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단했던 여정과 열정, 이재룡 교수의 학문세계 = Professor Lee Jae-ryong’s Hard Journey, Passion, and Academic World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재룡은 2021년에 충북대학교를 퇴임한 법철학자로서 동양법철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여 서양법철학 일색인 한국에 동양법철학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킨 역할을 하였다. 그는 대학 학부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법학을 부전공으로 이수했으며 법학과 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에서 법철학을 전공했다. 그러나 그의 주 전공은 동양법철학이었으며 석사학위논문과 박사학위논문 모두 동양법철학 분야에 관한 주제를 연구한 저작이다. 이재룡의 학문역정은 사회학과 독일 형법학, 그리고 독일 법철학을 수학하면서 한편으로는 동양철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그는 연구의 지평을 비교적 넓게 지닐 수 있었다. 그는 동양철학적 사유태도가 자연현상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생활사태의 실질적 경험에서 비롯된 귀납적 원리를 추구해 왔으므로, 동양사회는 이러한 원리를 통해 서양과 대비되는 개인의 도덕성, 가정윤리, 사회윤리, 더 나아가 국가통치윤리가 이루어졌다고 본다. 그는 30 여 년간에 걸친 학문연구를 통해 꾸준히 동양 사상의 합리적이고 우월적인 측면을 부각시키려 노력해 왔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서양 사상을 토대로 하는 현행 법제도의 모순점들을 지적하고 개선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예로 그는 헌법제도상의 권력분립의 실질을 기하기 위해 국회에 과도하게 부여된 권한들을 헌법의 실질에 상응하게 행사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며, 형사소송절차에서의 피의자 보호원칙도 새롭게 재구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고, 과도하게 제정되고 있는 특별법에 대한 새로운 시각도 제시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일련의 주장들을 결코 한갓 규범논리에 의해 제기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긴 역사를 통해 형성된 동양사상의 근본적인 생활태도에서 비롯된 사상사적 토대를 지니고 있음을 논증하고 있다. 아울러 그는 이러한 동양철학적 세계이해의 태도가 서양에도 널리 알려져 받아들여지게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재룡은 후학들이 동양법철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본적인 토대를 마련했다고 생각하는 바이다.
      번역하기

      이재룡은 2021년에 충북대학교를 퇴임한 법철학자로서 동양법철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여 서양법철학 일색인 한국에 동양법철학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킨 역할을 하였다. 그는 대학 학부에...

      이재룡은 2021년에 충북대학교를 퇴임한 법철학자로서 동양법철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여 서양법철학 일색인 한국에 동양법철학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킨 역할을 하였다. 그는 대학 학부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법학을 부전공으로 이수했으며 법학과 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에서 법철학을 전공했다. 그러나 그의 주 전공은 동양법철학이었으며 석사학위논문과 박사학위논문 모두 동양법철학 분야에 관한 주제를 연구한 저작이다. 이재룡의 학문역정은 사회학과 독일 형법학, 그리고 독일 법철학을 수학하면서 한편으로는 동양철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그는 연구의 지평을 비교적 넓게 지닐 수 있었다. 그는 동양철학적 사유태도가 자연현상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생활사태의 실질적 경험에서 비롯된 귀납적 원리를 추구해 왔으므로, 동양사회는 이러한 원리를 통해 서양과 대비되는 개인의 도덕성, 가정윤리, 사회윤리, 더 나아가 국가통치윤리가 이루어졌다고 본다. 그는 30 여 년간에 걸친 학문연구를 통해 꾸준히 동양 사상의 합리적이고 우월적인 측면을 부각시키려 노력해 왔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서양 사상을 토대로 하는 현행 법제도의 모순점들을 지적하고 개선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예로 그는 헌법제도상의 권력분립의 실질을 기하기 위해 국회에 과도하게 부여된 권한들을 헌법의 실질에 상응하게 행사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며, 형사소송절차에서의 피의자 보호원칙도 새롭게 재구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고, 과도하게 제정되고 있는 특별법에 대한 새로운 시각도 제시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일련의 주장들을 결코 한갓 규범논리에 의해 제기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긴 역사를 통해 형성된 동양사상의 근본적인 생활태도에서 비롯된 사상사적 토대를 지니고 있음을 논증하고 있다. 아울러 그는 이러한 동양철학적 세계이해의 태도가 서양에도 널리 알려져 받아들여지게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재룡은 후학들이 동양법철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본적인 토대를 마련했다고 생각하는 바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e Jae-ryong, a legal philosopher who retired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2021, played a role in raising interest in Eastern legal philosophy in Korea where only Western legal philosophers are active. He majored in sociology in college, completed law as a minor, and majored in law philosophy in master’s and doctoral courses in law graduate school. However, his main major was Oriental Law Philosophy, and both master’s thesis and doctoral thesis were works that studied topics related to the field of Oriental Law Philosophy. Lee Jae-ryong’s academic career was able to have a relatively wide horizon for research by studying sociology of study of facts, German criminal law, and German legal philosophy. He believes that oriental philosophical thinking attitudes have understood natural phenomena as they are and pursued inductive principles derived from practical experiences of living conditions, so through these principles, individual morality, family ethics, social ethics, and even national governance ethics were achieved. Through more than 30 years of academic research, he has consistently tried to highlight the rational and superior aspects of Eastern thought, and through these results, he argues to point out and improve the contradictions of the current legal system based on Western thought. For example, he argues that the powers excessively granted to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be exercised according to the substance of the Constitution, demands a new reorganization of the principle of protection of suspects in criminal proceedings, and presents a new perspective on over-established special laws. He argues that these series of arguments are by no means raised through normative logic, but have a historical foundation for ideology resulting from the fundamental lifestyle of Eastern thought formed through a long history. In addition, he hopes that this attitude of understanding of the world of Eastern philosophy will be widely known and accepted in the West. I think Lee Jae-ryong laid the basic foundation for his juniors to study the philosophy of oriental law in earnest.
      번역하기

      Lee Jae-ryong, a legal philosopher who retired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2021, played a role in raising interest in Eastern legal philosophy in Korea where only Western legal philosophers are active. He majored in sociology in college, comp...

      Lee Jae-ryong, a legal philosopher who retired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2021, played a role in raising interest in Eastern legal philosophy in Korea where only Western legal philosophers are active. He majored in sociology in college, completed law as a minor, and majored in law philosophy in master’s and doctoral courses in law graduate school. However, his main major was Oriental Law Philosophy, and both master’s thesis and doctoral thesis were works that studied topics related to the field of Oriental Law Philosophy. Lee Jae-ryong’s academic career was able to have a relatively wide horizon for research by studying sociology of study of facts, German criminal law, and German legal philosophy. He believes that oriental philosophical thinking attitudes have understood natural phenomena as they are and pursued inductive principles derived from practical experiences of living conditions, so through these principles, individual morality, family ethics, social ethics, and even national governance ethics were achieved. Through more than 30 years of academic research, he has consistently tried to highlight the rational and superior aspects of Eastern thought, and through these results, he argues to point out and improve the contradictions of the current legal system based on Western thought. For example, he argues that the powers excessively granted to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be exercised according to the substance of the Constitution, demands a new reorganization of the principle of protection of suspects in criminal proceedings, and presents a new perspective on over-established special laws. He argues that these series of arguments are by no means raised through normative logic, but have a historical foundation for ideology resulting from the fundamental lifestyle of Eastern thought formed through a long history. In addition, he hopes that this attitude of understanding of the world of Eastern philosophy will be widely known and accepted in the West. I think Lee Jae-ryong laid the basic foundation for his juniors to study the philosophy of oriental law in earnes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인연과 사연 Ⅱ. 성장과 꿈, 쉽지 않은 여정 Ⅲ. 전개와 變奏, 확장 Ⅳ. 진단과 평가 그리고 비전 Ⅴ. 맺음말 참고문헌
      • Ⅰ. 인연과 사연 Ⅱ. 성장과 꿈, 쉽지 않은 여정 Ⅲ. 전개와 變奏, 확장 Ⅳ. 진단과 평가 그리고 비전 Ⅴ. 맺음말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룡, "호주제도와 가족문화 : 호주제도, 그 역사적 법철학적 當否" (10) : 2004

      2 이재룡, "한국 법제도의 타율성과 자주성" 법학연구소 31 (31): 227-256, 2020

      3 이재룡, "표층적 법질서와 심층적 유교문화의식"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1) : 2000

      4 이재룡, "충서(忠恕)론의 현대적 이해" 2011

      5 이재룡, "중국철학상 도덕가치의 실재성에 관하여" 한국법철학회 18 (18): 167-184, 2015

      6 이재룡, "중국의 전통적인 법사상과 법치주의의 법철학적 토대" 蓮崗中國學會 (創刊) : 1999

      7 이재룡, "주희 성리학에서의 소이연과 소당연의 도덕 실재적 함의" 법학연구소 34 (34): 95-124, 2010

      8 이재룡, "주역의 법자연의 원리와 규범관"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19 (19): 2002

      9 이재룡, "조선조의 법제도와 규범문화"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15 (15): 2002

      10 이재룡, "조선조 법제도 분석을 통한 21세기 한국적 법문화에 관한 연구" 중앙법학회 10 (10): 469-495, 2008

      1 이재룡, "호주제도와 가족문화 : 호주제도, 그 역사적 법철학적 當否" (10) : 2004

      2 이재룡, "한국 법제도의 타율성과 자주성" 법학연구소 31 (31): 227-256, 2020

      3 이재룡, "표층적 법질서와 심층적 유교문화의식"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1) : 2000

      4 이재룡, "충서(忠恕)론의 현대적 이해" 2011

      5 이재룡, "중국철학상 도덕가치의 실재성에 관하여" 한국법철학회 18 (18): 167-184, 2015

      6 이재룡, "중국의 전통적인 법사상과 법치주의의 법철학적 토대" 蓮崗中國學會 (創刊) : 1999

      7 이재룡, "주희 성리학에서의 소이연과 소당연의 도덕 실재적 함의" 법학연구소 34 (34): 95-124, 2010

      8 이재룡, "주역의 법자연의 원리와 규범관"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19 (19): 2002

      9 이재룡, "조선조의 법제도와 규범문화"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15 (15): 2002

      10 이재룡, "조선조 법제도 분석을 통한 21세기 한국적 법문화에 관한 연구" 중앙법학회 10 (10): 469-495, 2008

      11 이재룡, "조선왕조 상피제相避制의 역사적 의의" 법학연구소 20 (20): 93-119, 2009

      12 이재룡, "조선왕조 법제도에서의 국가관" 동양사회사상학회 (10) : 89-126, 2004

      13 이재룡, "조선시대의 규범이론과 규범체계 1권, 2권" 한국학술정보 2006

      14 이재룡, "조선시대 법제도와 유교적 민본주의" 東洋社會思想學會 (3) : 2000

      15 이재룡, "조선시대 법제도에서의 공감과 소통적 구조" 동양사회사상학회 21 (21): 129-162, 2018

      16 이재룡, "조선 후기 붕당정치의 역사적 의의: 정당정치에의 원용가능성에 대한 시론적 고찰" 동양사회사상학회 (19) : 135-164, 2009

      17 이재룡, "조선 왕조 법 제도에서의 시간과 공간의 의미 ―특히 법적 인간관에 대하여" 동양사회사상학회 7 : 5-38, 2003

      18 이재룡, "조선 예의 사상에서 법의 통치까지" 예문서원 1995

      19 이재룡, "전후 한국 동양법철학의 온고와 창신" 한국법철학회 11 (11): 15-40, 2008

      20 이재룡, "전기 순수법가의 국가관-商鞅의 국가관을 중심으로" 한국법철학회 3 (3): 2000

      21 이재룡, "유교의 공사관계(公私關係)와 조선왕조의 상피제(相避制)" 한국법철학회 17 (17): 155-182, 2014

      22 이재룡, "유교사회사상에서의 자유와 평등" 한국법철학회 5 (5): 173-186, 2002

      23 이재룡, "유가의 자연법 사상" 한국법철학회 1 : 1998

      24 이재룡, "원시유가(原始儒家)의 사회사상과 사회생물학"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3 (23): 2012

      25 이재룡, "왕안석 변법의 개혁사상에 대한 고찰" 중국철학회 (7) : 2000

      26 이재룡, "양계초의 법사상"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13 : 2002

      27 이재룡, "성리학적 본체론과 예규범" 한국동양철학회 4 : 1993

      28 이재룡, "성리학적 규범관-규범인식과 실천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규범력의 타당근거" 한국법철학회 3 (3): 2000

      29 李在龍, "상앙의 法思想"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6

      30 이재룡, "사상과 규범-유교적 법사상사의 지평을 찾아서" 한국국학진흥원 3 : 2002

      31 이재룡, "법가의 규범적 의미" 한국법철학회 3 (3): 1992

      32 이재룡, "법, 자연과 인간의 가교" 中國哲學會 (5) : 1997

      33 이재룡, "물리칠 수 없는 의식 속의 잔영, 현행 법제도 속의 유교문화의식" (12) : 2005

      34 이재룡, "리더쉽 理論과 韓國政治" 民族知性社 1987

      35 이재룡, "동양법사상과 생명윤리" 한국학연구원 (64) : 91-116, 2016

      36 이재룡, "도덕과 제도, 국가권력의 분산과 집중의 변주―상앙과 한비자(韓非子)의 因時制宜論*―" 한국법철학회 7 (7): 163-188, 2004

      37 이재룡, "당률의 중국 철학적 토대와 현대적 의미" 법학연구소 (33) : 447-476, 2016

      38 이재룡, "귀납과 연역, 그리고 경험적 실질과 이념적 추상의 간극" 비교법학연구소 62 : 527-558, 2021

      39 이재룡, "祖宗成憲(조종성헌)과 특별법 우선 원칙의 내재적 한계에 대한 법철학적 검토" 안암법학회 (53) : 47-76, 2017

      40 이재룡, "沙溪 金長生의 現實認識과 禮學에 대한 비판적 이해 : 沙溪禮學의 法哲學的 含意, 특히 統의 문제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12 : 2001

      41 이재룡, "正義論之中國哲學的根基" 浙江省社會科學界聯合會 (217) : 2014

      42 李在龍, "朝鮮時代의 性理學的 規範觀 : 특히 禮와 法의 關係를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3

      43 이재룡, "因時制宜와 법가적 법치" 한국법철학회 2 : 1999

      44 이재룡, "三峯 鄭道傳의 法思想" 고려대학교 民族文化硏究所 (23) : 1990

      45 이재룡, "[논문]周易 訟卦를 통해 본 西周시대의 訴訟" 한국법철학회 9 (9): 175-198, 2006

      46 이재룡, "16세기 朝鮮朝 性理學의 規範的 意味" 고려대학교 民族文化硏究所 (24) : 1991

      47 이재룡, ""大學" 格物致知 格物攷" 법학연구원 (69) : 259-290,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9-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양사회사상 -> 사회사상과 문화
      외국어명 : Jonrnal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 Jonrnal of Social Thoughts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3-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nrnal of Asian Social Thoughts -> Jonrnal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3 1.569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