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쇠와 의료 이용의 관련성: 일부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을 중심으로 = Frailty and Health Care Utilization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461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railty and health care utilization in a cross-sectional design of a population-based sample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e used the data of 516 participants who dwell in Daejon, aged between 65 and 84 years old. Using K-frailty index, frailty status were measured and categorized as three groups: robust, prefrail, and frai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if frailty affects emergency department(ED) visit or hospitalization. In addition,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outpatient visits and frailty. Our results showed that the frail elderly increased the ED visit and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 significantly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status,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self-rated health status. Considering that frailty is an important independent factor affecting health care utilization, more attention is required to prevent the frailty in our health care system.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railty and health care utilization in a cross-sectional design of a population-based sample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e used the data of 516 participants who dwell in Daejon, aged b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railty and health care utilization in a cross-sectional design of a population-based sample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e used the data of 516 participants who dwell in Daejon, aged between 65 and 84 years old. Using K-frailty index, frailty status were measured and categorized as three groups: robust, prefrail, and frai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if frailty affects emergency department(ED) visit or hospitalization. In addition,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outpatient visits and frailty. Our results showed that the frail elderly increased the ED visit and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 significantly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status,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self-rated health status. Considering that frailty is an important independent factor affecting health care utilization, more attention is required to prevent the frailty in our health care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쇠 수준이 건강상태 및 건강행태에 미치는 연관성을 파악하고, 노쇠가 의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일개 지역사회(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65~84세의 노인 516명을 대상으로 노쇠, 건강상태 및 행태,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해 일대일 면접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노쇠 수준은 K-frail 도구를 활용하여 측정한 후 노쇠, 전노쇠, 비노쇠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노쇠 수준과 건강상태 및 행태,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시행하였고, 노쇠 수준이 응급과 입원 서비스 이용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외래서비스 이용 경험 중 외래방문 횟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비노쇠군에 비해 노쇠군에 속한 노인들에서 주관적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이 높았고, 만성질환을 2개 또는 3개 이상 진단받은 비율이 높았으며, 낙상위험성, 일상생활 수행 어려움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노쇠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의 수를 통제한 후에도 응급 서비스 및 외래서비스 이용의 증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역사회에서 노쇠를 조기에 발견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체계와 전략 마련이 중요함을 시사하며, 향후 노쇠에 대한 종적 자료 구축을 통해 노쇠와 건강상태 및 행태, 의료 이용 사이의 인과관계 규명을 위한 심층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노쇠 수준이 건강상태 및 건강행태에 미치는 연관성을 파악하고, 노쇠가 의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일개 지역사회(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

      본 연구는 노쇠 수준이 건강상태 및 건강행태에 미치는 연관성을 파악하고, 노쇠가 의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일개 지역사회(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65~84세의 노인 516명을 대상으로 노쇠, 건강상태 및 행태,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해 일대일 면접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노쇠 수준은 K-frail 도구를 활용하여 측정한 후 노쇠, 전노쇠, 비노쇠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노쇠 수준과 건강상태 및 행태,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시행하였고, 노쇠 수준이 응급과 입원 서비스 이용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외래서비스 이용 경험 중 외래방문 횟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비노쇠군에 비해 노쇠군에 속한 노인들에서 주관적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이 높았고, 만성질환을 2개 또는 3개 이상 진단받은 비율이 높았으며, 낙상위험성, 일상생활 수행 어려움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노쇠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의 수를 통제한 후에도 응급 서비스 및 외래서비스 이용의 증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역사회에서 노쇠를 조기에 발견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체계와 전략 마련이 중요함을 시사하며, 향후 노쇠에 대한 종적 자료 구축을 통해 노쇠와 건강상태 및 행태, 의료 이용 사이의 인과관계 규명을 위한 심층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은실, "허약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영향요인"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1 (21): 12-20, 2010

      2 김창오, "허약노인의 개념적 정의와 조작화에 대한 국내외 연구현황" 1 : 85-93, 2011

      3 정휘수, "한국형 노쇠측정도구로 평가된 노쇠와 관련된 임상적 요인들" 대한노인병학회 17 (17): 71-78, 2013

      4 황환식, "한국형 노쇠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조사" 대한노인병학회 14 (14): 191-202, 2010

      5 박진경, "취약계층 노인의 허약 영향 요인" 한국노년학회 34 (34): 441-456, 2014

      6 박은옥, "취약계층 노인의 연령별 허약정도와 관련 요인" 한국간호과학회 46 (46): 848-857, 2016

      7 마승현, "일부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노쇠수준과 기능장애의 연관성 및 노쇠 관련요인" 대한가정의학회 30 (30): 588-597, 2009

      8 보건복지부, "어르신을 위한 식생활 지침"

      9 최경원, "노인허약에 대한 고찰" 한국재활간호학회 11 (11): 67-73, 2008

      10 전경숙, "노인의 사회 관계망 및 사회적 지지와 허약의 관계" 대한노인병학회 16 (16): 84-94, 2012

      1 임은실, "허약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영향요인"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1 (21): 12-20, 2010

      2 김창오, "허약노인의 개념적 정의와 조작화에 대한 국내외 연구현황" 1 : 85-93, 2011

      3 정휘수, "한국형 노쇠측정도구로 평가된 노쇠와 관련된 임상적 요인들" 대한노인병학회 17 (17): 71-78, 2013

      4 황환식, "한국형 노쇠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조사" 대한노인병학회 14 (14): 191-202, 2010

      5 박진경, "취약계층 노인의 허약 영향 요인" 한국노년학회 34 (34): 441-456, 2014

      6 박은옥, "취약계층 노인의 연령별 허약정도와 관련 요인" 한국간호과학회 46 (46): 848-857, 2016

      7 마승현, "일부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노쇠수준과 기능장애의 연관성 및 노쇠 관련요인" 대한가정의학회 30 (30): 588-597, 2009

      8 보건복지부, "어르신을 위한 식생활 지침"

      9 최경원, "노인허약에 대한 고찰" 한국재활간호학회 11 (11): 67-73, 2008

      10 전경숙, "노인의 사회 관계망 및 사회적 지지와 허약의 관계" 대한노인병학회 16 (16): 84-94, 2012

      11 박병진, "노인 허약에 대한 통합의학적 접근" 대한가정의학회 31 (31): 747-754, 2010

      12 선우덕, "노인 보건사업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13 김창오, "기능장애, 장기요양 필요 및 사망 예측을 위한 허약측정도구의 개발" 한국노년학회 35 (35): 451-474, 2015

      14 이윤환, "근거중심의 노쇠 예방" 대한노인병학회 19 (19): 121-129, 2015

      15 WHO., "World report on ageing and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16 Laurence Z. Rubenstein, "Validating an evidence-based, self-rated fall risk questionnaire (FRQ) for older adults" Elsevier BV 42 (42): 493-499, 2011

      17 Attard, A., "The federal council on agine:Newprio rities" 23 (23): 117-119, 1983

      18 Stefania Ilinca, "The Patterns of Health Care Utilization by Elderly Europeans: Frailty and Its Implications for Health Systems" Wiley 50 (50): 305-320, 2015

      19 정희원, "The Korean version of the FRAIL scale: clinical feasibility and validity of assessing the frailty status of Korean elderly" 대한내과학회 31 (31): 594-600, 2016

      20 Melissa K. Andrew, "Social Vulnerability, Frailty and Mortality in Elderly People" Public Library of Science (PLoS) 3 (3): e2232-, 2008

      21 Shoji Shinkai, "Public health approach to preventing frailty in the community and its effect on healthy aging in Japan" Wiley 16 : 87-97, 2016

      22 CDC, "Preventing Falls: A Guide to Implementing Effective Community-Based Fall Prevention Program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23 J.H. Son, "Physical frailty predicts medical expenses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atients: Three-year prospective findings from living profiles of older people surveys in Korea" Elsevier BV 6 (6): 412-416, 2015

      24 Patricia A. Boyle, "Physical Frailty Is Associated with Incident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Community-Based Older Persons" Wiley 58 (58): 248-255, 2010

      25 Kim, E. L., "Long-term care prevention and development of ealthmanagement system" Research for Health promotion policy 2007

      26 Fried, L. P., "Frailty in older adults: evidence for aphenotype" 56 (56): M146-M157, 2001

      27 Andrew Clegg, "Frailty in elderly people" Elsevier BV 381 (381): 752-762, 2013

      28 Robbert J.J. Gobbens, "Frailty and its prediction of disability and health care utilization: The added value of interviews and physical measures follow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Elsevier BV 55 (55): 369-379, 2012

      29 Sheila M. McNallan, "Frailty and Healthcare Utilization Among Patients With Heart Failure in the Community" Elsevier BV 1 (1): 135-141, 2013

      30 Yunhwan Lee, "Frailty and Body Mass Index as Predictors of 3-Year Mortality in Older Adults Living in the Community" S. Karger AG 60 (60): 475-482, 2014

      31 Philip D. St. John, "Depressive symptoms and frailty" Wiley 28 (28): 607-614, 2013

      32 Xie, B., "Components and Indicators of Frailty Measures: A Literature Review" 6 (6): 76-82, 2017

      33 Brook, D. R., "Caring for the frail elderly : an office protocol" 16 : 2195-2199, 1991

      34 Jens-Oliver Bock, "Associations of frailty with health care costs – results of the ESTHER cohort study" Springer Nature 16 (16): 2016

      35 John E. Morley, "A simple frailty questionnaire (FRAIL) predicts outcomes in middle aged African Americans" Springer Nature 16 (16): 601-608, 2012

      36 Kenneth Rockwood, "A brief clinical instrument to classify frailty in elderly people" Elsevier BV 353 (353): 205-206,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