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雇工의 기원과 신분층의 형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733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공은 중국에서 사용되던 신분 개념이 수용된 것으로 14세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신분 용어이다. 하지만 고공에 대한 뚜렷한 신분 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다양한 형태의 노동인구가 고공으...

      고공은 중국에서 사용되던 신분 개념이 수용된 것으로 14세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신분 용어이다. 하지만 고공에 대한 뚜렷한 신분 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다양한 형태의 노동인구가 고공으로 불렸고, 이런 경향은 고공에 대한 신분 기준이 마련된 18세기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고공이 다양한 노동인구를 가리키면서 고공을 의미하는 다양한 표현들이 이칭으로 사용되었다. 고공의 이칭은 각종 법전이나 법률 등에 사용된 법제적 표현, 고공의 사회ㆍ경제적 지위를 나타내는 표현, 타인에게 고용된 존재임을 나타내는 표현, 그리고 고공과는 전혀 성격이 다른 노동인구를 나타내는 표현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가운데 고공과 전혀 다른 성격의 노동인구를 나타내는 표현을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유형은 직ㆍ간접적으로 고공을 의미하고 있어 고공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고공의 기원형태는 일정 기간 타인에게 고용된다는 중국 고공의 신분적 특징과 가장 유사한 고려후기의 고용노동자에게서 찾을 수 있었다. 고려후기에는 가내잡역이나 역의 대립 등에 고용되었던 ‘傭’ㆍ‘雇傭’ㆍ‘雇人’ 등으로 불리던 고용노동자들이 존재하였는데, 이들을 고공의 기원 형태로 볼 수 있다. 특히 고인은 조선 시대에 고공의 이칭으로 널리 혼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고공과 직접 연결되는 전형적인 고공의 기원형태로 보인다.
      문헌기록에서 고공이란 표현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고려후기이다. 충숙왕 복위 7년(1338)부터 추진된 불은사 중건 과정에서 고공이라고 불렸던 노동인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14세기 후반은 고공에 대한 법적 규범을 담고 있는 ?대명률?이 형률로 채택되고 고공의 가장 대표적 이칭인 고인이란 표현이 등장하는 시기여서, 이 무렵 고공이 처음 등장했을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따라서 고공이 처음 등장한 시기는 14세기로 설정할 수 있다.
      14세기에 등장한 고공은 점차 하나의 신분층을 형성해 나갔다. 늦어도 15세기 초인 태종에서 세종 사이 시기에는 하나의 신분층으로 간주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정부 관료들이 특정인에게 ?대명률? 상의 고공률 적용을 검토하고 있는 것이나 특정한 노동인구를 직접 고공으로 지칭하고 있는 것은 이런 사실을 뒷받침한다. 즉 고공이 다른 신분층이나 노동인구와는 구분되는 존재였고, 일반인과는 다른 별도의 형률이 적용되는 존재였음을 인지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공은 15세기 초에 하나의 독자적인 신분층을 형성했다고 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머리말
      • Ⅰ. 고공의 범주
      • Ⅱ. 려말선초 고용노동의 진전과 고공의 발생
      • 맺음말
      • 요약
      • 머리말
      • Ⅰ. 고공의 범주
      • Ⅱ. 려말선초 고용노동의 진전과 고공의 발생
      •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승기, "천민" 국사편찬위원회 5 : 1975

      2 김용섭, "증보 조선후기 농업사연구 Ⅱ" 일조각 1990

      3 한영국, "조선후기의 고공 –18ㆍ19세기 대구부 호적에서 본 그 실태와 성격-" 81 : 1979

      4 강승호, "조선후기 고공정제 연구" 10ㆍ11 : 1999

      5 김동인, "조선초기 고공연구" 1 : 1983

      6 강승호, "조선전기 고공의 유형과 그 성격" 5ㆍ6 : 1995

      7 詹薇, "조선왕조 18세기 전후 고공의 성격 : 단성현과 대구부 동상·서상면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8 조병노, "조선시대 역의 조역호와 역보ㆍ고공, In 何石金昌洙敎授華 甲記念史學論叢" 범우사 1992

      9 김석형, "조선봉건시대 농민의 계급구성" 신서원 1993

      10 장영민, "조선말 농업임금노동연구 시론" 2 : 1985

      1 홍승기, "천민" 국사편찬위원회 5 : 1975

      2 김용섭, "증보 조선후기 농업사연구 Ⅱ" 일조각 1990

      3 한영국, "조선후기의 고공 –18ㆍ19세기 대구부 호적에서 본 그 실태와 성격-" 81 : 1979

      4 강승호, "조선후기 고공정제 연구" 10ㆍ11 : 1999

      5 김동인, "조선초기 고공연구" 1 : 1983

      6 강승호, "조선전기 고공의 유형과 그 성격" 5ㆍ6 : 1995

      7 詹薇, "조선왕조 18세기 전후 고공의 성격 : 단성현과 대구부 동상·서상면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8 조병노, "조선시대 역의 조역호와 역보ㆍ고공, In 何石金昌洙敎授華 甲記念史學論叢" 범우사 1992

      9 김석형, "조선봉건시대 농민의 계급구성" 신서원 1993

      10 장영민, "조선말 농업임금노동연구 시론" 2 : 1985

      11 김용덕, "부곡의 규모와 부곡민의 신분에 대하여" 88ㆍ89 : 1981

      12 강승호, "단성현 호적대장을 통해 본 고공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을 중심으로-" 17ㆍ18 : 2000

      13 박종기, "고려시대 향·부곡의 변질과정" 6 : 1980

      14 박성수, "고공연구" 18 : 1964

      15 이성무, "경국대전의 편찬과 대명률" 125 : 1990

      16 "高麗史"

      17 "稼亭集"

      18 "秋官志"

      19 "磻溪隨錄"

      20 "硏經齋集"

      21 "朝鮮王朝實錄"

      22 "日省錄"

      23 仁井田陞, "支那身分法史" 東方文化學院 1942

      24 "承政院日記"

      25 "大典後續錄"

      26 "受敎輯錄"

      27 宮原兎一, "十五ㆍ十六世紀朝鮮の雇工について" 11 : 1957

      28 "三國遺事"

      29 "三國史記"

      30 박용숙, "18ㆍ19세기의 고공 -경상도 언양현 호적의 분석-" 7 : 1983

      31 최윤오, "18ㆍ19세기 농업고용노동의 전개와 발달" 77 :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1.05 2.15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