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음악축제에서 나타나는 일탈성 양상 연구 - ACC월드뮤직페스티벌을 중심으로 - = The Patterns of Deviation in Urban Music Festival - Focusing on the ACC World Music Festival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389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s of deviation in urban music festival through the theories and a case study. A deviation help contemporary people in the routine of daily life to give a lot of energy. Such a deviation is strongly experienced from the festival. So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patterns of deviation in urban festival.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 between deviation and festival is examined first. And then the patterns of deviation in festival are drawn from the preceding research and case studies. The patterns of deviation in festival are identified as spatio-temporal deviation, active deviation, and situational deviation. Spatio-temporal deviation is divided into non-dailiness, space separation, and space appropriation. Active deviation is divided into make-over and expression. Situational deviation is divided into overturning and new meeting. This patterns of deviation applies to case study of ACC world music festival hel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ith a content analysis methodology. The research finding is that Spatio-temporal deviation is most evident in ACC world music festival, on the other hand active deviation and situational deviation are weak or no evident. It is expected that various deviant element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strategically in festival planning to help strengthen the festivity of modern urban festival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s of deviation in urban music festival through the theories and a case study. A deviation help contemporary people in the routine of daily life to give a lot of energy. Such a deviation is strongly ex...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s of deviation in urban music festival through the theories and a case study. A deviation help contemporary people in the routine of daily life to give a lot of energy. Such a deviation is strongly experienced from the festival. So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patterns of deviation in urban festival.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 between deviation and festival is examined first. And then the patterns of deviation in festival are drawn from the preceding research and case studies. The patterns of deviation in festival are identified as spatio-temporal deviation, active deviation, and situational deviation. Spatio-temporal deviation is divided into non-dailiness, space separation, and space appropriation. Active deviation is divided into make-over and expression. Situational deviation is divided into overturning and new meeting. This patterns of deviation applies to case study of ACC world music festival hel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ith a content analysis methodology. The research finding is that Spatio-temporal deviation is most evident in ACC world music festival, on the other hand active deviation and situational deviation are weak or no evident. It is expected that various deviant element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strategically in festival planning to help strengthen the festivity of modern urban festiv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도시음악축제에서 일탈성이 어떤 식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이론과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반복적인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일탈은 삶의 활력을 제공할 수 있는데, 그러한 일탈성을 강하게 체험할 수 있는 곳이 축제현장이다. 따라서 도시축제에서 나타나는 일탈성 양상 분석은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이를 위해 우선 일탈과 축제의 관계를 정리하고, 선행 연구 및 축제 사례를 바탕으로 축제에서 나타나는 일탈성의 양상들을 도출하였다. 축제의 일탈성 양상은 크게 시공간적 일탈, 행위적 일탈, 상황적 일탈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 양상들을 세분화해보면, 시공간적 일탈은 비일상성, 공간 분리, 공간 전유로 분류되었고, 행위적 일탈은 변신과 발산(표출)으로, 상황적 일탈은 역할 전도와 새로운 만남으로 각각 분류되었다. 이러한 분류 결과를 적용하여 광주광역시에서 열리고 있는 ACC월드뮤직페스티벌에 나타난 일탈성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사진, 기사 등을 이용한 내용 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ACC월드뮤직페스티벌에서는 시공간적 일탈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 반면, 행위적 일탈이나 상황적 일탈은 약하거나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양한 일탈성 요소를 전략적으로 축제기획에 활용하여 현대 도시축제의 축제성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도시음악축제에서 일탈성이 어떤 식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이론과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반복적인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일탈은 삶의 활력을 제공할 수 있는...

      본 연구는 도시음악축제에서 일탈성이 어떤 식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이론과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반복적인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일탈은 삶의 활력을 제공할 수 있는데, 그러한 일탈성을 강하게 체험할 수 있는 곳이 축제현장이다. 따라서 도시축제에서 나타나는 일탈성 양상 분석은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이를 위해 우선 일탈과 축제의 관계를 정리하고, 선행 연구 및 축제 사례를 바탕으로 축제에서 나타나는 일탈성의 양상들을 도출하였다. 축제의 일탈성 양상은 크게 시공간적 일탈, 행위적 일탈, 상황적 일탈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 양상들을 세분화해보면, 시공간적 일탈은 비일상성, 공간 분리, 공간 전유로 분류되었고, 행위적 일탈은 변신과 발산(표출)으로, 상황적 일탈은 역할 전도와 새로운 만남으로 각각 분류되었다. 이러한 분류 결과를 적용하여 광주광역시에서 열리고 있는 ACC월드뮤직페스티벌에 나타난 일탈성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사진, 기사 등을 이용한 내용 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ACC월드뮤직페스티벌에서는 시공간적 일탈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 반면, 행위적 일탈이나 상황적 일탈은 약하거나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양한 일탈성 요소를 전략적으로 축제기획에 활용하여 현대 도시축제의 축제성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현, "할로윈 데이의 코스튬 놀이" 현대사진영상학회 (10) : 119-137, 2007

      2 이정재, "한국축제의 길-일상과 일탈" 5 : 29-69, 2001

      3 강나현, "하이메 아욘 공간의 비일상적 특성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2 (12): 115-125, 2017

      4 김정철, "하비 콕스의 문화신학 연구"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06

      5 김문겸, "프랑스 음악축제의 현대적 의미"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 : 93-116, 2010

      6 이훈, "축제체험의 개념적 구성모형" 한국관광학회 30 (30): 29-46, 2006

      7 이정진, "축제이벤트 콘텐츠 개발 -<제주 정월대보름 들불축제>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9) : 371-408, 2007

      8 류정아, "축제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9 류정아, "축제의 원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10 배만규, "축제의 심리적 스트레스 해소 효과"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3 (23): 381-398, 2011

      1 김창현, "할로윈 데이의 코스튬 놀이" 현대사진영상학회 (10) : 119-137, 2007

      2 이정재, "한국축제의 길-일상과 일탈" 5 : 29-69, 2001

      3 강나현, "하이메 아욘 공간의 비일상적 특성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2 (12): 115-125, 2017

      4 김정철, "하비 콕스의 문화신학 연구"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06

      5 김문겸, "프랑스 음악축제의 현대적 의미"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 : 93-116, 2010

      6 이훈, "축제체험의 개념적 구성모형" 한국관광학회 30 (30): 29-46, 2006

      7 이정진, "축제이벤트 콘텐츠 개발 -<제주 정월대보름 들불축제>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9) : 371-408, 2007

      8 류정아, "축제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9 류정아, "축제의 원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10 배만규, "축제의 심리적 스트레스 해소 효과"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3 (23): 381-398, 2011

      11 김규원, "축제의 비일상성과 색채의 역할" 3-6, 2005

      12 진인혜, "축제와 혁명" 한국프랑스학회 47 : 503-518, 2004

      13 조성애, "축제와 원형적 세계관" 프랑스문화예술학회 (11) : 267-296, 2004

      14 장 뒤비뇨, "축제와 문명" 한길사 1973

      15 정명희, "축제방문객이 지각한 도시축제의 사회문화적 영향 : 하이서울 페스티발을 중심으로" (15) : 243-263, 2003

      16 하동원, "축제 공간의 복잡적응계적 현상과 진화- 음악축제 참여자의 블로그를 대상으로 -" 관광연구소 25 (25): 45-62, 2013

      17 최성호, "질적 내용 분석의 개념과 절차" 한국질적탐구학회 2 (2): 127-155, 2016

      18 이주경, "조건부가치측정법에 의한 전주세계소리축제의 경제적 가치추정 연구" 한국예술경영학회 (38) : 133-153, 2016

      19 오연주, "일탈의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8 (8): 157-166, 2008

      20 박진실, "일탈성 체험이 축제만족에 미치는 영향 : 보령머드축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21 임채흥, "유럽 음악축제들의 역사와 오늘" 6 : 1-23, 2013

      22 추연화,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일탈 행동의 의미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3 김미성, "연극 공간이론 변용을 통한 축제 공간 연구" 한국프랑스학회 66 : 285-304, 2009

      24 이효진, "스페인 토마토 축제와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축제" 49 (49): 48-53, 2014

      25 신정은, "비일상적 관점에서 스마트 오피스 디자인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2 (22): 369-384, 2016

      26 이진영, "비일상적 공간표현에 대한 영상이미지 연구-영화 ‘인셉션’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9 (19): 617-626, 2013

      27 김선지, "비일상을 통해 발현된 유토피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8 박미경, "북캘리포니아 음악축제의 현장연구보고" 세계음악학회 (11) : 35-70, 2004

      29 하비콕스, "바보제" 청림출판 1969

      30 곽재현, "미하일 바흐친의 카니발레스크 고찰 -2016 촛불집회 현상-" 한국관광학회 41 (41): 45-60, 2017

      31 김소희, "문화적 역량의 가동* - 코뮤니타스와 창조적 노마드 -" 한국문화교육학회 4 (4): 57-86, 2009

      32 김미성, "도시축제와 공동체문화 형성에 관한 연구" 대중서사학회 (20) : 311-343, 2008

      33 한덕택, "도시축제로서 노원탈축제의 발전 방향" 5 : 29-42, 2016

      34 황욱선, "도시축제 서비스품질이 방문객의 중요도·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원주 다이내믹페스티벌을 대상으로 -" 한국관광산업학회 41 (41): 217-237, 2016

      35 조민희, "도시소설에 나타난 일탈 양상 연구 : 7·80년대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6 이유나,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브랜드 자산구성요인과 관객 경험 수준에 따른관객 행위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예술경영학회 (48) : 47-78, 2018

      37 은은기, "글로칼리즘(지역의 세계화) 성공 사례 - 에딘버러 페스티벌 프린지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58) : 861-882, 2010

      38 송영민, "관광객 일탈행동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이해"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6 (26): 5-22, 2014

      39 이덕구, "공동체축제에서 관광상품으로의 변화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 일본 아오모리네부타축제와 히로사키요사코이츠가루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40 이강원, "공공 공간의 전유와 배제 논리: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탑골공원의 사례" 대한지리학회 48 (48): 944-966, 2013

      41 김태경, "강릉단오제의 도시공간적 의미-일상과 일탈에서의 공간인식-" 한국전통조경학회 20 (20): 69-80, 2002

      42 한윤애, "‘축제적 전유’를 통한 공공공간의 재구성 : 핀란드 ‘레스토랑 데이’를 사례로" 한국공간환경학회 25 (25): 63-94, 2015

      43 Turner, V-W., "Secular Ritual" Van Goreum 1977

      44 Leach, E., "Rethinking Anthropology" Athlone Press 1961

      45 Gibson, C., "Music festivals and regional development in Australia Surrey" Ashgate 2012

      46 Quinn, B., "Festival connections: people, place and social capital, Exploring the Social Impacts of Events" Routledge 15-30, 2013

      47 Uriely, N., "Drugs and risk-taking in tourism" 33 (33): 339-359, 2006

      48 Uriely, N., "Drugs and Tourists' Experiences" 43 (43): 238-246,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4-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KCI등재
      2021-04-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 Journal of Arts Management and Policy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7 1.28 1.487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