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상습범 등 포괄일죄의 재심사건과 일사부재리효가 미치는 범위 = The Scope of Double Jeopardy (the ne bis in idem effect) In Relation To Retrials of Repeated Crimes and Other Inclusive Crim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ssues have been brought up in regard to cases of inclusive crimes including habitual crimes, proceedings of which inadvertently give unfair advantages to criminals who ought to be subject to strong punishment in light of the likelihood of recidivism, despite the necessity with respect to the investigation of other crimes or the convenience of trial administration. For example, let's posit a case where there is a final judgement of conviction on some of the facts constituting the crime of habitual theft. In such a case, a belated discovery of the facts constituting a crime subject to stronger punishment, the occurrence of which precede the facts of the crime on which the final judgment had already been rendered, may unreasonably give rise to punishment vacuum due to the effect of double jeopardy of the already-finalized judgment of conviction.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is problem, previous theories and case laws have struggled to find a sustainable alterative through diverse theoretical approaches.
      These alternative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wo types. First, a substantive law approach takes on the view of identifying habitual crime as plural crime, as opposed to inclusive crime. Under such a view, recidivism is not viewed as an indicat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rimes, apart from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justifiable to understand the recidivist nature as the requirement for an increase of penalty. In addition, whether a crime has the nature of habitual, business, or occupational crime is insufficient to deem each of the individual acts as constituting inclusive crime. For a crime to be determined as inclusive crime, it must meet the requirements of inclusive crime, which include: (a) from a subjective standpoint, continuity and consistency of criminal intent; and (b) from an objective standpoint, temporal and spatial association among each behavior along with similarity of behavioral model and the sameness of the legal interests infringed. According to this view, crimes other than those meeting the above requirements are deemed to constitute plural crime, under which the effect of double jeopardy on the final judgment of conviction on each of the individual facts does not extend to other facts.
      On the other hand, a procedural law approach attempts to narrow the scope of the double jeopardy (ne bis in idem) effect, by means of establishing temporal limits on the double jeopardy effect, and arguing for the adoptability of the simultaneous prosecution and ruling theory. In general judicial practice, the procedural law approach is adopted to address problems regarding habitual crimes. However, this methodology is theoretically criticized on the ground that there remains room for arbitrary judgment on the double jeopardy effect with absence of any clear criterion. The substantial law approach is also criticized for its limitation on the interpretation of actual law, and for being firmly rooted in the exiting case law apart from legislative discussion.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amount of discussion as to the issues relating to inclusive crime, such as habitual crime. This article attempts to add a fresh perspective to the habitual theft case recently appealed to the Supreme Court of the Republic of Korea.
      번역하기

      Issues have been brought up in regard to cases of inclusive crimes including habitual crimes, proceedings of which inadvertently give unfair advantages to criminals who ought to be subject to strong punishment in light of the likelihood of recidivism,...

      Issues have been brought up in regard to cases of inclusive crimes including habitual crimes, proceedings of which inadvertently give unfair advantages to criminals who ought to be subject to strong punishment in light of the likelihood of recidivism, despite the necessity with respect to the investigation of other crimes or the convenience of trial administration. For example, let's posit a case where there is a final judgement of conviction on some of the facts constituting the crime of habitual theft. In such a case, a belated discovery of the facts constituting a crime subject to stronger punishment, the occurrence of which precede the facts of the crime on which the final judgment had already been rendered, may unreasonably give rise to punishment vacuum due to the effect of double jeopardy of the already-finalized judgment of conviction.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is problem, previous theories and case laws have struggled to find a sustainable alterative through diverse theoretical approaches.
      These alternative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wo types. First, a substantive law approach takes on the view of identifying habitual crime as plural crime, as opposed to inclusive crime. Under such a view, recidivism is not viewed as an indicat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rimes, apart from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justifiable to understand the recidivist nature as the requirement for an increase of penalty. In addition, whether a crime has the nature of habitual, business, or occupational crime is insufficient to deem each of the individual acts as constituting inclusive crime. For a crime to be determined as inclusive crime, it must meet the requirements of inclusive crime, which include: (a) from a subjective standpoint, continuity and consistency of criminal intent; and (b) from an objective standpoint, temporal and spatial association among each behavior along with similarity of behavioral model and the sameness of the legal interests infringed. According to this view, crimes other than those meeting the above requirements are deemed to constitute plural crime, under which the effect of double jeopardy on the final judgment of conviction on each of the individual facts does not extend to other facts.
      On the other hand, a procedural law approach attempts to narrow the scope of the double jeopardy (ne bis in idem) effect, by means of establishing temporal limits on the double jeopardy effect, and arguing for the adoptability of the simultaneous prosecution and ruling theory. In general judicial practice, the procedural law approach is adopted to address problems regarding habitual crimes. However, this methodology is theoretically criticized on the ground that there remains room for arbitrary judgment on the double jeopardy effect with absence of any clear criterion. The substantial law approach is also criticized for its limitation on the interpretation of actual law, and for being firmly rooted in the exiting case law apart from legislative discussion.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amount of discussion as to the issues relating to inclusive crime, such as habitual crime. This article attempts to add a fresh perspective to the habitual theft case recently appealed to the Supreme Court of the Republic of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종래 상습범 등 포괄일죄사례와 관련하여 여죄수사나 공판실무상의 편의성과 별개로 재범 위험성을 고려한다면 강력한 처벌이 필요한 범죄자가 오히려 부당한 특혜를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가령, 상습절도를 구성하는 일부에 대하여 유죄가 확정되었다면, 그 확정판결 선고 이전의 사실로 오히려 처벌의 필요성이 높은 중대한 사실이 뒤늦게 발견되더라도 이미 확정된 유죄판결의 일사부재리효력이 미치게 되어 형사처벌의 공백이 발생하는 예를 상기해볼 수 있다. 기존 학설과 판례 역시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고민을 해왔다.
      먼저 실체법적 접근으로 상습범 등을 포괄일죄가 아닌 수죄로 파악하려는 견해가 있다. 예를 들어, 상습성 등의 표지를 형의 가중요건으로 이해하는 것의 당부와 별개로 죄수판단 표지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상습성, 영업성, 직업성 등만으로 각각의 개별행위를 포괄일죄로 볼 수 없으며, 포괄일죄로 판단되기 위해서는 주관적으로는 범의의 연속성과 계속성, 객관적으로는 각 행위 간 시간적·장소적 연관성과 함께 행위태양의 유사성, 피해법익의 동일성 등 이른바 포괄일죄요소를 갖춘 경우만을 일죄로 파악할 수 있고, 이 외에는 수죄가 되어 각 개별사실에 대한 확정판결의 일사부재리효가 여타 사실에 미치지 않게 되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반면, 절차법적 접근으로 일사부재리효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견해도 있다. 일사부재리효의 시적 한계와 더불어 「동시소추·심판가능성설」 등이 그 예다. 대체로 현재의 판례실무는 이러한 절차법적 접근을 통해 상습범 등과 관련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있다.
      상습범 등 포괄일죄와 관련한 이러한 쟁점에 대하여 이미 상당한 논의가 축적되어 왔는데, 이 글에서는 재심개시로 확정이전 상태로 환원된 상습절도사건으로, 유사 사례에서 상반된 결론을 내린 항소심판결이 확정되거나 대법원이 상고기각한 예가 있는데, 근래 대법원에 상고된 사안을 놓고 새롭게 검토해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종래 상습범 등 포괄일죄사례와 관련하여 여죄수사나 공판실무상의 편의성과 별개로 재범 위험성을 고려한다면 강력한 처벌이 필요한 범죄자가 오히려 부당한 특혜를 받을 수 있는 문제점...

      종래 상습범 등 포괄일죄사례와 관련하여 여죄수사나 공판실무상의 편의성과 별개로 재범 위험성을 고려한다면 강력한 처벌이 필요한 범죄자가 오히려 부당한 특혜를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가령, 상습절도를 구성하는 일부에 대하여 유죄가 확정되었다면, 그 확정판결 선고 이전의 사실로 오히려 처벌의 필요성이 높은 중대한 사실이 뒤늦게 발견되더라도 이미 확정된 유죄판결의 일사부재리효력이 미치게 되어 형사처벌의 공백이 발생하는 예를 상기해볼 수 있다. 기존 학설과 판례 역시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고민을 해왔다.
      먼저 실체법적 접근으로 상습범 등을 포괄일죄가 아닌 수죄로 파악하려는 견해가 있다. 예를 들어, 상습성 등의 표지를 형의 가중요건으로 이해하는 것의 당부와 별개로 죄수판단 표지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상습성, 영업성, 직업성 등만으로 각각의 개별행위를 포괄일죄로 볼 수 없으며, 포괄일죄로 판단되기 위해서는 주관적으로는 범의의 연속성과 계속성, 객관적으로는 각 행위 간 시간적·장소적 연관성과 함께 행위태양의 유사성, 피해법익의 동일성 등 이른바 포괄일죄요소를 갖춘 경우만을 일죄로 파악할 수 있고, 이 외에는 수죄가 되어 각 개별사실에 대한 확정판결의 일사부재리효가 여타 사실에 미치지 않게 되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반면, 절차법적 접근으로 일사부재리효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견해도 있다. 일사부재리효의 시적 한계와 더불어 「동시소추·심판가능성설」 등이 그 예다. 대체로 현재의 판례실무는 이러한 절차법적 접근을 통해 상습범 등과 관련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있다.
      상습범 등 포괄일죄와 관련한 이러한 쟁점에 대하여 이미 상당한 논의가 축적되어 왔는데, 이 글에서는 재심개시로 확정이전 상태로 환원된 상습절도사건으로, 유사 사례에서 상반된 결론을 내린 항소심판결이 확정되거나 대법원이 상고기각한 예가 있는데, 근래 대법원에 상고된 사안을 놓고 새롭게 검토해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돈, "확정판결에 의한 포괄일죄의 분리 -대법원 2000. 2. 11. 선고 99도4797판결" 2 (2): 2000

      2 신동운, "형사소송법" 법문사 2005

      3 이재상, "형사소송법" 박영사 2015

      4 정웅석, "형사소송법" 대명출판사 2017

      5 박상기, "형법총론" 박영사 2012

      6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15

      7 임웅, "형법총론" 법문사 2005

      8 김정한, "포괄일죄의 일부에 대한 확정판결의 기판력과 죄수 문제" 한국형사소송법학회 8 (8): 169-198, 2016

      9 김성돈, "집합범의 죄수" 경북대학교 출판부 12 : 1996

      10 박광민, "상습범죄의 죄수와 기판력이 미치는 범위" (14) : 2006

      1 김성돈, "확정판결에 의한 포괄일죄의 분리 -대법원 2000. 2. 11. 선고 99도4797판결" 2 (2): 2000

      2 신동운, "형사소송법" 법문사 2005

      3 이재상, "형사소송법" 박영사 2015

      4 정웅석, "형사소송법" 대명출판사 2017

      5 박상기, "형법총론" 박영사 2012

      6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15

      7 임웅, "형법총론" 법문사 2005

      8 김정한, "포괄일죄의 일부에 대한 확정판결의 기판력과 죄수 문제" 한국형사소송법학회 8 (8): 169-198, 2016

      9 김성돈, "집합범의 죄수" 경북대학교 출판부 12 : 1996

      10 박광민, "상습범죄의 죄수와 기판력이 미치는 범위" (14) : 2006

      11 박채규, "상습범의 중간에 확정판결이 있을 때의 몇 가지 문제" 10 :

      12 김성돈, "상습범의 죄수 -상습범이 일죄가 아닌 이유" (545) : 2002

      13 최호진, "상습범의 상습성 판단자료와 죄수판단" 한국비교형사법학회 7 (7): 343-368, 2005

      14 손동권, "상습범 및 누범에 대한 형벌가중의 문제점" 형사판례연구회 4 : 1996

      15 신치재, "상습범 가중처벌의 타당성 및 죄수판단에 대한 고찰" 중앙법학회 10 (10): 97-114, 2008

      16 渡辺直行, "論点中心 刑事訴訟法講義" 成文堂 2003

      17 松原芳博, "罪數論·犯罪競合論" (681) : 2011

      18 倪潤, "罪数論と一事不再理効の関係の再構成(3·完): 「かすがい」, 集合犯を中心として" 北海道大學 66 (66): 2015

      19 江碕太郎, "控訴審を中心とする刑事訴訟の実務 その六, 二重起訴と控訴審の審判-包括一罪の公訴の効力又は既判力の及ぶ範囲に関連して" (75) : 1957

      20 栗原宏武, "常習犯の罪數と公訴の效力および旣判力の及ぶ範圍(下)" (651) : 1988

      21 木谷明, "常習一罪等に関する旣判力(一事不再理效)の時間的限界及び二重起訴の成否について" (627) : 1987

      22 靑柳文雄, "刑事訴訟法通論(下)" 立花書房 1976

      23 池田修, "刑事訴訟法講義" 東京大學 出版会 2012

      24 田口守一, "刑事訴訟法" 弘文堂 2017

      25 安富潔, "刑事訴訟法" 慶應義塾 大學出版会 2017

      26 宮裕, "刑事訴訟法" 有斐閣 1996

      27 田口守一, "刑事裁判の拘束力" 成文堂 1980

      28 渥美東洋, "全訂刑事訴訟法" 有斐閣 2009

      29 髙倉新喜, "一事不再理の効力の客観的範囲― 最判平成15年10月7日を契機として" 38 (38): 2008

      30 Rolf D. Herzberg, "Ne bis in idem-Zur Sperrwirkung des rechtskräftigen Strafurteils" 13 : 1972

      31 Hermann Müller, "KMR: Kommentar zur Strafprozeßordnung und zum Gerichtsverfassungs und Ordnungswidrigkeitengesetz, Band 1" Darmstadt 1966

      32 Lothar Buchholz, "Die Selbständigkeit der Einzelakte beim fortgesetzten und Kollektivdelikt" Schletter'schen Buchhandlung 1940

      33 Christian Bertel, "Die Identität der Tat: Der Umfang von Prozeßgegenstand und Sperrwirkung im Strafverfahren (Forschungen Aus Staat Und Recht, Band 11)" Springer Vienna 19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6 0.89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