2002
43 淸水昭博, "奈良県立畝傍高等学校 所蔵考古資料目錄I-国外之部-" 社団法人 橿原考古学協会 2009
44 崔女珍, "古新羅 蓮花文 瓦當의 形式과 系統" 公州大學校 大學院 2007
45 山崎信二, "古代造瓦史-東アジアと日本-" 株式会社 雄山閣 2011
46 "三國遺事"
47 金和英, "三國時代 蓮華門 硏究" 歷史學會 34 : 1967
48 申昌秀, "三國時代 新羅기와의 硏究 —皇龍寺址 出土 新羅기와를 中心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 20 : 1987
49 "三國史記"
50 한욱, "6~8世紀 百濟·新갥建築의基礎部比較硏究 寺刹遺蹟을 中心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 42 (42): 110-133, 2009
51 金有植, "6-8세기 新羅기와 硏究 檢討" 東岳美術史學會 7 : 2006
52 鄭炳三,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III" 韓國古代社會硏究所, 駕洛國史蹟開發硏究所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