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고부갈등이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기혼여성이 지각한 시어머니로부터의 남편의 심리적 독립이 이들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854709
춘천 : 강원대학교, 2015
학위논문(석사) --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학교상담전공 , 2015
2015
한국어
372.61 판사항(6)
371.4 판사항(23)
강원특별자치도
vi, 88장 ; 26 cm
지도교수: 안범희
권말부록: 삶의 만족도에 대한 인구 통계학적 특성 분석표 및 중다회귀분석표 ; 설문지
참고문헌: 장 57-6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고부갈등이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기혼여성이 지각한 시어머니로부터의 남편의 심리적 독립이 이들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알...
본 연구에서는 고부갈등이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기혼여성이 지각한 시어머니로부터의 남편의 심리적 독립이 이들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기혼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고부갈등은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기혼여성이 지각한 시어머니로부터의 남편의 심리적 독립은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4. 고부관계의 갈등이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시어머니로부터 의 남편의 심리적 독립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가?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강원도 내에 거주하는 기혼여성 196명이며,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고부갈등이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기혼여성이 지각한 시어머니로부터의 남편의 심리적 독립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부호화 작업 후에 SPSS 21 for Windows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고부갈등과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 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고부갈등이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시어머니로부터의 남편의 심리적 독립이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남편의 심리적 독립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고부갈등과 심리적 독립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의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가구 월수입, 남편직업, 종교는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부갈등과 남편의 심리적 독립, 고부갈등과 삶의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부적 상관관계를, 심리적 독립과 삶의 만족도는 전적으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고부갈등과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고부갈등의 하위영역 중 정서적 갈등과 손자녀로 인한 갈등이 삶의 만족도에 부분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남편의 심리적 독립과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 계에서 심리적 독립의 하위영역 중 정서적 독립과 갈등적 독립이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고부갈등과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시어머니로부터의 남편의 심리적 독립의 조절효과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심리적 독립의 하위영역 중 태도적 독립은 주거환경에 정적 영향을 주어 고부갈등이 낮아질수록 주거환경 만족도가 높아지는 관계에서 만족도가 태도적 독립에 의해 더 높아지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심리적 독립의 하위영역 중 기능적 독립은 가족 및 친척관계 만족도, 행복감, 삶의 만족도 전체에 정적 영향을 주어 고부갈등이 낮아질수록 가족 및 친척관계 만족도, 행복감, 삶의 만족도 전체가 높아지는 관계에서 만족도가 기능적 독립에 의해 더 높아지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심리적 독립의 하위영역 중 정서적 독립은 가족 및 친척관계에 부적 영향을 주어 고부갈등이 낮아질수록 가족 및 친척관계 만족도가 높아지는 관계에서 만족도가 정서적 독립에 의해 낮아지는 조절효과를 보여준다. 심리적 독립의 하위영역 중 갈등적 독립은 직업 및 경제정도, 사회생활과 여가, 행복감, 자아감, 삶의 만족도 전체에 부적 영향을 주어, 고부갈등이 낮아질수록 직업 및 경제정도 만족도, 사회생활과 여가 만족도, 행복감, 자아감, 삶의 만족도 전체가 높아지는 관계에서 만족도가 갈등적 독립에 의해 낮아지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고부갈등과 삶의 만족도라는 부적관계에 정적인 조절효과를 나타내어 고부갈등이 높더라도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서적 독립, 갈등적 독립보다 기능적 독립, 태도적 독립을 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상담 장면에서 이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기혼남성이나 미혼남성 모두를 대상으로 한 결혼, 가족과 관련된 교육프로그램과 상담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도 기능적, 태도적 독립 수준을 높이는데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부갈등과 시어머니로부터의 남편의 심리적 독립이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고부갈등과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남편의 심리적 독립 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밝힘으로써 고부관계에 있어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influences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of married women by conflicts with their mothers-in-law, and the research problems have been set to figure out how psychological independence of their husbands from the moth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influences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of married women by conflicts with their mothers-in-law, and the research problems have been set to figure out how psychological independence of their husbands from the mothers moderates the married women's relationships as follows:
1. How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arried women affect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2. How married women's conflicts with their mothers-in-law influence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3. How the psychological independence(which married women realize) of their husbands from the mothers affects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4. While married women's conflicts with their mothers-in-law are influencing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their husbands'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the mothers shows moderate effec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married women who live in the Metropolis of Seoul, the Gyunggi, and Gangwon provinces. The data was collected with self-checking. One-way ANOVA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married women's conflicts with their mothers-in-law and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of each variable. Als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Household monthly income, husband's occupations, and religions among demographic variables of married women affect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2. The married women's conflicts with the mothers-in-law and the psychological independence of the husbands, the conflicts with the mothers-in-law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were generally negative correlative, and the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the satisfaction is completely positive correlative.
3.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licts with mothers-in-law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the married women, the emotional conflicts and conflicts caused from grandchildren In the sub-factors of the conflicts with mothers-in-law partially negatively influenced the satisfaction with life.
4.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sband's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the married women, emotional independence and conflictual independence in the sub-factors of the psychological independence partially positively influenced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5. Moderate effects showed partially with respect to the husband's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the moth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licts with mothers-in-law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of the married women. Functional and behavioral independence in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showed moderate effect which satisfaction was more increased by the functional and behavioral independence in the relationship that the lower the conflicts with mothers-in-law, the more the satisfaction with life was increased. Emotional and conflictual independence in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showed moderate effect which satisfaction was more decreased by the emotional and conflictual independence in the relationship that the lower the conflicts with mothers-in-law, the more the satisfaction with life was entirely increased. During counseling, this point is needed to be considered, and the increase of the level of functional and behavioral independences are needed to be emphasized when developing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about marriage and family for married and unmarried me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