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사에 관한 배움학적 단상(斷想) = A Study on the Conclusive Recommendation for Teachers In Terms of Erud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408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배움학에 근거한 새로운 교사상의 속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교사의 목표는 학습자의 지배가 아니다. 학습자들이 사물에 대한 가치감각을 기를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며 성...

      본 연구에서는 배움학에 근거한 새로운 교사상의 속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교사의 목표는 학습자의 지배가 아니다. 학습자들이 사물에 대한 가치감각을 기를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며 성숙시키고 창조적 개조가 이루어지도록 이끌어 주는 사람이다. 교사는 사람의 본성과 능력을 다루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학생들과 더불어 배우는 일에 자기 삶을 거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교사가 우리 교육의 문젯거리로 간주되고 있다. 그 이면에는 학교학이라는 교육의 패러다임이 우리 교육계를 지배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사들을 위하여 현재의 학교학적 교육의 패러다임이 아닌 새로운 대안적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바로 그 새로운 패러다임이 "자유인으로서의 교사", "나그네로서의 교사", 그리고 "호모 에루디티오(Homo Eruditio)로서의 교사"상이다. 배움학에서의 교사는 진리를 가르치기 이전에 학생들과 더불어 함께 배우는 사람이어야 한다. 또한 가르치기 이전에 생각하는 교사이어야 한다. 즉 교실에서 매일 고민하고, 행복해하며, 결단하는 나그네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사상이 제대로 서게 될 때에 어이없는 교사폭행이나 교직 불만족 등의 사건들은 생기지 않을 것이다. 교사는 학생들 앞에서 당당히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o teachers the recommendation conclusively based on the science of erudition.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found that most problems, for example teacher attacks from the students, parents of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o teachers the recommendation conclusively based on the science of erudition.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found that most problems, for example teacher attacks from the students, parents of the students, and supervisors, dissatisfac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s as teachers by themselves, and the process problem of teacher education system, were basically caused by the pedagogical paradigm. To solve these problems, it has to be suggested the new paradigm for teachers. As the new paradigm, the author proposed teachers as "Anarchist", "Homo Eruditio", and "Stranger". Teachers as Anarchist, Homo Eruditio, and stranger can be "interexperience of learning" with their students, because they can learn from each others. It means both students and teachers can be the learner. Therefore, when teachers can be anarchist, stranger, and Homo Eruditio, they retrieve their former position, at the same time, they can upgrade their lives for the self-actualization personal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학교학에서의 교사관의 해체(解體)
      • 배움학에서의 교사관
      • 나가며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학교학에서의 교사관의 해체(解體)
      • 배움학에서의 교사관
      • 나가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