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일본의 배타적 내셔널리즘의 형성과정에서 니시키에(錦絵)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자 했다. 정 한론에 있어서 니시키에의 표현 형식은 신화에 의한 진구, 토요토미 히데요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일본의 배타적 내셔널리즘의 형성과정에서 니시키에(錦絵)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자 했다. 정 한론에 있어서 니시키에의 표현 형식은 신화에 의한 진구, 토요토미 히데요시,...
이 연구에서는 일본의 배타적 내셔널리즘의 형성과정에서 니시키에(錦絵)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자 했다. 정 한론에 있어서 니시키에의 표현 형식은 신화에 의한 진구, 토요토미 히데요시, 가토 키요마사 등의 등장으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여론형성에 집착한 것을 알 수 있다. 니시키에 그림 그 자체도 섬세하고 고도의 필치를 자랑하는 에시(화가)의 뛰어난 솜씨가 일본서민의 애호품으 로 받아들여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조선, 청, 러시아, 대만 등을 상대로 그려진 니시키에를 비교하여 보면 국 가와 대상에 따라 각각 특색이 있었다. 조선은 호랑이, 청나라는 돼지, 러시아는 쥐에 비유된 의수(儗獸)화를 사용하여 경시사상을 조장하였다. 또한 정한사상은 신화에 근거를 둔 것이 많았으며 시기별로 표현형식의 변 천을 엿볼 수 있었다. 반면,청일전쟁과 러일전쟁 시기, 청국과 러시아에 대해서는 이미지형성의 시기 없이 전 쟁 상대의적국으로서 직접적인 표현형식을 취하였고 국력의 강약의 대조로 비하하고 있는 것이 많았다. 대국 중국과 군사대국 러시아에 대한 두려움이 지나칠 정도로 비하되는 형태로 일본국민의배타적 내셔널리즘 을 자극하는 표현형식을 취했다. 니시키에에는 일본의 제국주의의 표출이적나라하게 나타났으며 근대화 시기 의 문명-야만에 대한 도식이 일본-아시아의 인식 그 자체로 표현되는 매체였던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Nishiki-E(colorwoodblock print) as a means of expressing its chauvinistic nationalism andmanipulating Japanese image. Nishiki-Es are also analyzed to find theconnection between their expressi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Nishiki-E(colorwoodblock print) as a means of expressing its chauvinistic nationalism andmanipulating Japanese image. Nishiki-Es are also analyzed to find theconnection between their expressions and historical events. To express theanti-Korea populism, various Japanese heroes, including Jingu Empress,Toyotomi Hideyoshi and Kato Kiyomasa were present in Nishiki-Es. It seemslikely that Nishiki-Es were used to stimulate public opinions in a structuredway. Later, the anti-Korea populism became abstractive as many artistsexpressed it with their delicate drawings and professional writings. Separately,it was found that Nishiki-Es portray foreign countries, including Chosun (Korea), Chung (China), Russia and Taiwan, in different ways, emphasizingeach country’s characteristics, although those Nishiki-Es were drawn by thesame artist. The anti-Korea populism was based on mythology. However, itsexpression varied with time, showing differences in Edo era, the MeijiRestoration period and Junghan(the conquest in Korea)-ron eras, respectively. Realistic expression was evident after the 1882 Imo Protests whereas theexpression became directly hostile against Chung and Russia in the periodduring wartime with these countries. By showing the national power withcontrasting methods, those countries were belittled and eventually Japan’schauvinistic nationalism enlarged. Some Nishiki-Es were exaggerated bycartoon-like technique but unprofessional as if they were drawn by a child. Thebelittling expression was more severe for Taiwan. In conclusion, Japan’ simperialism was clear in Nishiki-Es in which Japan was portrayed as a civilizednation while other Asian countries as under-civilized ones. Japanese soldierslook like westerners whereas soldiers in other Asian countries like barbarian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錦絵」 ドキュメント 黄海々戦ニ於ケル松島艦内ノ状況 特集 大日本帝国海軍 聯合艦隊」 歴史読本"
2 酒井 絵理, "「錦絵新聞」 の所蔵状況" 人文資料研究 2008
3 "<錦絵ドキュメン>海軍大尉 木村宏吉" 818 : 2007
4 岡野素子, "<文部省発行錦絵>の研究" 2002
5 岡野素子, "<文部省発行錦絵>の典拠に関する一考察" 2011
6 장용걸, "정한론과 조선인식" 보고사 2004
7 한정선, "일본, 만화로 제국을 그리다" 일조각 2006
8 姜德相, "우키요에 속의 조선과 중국" 일조각 2009
9 "오스트리아 빈대학 동아시아연구소 콜렉션"
10 강창일, "근대일본의 조선침략과 대아시아주의" 역사비평사 2011
1 "「「錦絵」 ドキュメント 黄海々戦ニ於ケル松島艦内ノ状況 特集 大日本帝国海軍 聯合艦隊」 歴史読本"
2 酒井 絵理, "「錦絵新聞」 の所蔵状況" 人文資料研究 2008
3 "<錦絵ドキュメン>海軍大尉 木村宏吉" 818 : 2007
4 岡野素子, "<文部省発行錦絵>の研究" 2002
5 岡野素子, "<文部省発行錦絵>の典拠に関する一考察" 2011
6 장용걸, "정한론과 조선인식" 보고사 2004
7 한정선, "일본, 만화로 제국을 그리다" 일조각 2006
8 姜德相, "우키요에 속의 조선과 중국" 일조각 2009
9 "오스트리아 빈대학 동아시아연구소 콜렉션"
10 강창일, "근대일본의 조선침략과 대아시아주의" 역사비평사 2011
11 酒井忠康, "開化の浮世絵師 清親" 平凡社 2008
12 土屋礼子, "錦絵新聞の時代」 明治のメディア師たちー錦絵新聞の世界" 日本 新聞博物館 2001
13 大久保純一, "錦絵ーその誕生と流通の実体" 岩波書 店 84-87, 2007
14 文公輝, "錦絵・錦絵新聞にみる朝鮮・中国へのまなざしー江華島事件から日 清戦争までー" 大阪人権博物館紀要 1998
15 冨澤達三, "錦絵のちから" 文生書院 2004
16 岸井守一, "錦絵。双六 玩具絵に見る明治初期体育史の研究" 1980
17 井上素子, "近代教育錦絵における絵師選定:<文部省発行錦絵>および<教 草>をめぐって" 27 : 2011
18 羽田 壽夫, "瓦版・絵図・錦絵・海外本・絵入り新聞に見るペリー来航と日 本へのインパクト" 帝京平成大学紀要 2005
19 信太 周, "源義経の末路--画題義経蝦夷渡錦絵を読む" 神戸松蔭女子学院 大学国文学研究室編 2006
20 佐々木揚, "清末中国における日本観と西洋観" 東京大学出版会 2000
21 小林忠, "浮世絵師列伝" 平凡社 2006
22 小林忠, "浮世絵の歴史" 美術出版社 1998
23 小林忠, "江戸浮世絵を読む" ちくま新書 2002
24 南和男, "江戸の風刺画" 吉川弘文舘 1997
25 "江戸の出版仕掛人, part3"
26 佐藤 かつら, "歌舞伎と錦絵新聞" 国際浮世絵学会会誌 2003
27 齋藤 龍, "横濱錦繪物語(最終回)横浜から全国へ広まった文明開化" 歴史読本 2008
28 藤澤 紫, "春信の絵本と錦絵--絵を読む楽しみー特集 絵を読む 文字を見る --日本文学とその媒体" アジア遊学 2008
29 岡野 素子, "明治期歌川派と教育錦絵--≪文部省發行錦繪≫を中心に" 2004
30 桜井義之, "明治時代 錦絵 にみる朝鮮問題" 4 : 1977
31 片山隆康, "明治新聞物語" 大阪経済法科大学 1989
32 土屋礼子, "明治七年台湾出兵の報道について" 吉川弘文館 2005
33 参謀本部, "明治28年日清戦史 第8卷"
34 土屋礼子, "日本錦絵新聞集成" 文生書院 2000
35 清水勳, "日本史ブックレット(55)日本近代漫画の誕生" 山川出版社 2001
36 藤元 直樹, "日付のある錦絵--1881(明治14)年の終末 「世界転覆奇談」 をめ ぐって" 文化資源学 2003
37 辻 千春, "日中両国の報道版画ー19世紀末に現れた錦絵と年画にみる日清戦争 の描き方を中心にー" 27 : 2011
38 新井義史, "文化理解を目的とする東洋美術の鑑賞教育(3)ーメディアの観点によ る浮世絵版画へのアプローチー" 教育科学編 58 (58): 41-54,
39 福生市郷土資料室, "戦争錦絵に見る日露戦争百年 : 日露戦争と福生" 福生市 郷土資料室 2007
40 原田敬一, "戦争を伝えた人々ー日清戦争と錦絵をめぐってー" 84 : 2000
41 奈倉 哲三, "戊辰戦争諷刺錦絵の世界史的位置--国民国家草創期における民衆 思想" 跡見学園女子大学文学部紀要 2007
42 大久保純一, "忠臣蔵物の錦絵と泉岳寺" 国立歴史民俗博物館研究報告 2006
43 姜範錫, "征韓論政変 明治六年の権力闘争" サイマル出版会 1990
44 信太 周, "平家物語 異文の効用--付 画題源平一の谷合戦錦絵考" 文林 / 神 戸松蔭女子学院大学国文学研究室 編 2006
45 沈箕載, "幕末維新日朝外交史の研究" 臨川書店 1997
46 南和男, "幕末維新の風刺画" 吉川弘文舘 1999
47 南和男, "幕末江戸の文化 浮世絵と風刺画" 塙書房 1999
48 樋口弘, "幕末明治の浮世絵集成" 味灯書屋 1955
49 奈良教育大学附属図書館, "幕末明治の浮世絵" 奈良教育大学 1999
50 早稲田大学図書館, "幕末・明治のメディア展 :新聞・錦絵・引札" 早稲田大 学出版部 1987
51 前田愛, "天保改革における作者と書評" 岩波現代文庫 2001
52 土屋礼子, "大阪の錦絵新聞" 三元社 1995
53 土屋礼子, "大衆紙の源流ー明治小新聞の源流" 世界思想社 2002
54 ヒロコ ジョンソン, "大会発表報告 ワーグマンとベアトに よる幕末画像資料と錦絵新聞" 国際浮世絵学会会誌 2006
55 鈴木重三, "国芳" 平凡社 1992
56 岩切 信一郎, "メディアとしての近代版画史(第1回)錦絵新聞--浮世絵が ニューメディアになった!?" 版画芸術 2009
57 河合正朝, "いま鮮やかに甦る明治:ボン浮世絵コレクション" 慶應義塾図書館 展示図録編集 2008
58 "http://www.jti.co.jp/Culture/museum/exhibition/2001/0109seip/shuppan.html"
59 "http://kenkyuu.eas.univie.ac.at/karikaturen/jp/db_use.htm"
60 "http://ja.wikipedia.org/wiki/%E6%97%A5%E6%B8%85%E6%88%A6%E4%BA%8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1 | 0.808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