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 군집에 따른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몰입 차이 분석 = Dif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flow according to clusters of digital liter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267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natural groupings of digital literacy, and to verify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flow according to the types of digital literacy clusters.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92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Cluster analysis using the sub-scales of digital literacy was conducted. Then, the differences in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flow among the digital literacy clusters were analyzed using MANOVA.
      Results As for the clusters according to digital literacy, four clusters were found: ‘high digital literacy group’, ‘mid-high digital literacy group’, ‘mid-low digital literacy group’, and ‘low digital literacy group.’ As a result of MANOVA, ‘high digital literac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flow than other groups, and ‘low digital literacy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ppropriate programs and/or guidelines to enhance their digital literacy.
      번역하기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natural groupings of digital literacy, and to verify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flow according to the types of digital literacy clusters. Methods For this pur...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natural groupings of digital literacy, and to verify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flow according to the types of digital literacy clusters.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92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Cluster analysis using the sub-scales of digital literacy was conducted. Then, the differences in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flow among the digital literacy clusters were analyzed using MANOVA.
      Results As for the clusters according to digital literacy, four clusters were found: ‘high digital literacy group’, ‘mid-high digital literacy group’, ‘mid-low digital literacy group’, and ‘low digital literacy group.’ As a result of MANOVA, ‘high digital literac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flow than other groups, and ‘low digital literacy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ppropriate programs and/or guidelines to enhance their digital litera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적용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 따른 군집을 도출하였고, 각 군집에 따라 인지적실재감과 학습몰입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수도권에 소재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4-6학년 492명이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디지털 리터러시에 따른 군집 양상을 확인하고, 군집별로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몰입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확인하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 따른 군집은 4개 군집(디지털 리터러시 상위, 디지털 리터러시 중상위, 디지털 리터러시중하위, 디지털 리터러시 열위)으로 분류되었다.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군집별로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몰입에 유의한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각 군집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상위 집단의 인지적실재감이 가장 높고, 학습몰입 역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 집단의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몰입이 가장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개발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적용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 따른 군집을 도출하였고, 각 군집에 따라 인지적실재감과 학습몰입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적용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 따른 군집을 도출하였고, 각 군집에 따라 인지적실재감과 학습몰입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수도권에 소재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4-6학년 492명이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디지털 리터러시에 따른 군집 양상을 확인하고, 군집별로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몰입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확인하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 따른 군집은 4개 군집(디지털 리터러시 상위, 디지털 리터러시 중상위, 디지털 리터러시중하위, 디지털 리터러시 열위)으로 분류되었다.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군집별로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몰입에 유의한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각 군집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상위 집단의 인지적실재감이 가장 높고, 학습몰입 역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 집단의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몰입이 가장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개발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을 시사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