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창현, "할로윈 데이의 코스튬 놀이" 현대사진영상학회 (10) : 119-137, 2007
2 이정재, "한국축제의 길-일상과 일탈" 5 : 29-69, 2001
3 강나현, "하이메 아욘 공간의 비일상적 특성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2 (12): 115-125, 2017
4 김정철, "하비 콕스의 문화신학 연구"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06
5 김문겸, "프랑스 음악축제의 현대적 의미"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 : 93-116, 2010
6 이훈, "축제체험의 개념적 구성모형" 한국관광학회 30 (30): 29-46, 2006
7 이정진, "축제이벤트 콘텐츠 개발 -<제주 정월대보름 들불축제>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9) : 371-408, 2007
8 류정아, "축제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9 류정아, "축제의 원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10 배만규, "축제의 심리적 스트레스 해소 효과"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3 (23): 381-398, 2011
1 김창현, "할로윈 데이의 코스튬 놀이" 현대사진영상학회 (10) : 119-137, 2007
2 이정재, "한국축제의 길-일상과 일탈" 5 : 29-69, 2001
3 강나현, "하이메 아욘 공간의 비일상적 특성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2 (12): 115-125, 2017
4 김정철, "하비 콕스의 문화신학 연구"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06
5 김문겸, "프랑스 음악축제의 현대적 의미"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 : 93-116, 2010
6 이훈, "축제체험의 개념적 구성모형" 한국관광학회 30 (30): 29-46, 2006
7 이정진, "축제이벤트 콘텐츠 개발 -<제주 정월대보름 들불축제>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9) : 371-408, 2007
8 류정아, "축제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9 류정아, "축제의 원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10 배만규, "축제의 심리적 스트레스 해소 효과"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3 (23): 381-398, 2011
11 김규원, "축제의 비일상성과 색채의 역할" 3-6, 2005
12 진인혜, "축제와 혁명" 한국프랑스학회 47 : 503-518, 2004
13 조성애, "축제와 원형적 세계관" 프랑스문화예술학회 (11) : 267-296, 2004
14 장 뒤비뇨, "축제와 문명" 한길사 1973
15 정명희, "축제방문객이 지각한 도시축제의 사회문화적 영향 : 하이서울 페스티발을 중심으로" (15) : 243-263, 2003
16 하동원, "축제 공간의 복잡적응계적 현상과 진화- 음악축제 참여자의 블로그를 대상으로 -" 관광연구소 25 (25): 45-62, 2013
17 최성호, "질적 내용 분석의 개념과 절차" 한국질적탐구학회 2 (2): 127-155, 2016
18 이주경, "조건부가치측정법에 의한 전주세계소리축제의 경제적 가치추정 연구" 한국예술경영학회 (38) : 133-153, 2016
19 오연주, "일탈의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8 (8): 157-166, 2008
20 박진실, "일탈성 체험이 축제만족에 미치는 영향 : 보령머드축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21 임채흥, "유럽 음악축제들의 역사와 오늘" 6 : 1-23, 2013
22 추연화,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일탈 행동의 의미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3 김미성, "연극 공간이론 변용을 통한 축제 공간 연구" 한국프랑스학회 66 : 285-304, 2009
24 이효진, "스페인 토마토 축제와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축제" 49 (49): 48-53, 2014
25 신정은, "비일상적 관점에서 스마트 오피스 디자인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2 (22): 369-384, 2016
26 이진영, "비일상적 공간표현에 대한 영상이미지 연구-영화 ‘인셉션’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9 (19): 617-626, 2013
27 김선지, "비일상을 통해 발현된 유토피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8 박미경, "북캘리포니아 음악축제의 현장연구보고" 세계음악학회 (11) : 35-70, 2004
29 하비콕스, "바보제" 청림출판 1969
30 곽재현, "미하일 바흐친의 카니발레스크 고찰 -2016 촛불집회 현상-" 한국관광학회 41 (41): 45-60, 2017
31 김소희, "문화적 역량의 가동* - 코뮤니타스와 창조적 노마드 -" 한국문화교육학회 4 (4): 57-86, 2009
32 김미성, "도시축제와 공동체문화 형성에 관한 연구" 대중서사학회 (20) : 311-343, 2008
33 한덕택, "도시축제로서 노원탈축제의 발전 방향" 5 : 29-42, 2016
34 황욱선, "도시축제 서비스품질이 방문객의 중요도·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원주 다이내믹페스티벌을 대상으로 -" 한국관광산업학회 41 (41): 217-237, 2016
35 조민희, "도시소설에 나타난 일탈 양상 연구 : 7·80년대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6 이유나,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브랜드 자산구성요인과 관객 경험 수준에 따른관객 행위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예술경영학회 (48) : 47-78, 2018
37 은은기, "글로칼리즘(지역의 세계화) 성공 사례 - 에딘버러 페스티벌 프린지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58) : 861-882, 2010
38 송영민, "관광객 일탈행동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이해"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6 (26): 5-22, 2014
39 이덕구, "공동체축제에서 관광상품으로의 변화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 일본 아오모리네부타축제와 히로사키요사코이츠가루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40 이강원, "공공 공간의 전유와 배제 논리: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탑골공원의 사례" 대한지리학회 48 (48): 944-966, 2013
41 김태경, "강릉단오제의 도시공간적 의미-일상과 일탈에서의 공간인식-" 한국전통조경학회 20 (20): 69-80, 2002
42 한윤애, "‘축제적 전유’를 통한 공공공간의 재구성 : 핀란드 ‘레스토랑 데이’를 사례로" 한국공간환경학회 25 (25): 63-94, 2015
43 Turner, V-W., "Secular Ritual" Van Goreum 1977
44 Leach, E., "Rethinking Anthropology" Athlone Press 1961
45 Gibson, C., "Music festivals and regional development in Australia Surrey" Ashgate 2012
46 Quinn, B., "Festival connections: people, place and social capital, Exploring the Social Impacts of Events" Routledge 15-30, 2013
47 Uriely, N., "Drugs and risk-taking in tourism" 33 (33): 339-359, 2006
48 Uriely, N., "Drugs and Tourists' Experiences" 43 (43): 238-246,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