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변인에 따른 메타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66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독서치료 프로그램 변인들의 독서치료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 10년(2012-2021년)간 발표된 문헌들을 검색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에 부합하...

      이 연구는 독서치료 프로그램 변인들의 독서치료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 10년(2012-2021년)간 발표된 문헌들을 검색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86편의 문헌에서 156개의 연구를 선정하여 메타분석 한 결과 전체 독서치료의 효과크기(ES=1.193)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치료 하위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살펴보면 생애주기에 따른 효과는 성인(ES=2.059), 주제는 불안과 우울(ES=3.441), 회기수는 11-12회 (ES=1.473), 회기당 시간은 90분 이상(ES=1.545), 총 운영시간은 601분~800분(ES=1.655), 매체는 도서와 영상 등을 복합적으로 사용한 경우(ES=1.334), 프로그램 추가 활동 여부의 경우 적극적인 추가 활동이 포함된 경우(ES=1.582)가 각각 가장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많은 하위 변인들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운영 특성 외에 사용하는 매체의 선택 및 적극적인 추가활동이 독서치료의 효과를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매체에 대한 분석과 다양한 추가 활동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맞춤형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개발로 연결되어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bibliotherapy variables on bibliotherapy treatment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published over the last decade (2012-2021). Among the 86 studies that met the purpose of this study, 156 were included for review. ...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bibliotherapy variables on bibliotherapy treatment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published over the last decade (2012-2021). Among the 86 studies that met the purpose of this study, 156 were included for review. A meta-analysis of the selected literature revealed a considerable overall effect size of bibliotherapy (ES=1.193). An analysis of the bibliotherapy sub-variable effect size demonstrate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size when: the participant"s life cycle stage was an adult (ES=2.059); the topics of anxiety and depression were discussed (ES=3.441); there were 11-12 sessions (ES=1.473); the sessions were over 90 minutes long (ES=1.545); the total session duration was 601-800 minutes (ES=1.655); the sessions involved a combination of books and video materials (ES=1.334); there was active inclusion of additional activities in the program (ES=1.582). Overall, many sub-variables impact the effect of bibliotherapy programs. Besides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the material selection used and the active inclusion of additional activities can improve effectiveness. Future studies may include an analysis of different media materials and the effectiveness of additional activities. Thi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ized bibliotherapy progra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4.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