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음악에 있어서 시김새는 음악적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특히 민속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그 중 성악곡인 판소리에서는 음악의 변화, 음색, 성음에 따라 나타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음악에 있어서 시김새는 음악적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특히 민속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그 중 성악곡인 판소리에서는 음악의 변화, 음색, 성음에 따라 나타나...
전통음악에 있어서 시김새는 음악적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특히 민속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그 중 성악곡인 판소리에서는 음악의 변화, 음색, 성음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시김새들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그러나 판소리의 영향을 받은 산조의 시김새는 여성스럽다든지 강단있다든지 등의 모호한말로 밖에 설명이 되지 않았다. 특히 많은 유파를 가지고 있는 가야금산조는 비슷한듯 하면서도 다른 각각의특징을 명료하게 설명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처럼 가시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아서 정확히 지칭하기 힘들었던 가야금산조의 시김새들을 판소리의 시김새에 기준을 두고 분석해 보면 각각의 가야금산조가 갖고 있는 음악적인 특색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다.
앞서 가야금산조의 진양과 중모리의 시김새를 분석한 바 있으며 본 연구는 그 후속 연구로서 중중모리의시김새를 분석하였다. 가야금산조의 유파들 중 7개 유파를 선정하여 자타가 공인한 연주자들의 음원을 채택했으며 각 산조의 중중모리 첫 여덟 장단을 분석범위로 하여 채보했다. 중중모리 분석 결과 나타난 각 산조의주요 시김새를 판소리 시김새에 대입해 정리했더니 성금련류 가야금산조는 ‘엮는 목(사뿐사뿐 아주 멋있게 엮어내는 소리)’, 강태홍류 가야금산조는 ‘너는 목(쭉쭉 뻗어내어 널어 놓는 소리)’, 김병호류 가야금산조는 ‘조으는 목(소리를 맺아 떼려고 바싹 조아 드리는 소리)’, 최옥삼류 가야금산조는 ‘끊는 목(예민하고 날카롭게 맺어끊는 소리)’에 비할 수 있었다. 서공철류 가야금산조와 김죽파류 가야금산조는 여러 가지 시김새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었으며 김윤덕류 가야금산조는 특정할만한 시김새가 없었다. 진양과 중모리를 분석 후 7개 유파를경쾌하고 서정적인 것부터 점점 씩씩하고 단단해지는 순서대로 펼쳐 놓았을 때 성금련류(엮는 목)-서공철류(줍는 목)-김윤덕류(찍는 목)-김죽파류(짜는 목)-강태홍류(너는 목)-김병호류(조으는 목)-최옥삼류(끊는 목) 가야금산조 순으로 나열되었던 것과 비교하면 일부 다른 결과이다. 즉 ‘아주 경쾌한 쪽에 속하던’ 성금련류 가야금산조와 ‘강한 특징의 시김새’를 가진 강태홍류, 김병호류, 최옥삼류 가야금산조는 진양이나 중모리에 이어 같은 시김새를 유지하고 있었고 비교적 서정적인 시김새로 분류되던 서공철류와 김죽파류 가야금산조는 장단의빠르기가 빨라지면서 여러가지 시김새들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김윤덕류 가야금산조의 중중모리는 7개 유파 중 상대적으로 음악적 꾸밈이 적은 평조로 시작하는 유일한 산조였기에 시김새가 잘드러나지 않았을 것이라 추론할 수 있다.
가야금산조의 중중모리 시김새를 분석해 보니 장단의 빠르기가 빨라짐에 따라 느린 장단에서 중심이 되던시김새가 조금 바뀌긴 했지만 진양-중모리-중중모리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시김새를 유지하고 있는 가야금산조가 더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각 유파가 시김새로써 분명히 고유한 색깔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것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 이어 자진모리의 시김새 분석을 하고나면 필자의 가야금산조 시김새 연구가 일단락 될 것이다.
이 연구결과물이 가야금산조마다의 고유한 특징을 알리고자 할 때 쉽게 설명하고 또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sigimsae” is an important component that determines music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it stands out in folk music, and among them, Pansori, a vocal music, systematically organizes various sigimase that appear ac...
In Korean traditional music, “sigimsae” is an important component that determines music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it stands out in folk music, and among them, Pansori, a vocal music, systematically organizes various sigimase that appear according to music changes, tones, and vocal sounds. However, Sanjo's sigimsae, influenced by Pansori, was only explained ambiguously. In partic ular, the Gayageum Sanjo, which is taught by many schools, is difficult to clearly explain each char acteristics that seemed similar but different. By analyzing these Gayageum Sanjo sigimsae based on the sigimsae of pansori, it becomes easier to explain and underst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Gayageum Sanjo.
Previously, the shigimsae of Jinyang and Jungmori were analyzed, and this study analyzed the shi gimsae of Jungjungmori as a follow-up study. Seven schools that teach Gayageum Sanjo were selected and the sound sources of talented performers were adopted, and the eight rhythms of Jungjungmori of each Sanjo were recorded as the analysis range. The main sigimsae of each sanjo, which appear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Jungjungmori, were substituted into pansori sigimsae. Sung Keum-ryun School had the sound that weaves nicely. It's said to be a “weaving sound”. Kang Tae-hong School made the sound of stretching and hanging out. This is called “hanging sound”. Kim Byung-ho School was comparable to the sound of tightening. This is called a “tightening sound”. Choi Ok-sam School could be compared to the sound of cutting off by being sensitive and sharp. It's called “cutting sound”. Suh Kong-chul School and Kim Juk-pa School were showing various sigimsae of time. Kim Yoon-deok School had no characteristics. After analyzing Jinyang and Jungmori, when the seven schools were spread out in order from cheerful and lyrical to becoming stronger and stronger, some of the results were different from the order listed in the order of Sung Keum-ryun School(weaving sound)ㅡSuh Kong-chul School(the sound of picking up) ㅡKim Yoon-deok School(poking sound)ㅡ Kim Juk-pa School(the sound of squeezing)ㅡKang tae-hong School(hanging sound)ㅡKim Byung-ho School(tightening sound)ㅡChoi Ok-sam School(cutting sound). The Sung Keum-ryun School, which belonged to the very cheerful side, and the Kang tae-hong, Kim Byeong-ho, and Choi Ok-sam School, which had strong characteristics maintained the same sigimsae after Jinyang and Jungmori.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Suh Kong-chul and Kim Juk-pa School, which were classified as lyr ical sigimsae, showed various sigimsae as the rhythm increased. In addition, it can be inferred that the shigimsae of the Kim Yun-deok School was the only Gayageum Sanjo that started with relatively little musical decorations among the seven schools. Analyzing the Jungjungmori Sigimsae of Gayageum sanjo, the Sigimsae, which was the center of the slow rhythm, changed slightly as the rhythm became faster.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ore Gayageum Sanjo that maintained the same shigimsae from Jinyang, Jungmori, and Jungjungmori. This also confirms that each school clearly has its own color.
Following this study, after Jajinmori's sigimsae analysis, my Gayageum Sanjo sigimsae study will be complet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lay a role in making it easy to explain and understand when trying to inform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various Gayageum Sanjo.
상호교차성 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드라마 <파친코> : 교차적 억압이 캐릭터 형성에 미치는 영향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 <괴물>의 서사전략 연구 : 정보 제어 관점으로
국내 창작 뮤지컬의 ESG 가치 실현 사례 연구- 뮤지컬 <북극곰 로라>의 사례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