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백용성의 만주 대각교 농장과 함양 화과원- 독립운동 자금지원과 독립운동 근거지에 대하여 - = Baek Youngsong's Manchuria Degakukyo Farm and Hwagwaw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ong Sung opened the Daegakyo chapel and the Daegakyo farm in Manchuria, which was the main stag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Korea in the 1920s.
      The novel “Wongakchon” of An soo-gil is based on the Daegakyo farm of Manchuria. Through this, Yong Sung purchased the vast forests and land of 1.2 million pyeong in Yongsan-dong, 12km north of Yuncheullaz (瓮声砬子). He dreamed of constructing an ideal village for Korean farmers with 100 households.
      The Daegakyo farm offered unprecedented conditions to the Korean farmers for five years, such as exemption from the rent and support for housing construction. To provide economic and mental stability to Manchurian Korean peasants and to create an independence movement base. In the summer, farming and livestock, and in winter, charcoal was made and sold to support economic independence and independence movement funds.
      Domestic application and extension of Manchurian Daegakyo farm management can be said to be the operation of the Hwagwawon. Here, he managed an orchard and ran a temple. It was a self-sufficient farm, monastic spot for monks, and a school for poor children in the region. It was considered as a resting area for himself to spend the remainder of his life. At the same time, he established new farming area through a producers’ cooperative and a consumers’ cooperative, and he made a chapel and placed evangelists to support Korean peasants’ religious life. This was a place of movement for enlightenment of farmers based on the religion and dreamed of an ideal village.
      At the Daegakyo farm in Manchuria and Hwagwawon of Hamyang, fund support of independence movement in Korea for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might have been delivered through various routes. However, it is the actual state that we have to rely on the testimony due to the lack of data that can’t prove this, and it is also a difficult job. Kimkoo Party’s visit of Daegaksa Temple on December 12th, 1945, which was 20 days after returning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represents a great deal.
      번역하기

      Yong Sung opened the Daegakyo chapel and the Daegakyo farm in Manchuria, which was the main stag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Korea in the 1920s. The novel “Wongakchon” of An soo-gil is based on the Daegakyo farm of Manchuria. Through this, Y...

      Yong Sung opened the Daegakyo chapel and the Daegakyo farm in Manchuria, which was the main stag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Korea in the 1920s.
      The novel “Wongakchon” of An soo-gil is based on the Daegakyo farm of Manchuria. Through this, Yong Sung purchased the vast forests and land of 1.2 million pyeong in Yongsan-dong, 12km north of Yuncheullaz (瓮声砬子). He dreamed of constructing an ideal village for Korean farmers with 100 households.
      The Daegakyo farm offered unprecedented conditions to the Korean farmers for five years, such as exemption from the rent and support for housing construction. To provide economic and mental stability to Manchurian Korean peasants and to create an independence movement base. In the summer, farming and livestock, and in winter, charcoal was made and sold to support economic independence and independence movement funds.
      Domestic application and extension of Manchurian Daegakyo farm management can be said to be the operation of the Hwagwawon. Here, he managed an orchard and ran a temple. It was a self-sufficient farm, monastic spot for monks, and a school for poor children in the region. It was considered as a resting area for himself to spend the remainder of his life. At the same time, he established new farming area through a producers’ cooperative and a consumers’ cooperative, and he made a chapel and placed evangelists to support Korean peasants’ religious life. This was a place of movement for enlightenment of farmers based on the religion and dreamed of an ideal village.
      At the Daegakyo farm in Manchuria and Hwagwawon of Hamyang, fund support of independence movement in Korea for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might have been delivered through various routes. However, it is the actual state that we have to rely on the testimony due to the lack of data that can’t prove this, and it is also a difficult job. Kimkoo Party’s visit of Daegaksa Temple on December 12th, 1945, which was 20 days after returning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represents a great de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용성은 1920년대 한국독립운동의 주요 활동무대였던 만주에 대각교당(大覺敎堂)과 대각교 농장을 개설하였다. 안수길의 소설 「원각촌」은 만주의 대각교 농장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용성은 운츨라즈(瓮声砬子)에서 12km 북쪽 용산동에 120만평의 광대한 산림과 토지를 구입하여 대각교 농장을 경영하였음 알 수 있다. 100호에 이르는 한국인 농민들의 이상촌 건설을 꿈꾸었다. 대각교 농장은 가난한 조선인 농민들에게 토지를 개간한 5년 동안 소작료 면제, 주택 건축비 50원 지원 및 목재 제공, 세 집에 소 한 마리씩을 제공하는 파격적 조건이었다. 소작료도 저렴하게 하여 3.7제(농장 3, 소작인 7)로 만주의 한국인 농민들에게 경제적, 정신적 안정을 제공하고, 독립운동 거점을 만들려는 것이었다. 여름에는 농사와 목축, 겨울에는 숯을 만들어 팔아 경제적 자립과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만주 대각교 농장 경영의 국내적 응용과 연장이 함양 화과원의 운영이라 할 수 있다. 이곳에서 과수원을 경영하고 선원(禪院)을 운영하였다. 자급자족적 농장이요 승려들의 수도처이자 지역의 가난한 아이들을 위한 교육장이었다. 용성 자신의 휴식처이자 여생을 보낼 안식처로 인식하고 있었다. 동시에 생산조합과 소비조합을 통한 새로운 농촌을 건설하고 교당을 만들어 순회 포교사를 배치하여 소작인들의 신앙생활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이는 종교를 기반한 농촌계몽 운동의 공간이자 이상촌을 꿈꾸었다고 할 수 있다.
      만주의 대각교 농장과 함양의 화과원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독립운동 자금 지원은 다양한 루트를 통해 전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자료의 부족으로 증언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지만 이 또한 어려운 작업이다. 다만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환국 이후 20일 만인 1945년 12월 12일 김구 일행의 대각사 방문이 상징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용성은 1920년대 한국독립운동의 주요 활동무대였던 만주에 대각교당(大覺敎堂)과 대각교 농장을 개설하였다. 안수길의 소설 「원각촌」은 만주의 대각교 농장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를 ...

      용성은 1920년대 한국독립운동의 주요 활동무대였던 만주에 대각교당(大覺敎堂)과 대각교 농장을 개설하였다. 안수길의 소설 「원각촌」은 만주의 대각교 농장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용성은 운츨라즈(瓮声砬子)에서 12km 북쪽 용산동에 120만평의 광대한 산림과 토지를 구입하여 대각교 농장을 경영하였음 알 수 있다. 100호에 이르는 한국인 농민들의 이상촌 건설을 꿈꾸었다. 대각교 농장은 가난한 조선인 농민들에게 토지를 개간한 5년 동안 소작료 면제, 주택 건축비 50원 지원 및 목재 제공, 세 집에 소 한 마리씩을 제공하는 파격적 조건이었다. 소작료도 저렴하게 하여 3.7제(농장 3, 소작인 7)로 만주의 한국인 농민들에게 경제적, 정신적 안정을 제공하고, 독립운동 거점을 만들려는 것이었다. 여름에는 농사와 목축, 겨울에는 숯을 만들어 팔아 경제적 자립과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만주 대각교 농장 경영의 국내적 응용과 연장이 함양 화과원의 운영이라 할 수 있다. 이곳에서 과수원을 경영하고 선원(禪院)을 운영하였다. 자급자족적 농장이요 승려들의 수도처이자 지역의 가난한 아이들을 위한 교육장이었다. 용성 자신의 휴식처이자 여생을 보낼 안식처로 인식하고 있었다. 동시에 생산조합과 소비조합을 통한 새로운 농촌을 건설하고 교당을 만들어 순회 포교사를 배치하여 소작인들의 신앙생활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이는 종교를 기반한 농촌계몽 운동의 공간이자 이상촌을 꿈꾸었다고 할 수 있다.
      만주의 대각교 농장과 함양의 화과원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독립운동 자금 지원은 다양한 루트를 통해 전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자료의 부족으로 증언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지만 이 또한 어려운 작업이다. 다만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환국 이후 20일 만인 1945년 12월 12일 김구 일행의 대각사 방문이 상징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함양신문"

      2 김병익, "한국문단사 1908~1970" 문학과지성사 2003

      3 김광식, "춘성-무애도인 삶의 이야기" 새싹 2009

      4 동광 선사문집 간행위원회, "청산은 움직이지 않고 물은 멀리 흐르네 –동광혜두 선사의 수도전법기" 정우서적 2013

      5 "중외일보"

      6 박희승, "조계종의 산파, 지암 이종욱" 조계종출판사 2011

      7 방룡남, "재중 조선인 이주민소설 연구 -안수길론" 한국문화사 2011

      8 "자유신문"

      9 한동민, "일제강점기 통도사 주지 김구하와 독립운동 자금 지원" 대각사상연구원 (15) : 9-63, 2011

      10 한동민, "일제강점기 신상완(申尙玩)의 독립운동" 대각사상연구원 (13) : 139-185, 2010

      1 "함양신문"

      2 김병익, "한국문단사 1908~1970" 문학과지성사 2003

      3 김광식, "춘성-무애도인 삶의 이야기" 새싹 2009

      4 동광 선사문집 간행위원회, "청산은 움직이지 않고 물은 멀리 흐르네 –동광혜두 선사의 수도전법기" 정우서적 2013

      5 "중외일보"

      6 박희승, "조계종의 산파, 지암 이종욱" 조계종출판사 2011

      7 방룡남, "재중 조선인 이주민소설 연구 -안수길론" 한국문화사 2011

      8 "자유신문"

      9 한동민, "일제강점기 통도사 주지 김구하와 독립운동 자금 지원" 대각사상연구원 (15) : 9-63, 2011

      10 한동민, "일제강점기 신상완(申尙玩)의 독립운동" 대각사상연구원 (13) : 139-185, 2010

      11 송우혜, "윤동주 평전" 푸른역사 2004

      12 한상길, "유물로 보는 봉암 월주의 생애" 대각사상연구원 (26) : 183-233, 2016

      13 한보광, "용성스님의 후반기 생애(2)" 4 : 2001

      14 김광식, "용성" 민족사 1999

      15 김석주, "연변지역 불교의 발전과 대각교회 연구" 대각사상연구원 (16) : 107-148, 2011

      16 장춘매, "안수길 소설에 나타난 재만조선인의 현실 -<원각촌>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55) : 133-153, 2017

      17 연변대학교 조선문학연구소, "안수길" 보고사 2006

      18 김달진, "씬냉이꽃(외)" 범우 2007

      19 "불교신문"

      20 안수길, "북간도에 부는 바람" 영언문화사 1987

      21 김광식, "백학명의 불교개혁과 선농불교" 25 : 2005

      22 김광식, "백용성스님의 선농불교," 2 : 1999

      23 한태식, "백용성스님과 연변 대각교당에 관한 연구" 대각사상연구원 (16) : 59-106, 2011

      24 김구, "백범일지" 돌베개 2001

      25 "문화일보"

      26 이성수, "동암 선사의 생애와 사상" 대각사상연구원 (22) : 9-42, 2014

      27 "동아일보"

      28 장준하, "돌베개" 돌베개 2015

      29 김호성, "근대 한국의 禪農佛敎에 대한 재조명 - 鶴鳴과 龍城을 중심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55) : 383-410, 2010

      30 "경남여성신문"

      31 "경남신문"

      32 김효순, "간도특설대" 서해문집 2014

      33 "間島新報"

      34 김광식, "華果院과 백용성, 수법제자의 재인식 - 이선파와 변봉암을 중심으로 -" 대각사상연구원 (26) : 111-144, 2016

      35 이수창, "白龍城의 禪農佛敎에 대한 再照明 - 교단사적 측면을 중심으로 -" 대각사상연구원 (23) : 65-94, 2015

      36 김순석, "白鶴鳴의 禪農一致와 근대 불교개혁론" 한국선학회 (23) : 75-108, 2009

      37 "民主衆報"

      38 "每日申報"

      39 김광식, "東侊의 생애에 대한 一考" 대각사상연구원 (22) : 91-120, 2014

      40 村山智順, "朝鮮의 類似宗敎" 1935

      41 "佛敎"

      42 장미경, "『國民文學』에 실린 間道開拓 소설 고찰 - 「土龍」과 「圓覺村」에 표상된 人物을 중심으로- 일본연구 제41호 2009년 09월 30일 291-311쪽" 일본연구소 (41) : 291-311,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8 1.03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