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체화론으로 바라본 영화의 패러디 - <레디 플레이어 원> 속 <샤이닝> - = Parody in the Film Viewed through the Theory of Individuation: <The Shining> in <Ready Player O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79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rody which used as the way of creating for a long time has stood out by the spread of postmodernism. Parody that is defined as ‘repetition that includes difference’ by Linda Hutcheon structure the new semantic network in the process of transform...

      Parody which used as the way of creating for a long time has stood out by the spread of postmodernism. Parody that is defined as ‘repetition that includes difference’ by Linda Hutcheon structure the new semantic network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original text. This paper focuses on the generation process of parody from the perspective of Gilbert Simondon, the theory of individuation. Likewise, technics and technical object, also the elements of culture have potential energy causing the transduction to the other individual, and individuation is occurred to form the new meanings. That is, parody is the phenomenon of individuation between the contents that have potential energy inside.
      Parody is animatedly applicated in the part of visual culture due to the progress of the digital culture. Especially film which is the interface between the technology, the industry, and the art, can be said as the advanced guard of parody aesthetics. After the 1970s, parody applied to begin in earnest in film produce abundant meaning in the network between film connecting the numerous work. One of the node of the film, <Ready Player One>(2018) tried parody covering the entire popular culture not only film but also game and so on. In that, <The Shining>(1980) is recontextualized of high importance.
      In the <The Shining> in the <Ready Player One>, value-neutral parody with no satirical or respectful intent unfolds icon or settings such as typewriter, anniversary picture, maze, and the banquet room. In this progress, after the fundamental elements in the adventure genre are taken the information of the original text, the internal potential energy form the parody. On the other hand, a filmic element such as a film texture rendering and steadycam commemorate the film historical position of the original, at the same time, those are represented in homage parody varied the meaning. Like the aforesaid parody, this brings about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as well as the nostalgia, which leads to trans-contextualiz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랫동안 창작방식으로 사용된 패러디는 포스터모더니즘 사조의 확산으로 그 창의적 효과가 도드라졌다. 린다 허천이 ‘차이를 내포한 반복’이라 정의한 패러디는 원텍스트가 변용되는 ...

      오랫동안 창작방식으로 사용된 패러디는 포스터모더니즘 사조의 확산으로 그 창의적 효과가 도드라졌다. 린다 허천이 ‘차이를 내포한 반복’이라 정의한 패러디는 원텍스트가 변용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망을 형성한다. 본 논고는 발생론적 관점에서 개체를 바라본 시몽동의 관점으로 패러디의 발생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그가 주로 언급한 기술과 기술적 대상들처럼 문화적 요소 또한 내부에 다른 개체로의 변환을 야기하는 퍼텐셜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요소들에서 기인한 정보로 인해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는 개체화가 일어난다. 즉 패러디는 퍼텐셜을 가진 콘텐츠들이 새로이 개체화되는 현상이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패러디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시각·영상 분야에서 매우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기술과 산업 그리고 예술의 접점에 있는 영화는 패러디 미학의 첨병이라 할 수 있다. 1970년대 이후 영화에서 본격적으로 활용된 패러디는 무수한 영화들을 망으로 연결 지으며 영화 간 네트워크에 풍부한 의미를 생성해내었다. 수많은 영화의 결절점인 <레디 플레이어 원(Ready Player One)>(2018)은 영화뿐만 아니라 게임 등 대중문화 전반에 걸친 패러디를 시도하였으며, 특히 <샤이닝(The Shining)>(1980)은 작중 가장 높은 비중으로 활용되었다.
      <레디 플레이어 원> 속 <샤이닝>은 가치중립적 패러디를 시도하는데, 이는 타자기, 기념사진, 미로 그리고 연회장과 같은 도상 혹은 세트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과정에서 어드벤처 장르에 필수적인 요소들이 원텍스트의 정보를 받아들이면서 내부의 퍼텐셜 에너지가 패러디를 이루어낸다. 반면 필름 질감의 렌더링과 스테디캠 같은 영화적 요소들은 원작의 영화사적 위치를 기념함과 동시에 의미를 변주시키는 오마주 패러디로 나타났다. 이는 앞의 패러디와 같이 개체화 과정을 이룸과 동시에 노스탤지어 또한 불러일으키며 초맥락화를 이끌어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질베르 시몽동, "형태와 정보 개념에 비추어 본 개체화" 그린비 2017

      2 김재희, "현대프랑스철학사" 창비 2015

      3 김성수, "할리우드 SF영화의 이미지텔링에 사용된 알레고리 연구 - 비주얼문화연구 견지에서의 <블레이드 러너>와 <마이너리티 리포트> 핵심 장면들에 대한 분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19) : 1-32, 2015

      4 공종구, "패러디와 패스티쉬 그리고 표절 그 개념적 경계와 차이" (19) : 1997

      5 장시은, "테스모포리아 축제와아리스토파네스의 『테스모포리아주사이』" 인문학연구원 75 (75): 53-78, 2018

      6 제임스 네어모어, "큐브릭 그로테스크의 미학" 컬쳐북 2016

      7 수잔 헤이워드, "영화사전" 한나래 2012

      8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문예출판사 2004

      9 줄리아 크리스테바, "시적언어의 혁명" 동문선 2000

      10 황수영, "시몽동의 개체화 이론 -프랑스 생성철학의 맥락에서-" 한국동서철학회 (53) : 199-224, 2009

      1 질베르 시몽동, "형태와 정보 개념에 비추어 본 개체화" 그린비 2017

      2 김재희, "현대프랑스철학사" 창비 2015

      3 김성수, "할리우드 SF영화의 이미지텔링에 사용된 알레고리 연구 - 비주얼문화연구 견지에서의 <블레이드 러너>와 <마이너리티 리포트> 핵심 장면들에 대한 분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19) : 1-32, 2015

      4 공종구, "패러디와 패스티쉬 그리고 표절 그 개념적 경계와 차이" (19) : 1997

      5 장시은, "테스모포리아 축제와아리스토파네스의 『테스모포리아주사이』" 인문학연구원 75 (75): 53-78, 2018

      6 제임스 네어모어, "큐브릭 그로테스크의 미학" 컬쳐북 2016

      7 수잔 헤이워드, "영화사전" 한나래 2012

      8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문예출판사 2004

      9 줄리아 크리스테바, "시적언어의 혁명" 동문선 2000

      10 황수영, "시몽동의 개체화 이론 -프랑스 생성철학의 맥락에서-" 한국동서철학회 (53) : 199-224, 2009

      11 "스티븐 스필버그와 " 씨네21

      12 이윤영, "스탠리 큐브릭의 <샤이닝>에 나타난 공간과 공포" 한국영화학회 (42) : 545-569, 2009

      13 김호영, "상호텍스트적 영화와 패러디 영화" 현대영화연구소 3 (3): 27-46, 2007

      14 배상준, "미장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15 미셸 푸코, "말과 사물" 민음사 2012

      16 허문영, "두 명의 스필버그" 매거진 필로 (2) : 2018

      17 문만기, "동·서양 영상콘텐츠에 적용된 패러디 비교 연구 –한·미·일 3국의 Game·Animation을 중심으로" 3 : 2007

      18 질베르 시몽동,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 양식에 대하여" 그린비 2011

      19 최진성, "‘오뎃사의 계단’을 오르내리는 다양한 방법 —현대 영화에서의 <전함 포템킨> 패러디에 대한 의미망 분석—" 인문콘텐츠학회 (12) : 117-136, 2008

      20 하재홍, "‘소크라테스의 변론’과 형사변론술" 법학연구소 53 (53): 383-417, 2012

      21 "Zak Penn Reveals Why No ‘Blade Runner’ And Ultra Man References In ‘Ready Player One’" The Playlist

      22 Jameson, Fredric, "The Cultural Turn : Selected writing on the postmodern, 1983-1988" Verso 1988

      23 Denith, Simon, "Parody" Routledge 2000

      24 Ben-Porat, Ziva, "Method in Madness : Notes on the Structure of Parody, Based on MAD TV Satires" 1 : 1979

      25 "Kubrick on The Shining: An interview with Michel Ciment"

      26 "Here’s How Steven Spielberg and ILM Recreated That Movie for Ready Player One" io9

      27 Smith, Philip, "Cultural Theory : An Introduction" John Wiley & Sons 2011

      28 Friedman, Lester D., "Citizen Spielber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0

      29 Hutcheon, Linda, "A Theory of Parody"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85

      30 권재웅, "<아치와 씨팍>의 패러디/패스티쉬적 성격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7 (7): 7-31, 2011

      31 김계영, "18세기 프랑스소설과 패러디미학 - 디드로의 작품을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소 (64) : 29-52,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 1.289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