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가활동을 통한 작업치료가 노인 환자의 여가 만족도,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 재활 동기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y, Based on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on Leisure Satisfa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Elderly Patients: Implications for occupational therap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73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isure-based occupational therapy on leisure satisfa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In the study, Subjects were assigned to either the control or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0 and the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 a Leisure-ba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 a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Leisure satisfa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were measured to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K-IADL), and Patient Questionnaire of Rehabilitation Motivation(PAREMO). Evaluation score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were differences over time. And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eisure-based occupational therap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p<.01). 2) The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p<.01). 3)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DL and IADL(p<.01). 4)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p<.01). Implications for occupational therapy include that we must offer appropriate approach with considering the interests and value of patients to them. And proposing studies to demonstrate the efficacy of occupational therapy approach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isure-based occupational therapy on leisure satisfa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In the study, Subjects were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isure-based occupational therapy on leisure satisfa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In the study, Subjects were assigned to either the control or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0 and the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 a Leisure-ba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 a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Leisure satisfa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were measured to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K-IADL), and Patient Questionnaire of Rehabilitation Motivation(PAREMO). Evaluation score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were differences over time. And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eisure-based occupational therap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p<.01). 2) The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p<.01). 3)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DL and IADL(p<.01). 4)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p<.01). Implications for occupational therapy include that we must offer appropriate approach with considering the interests and value of patients to them. And proposing studies to demonstrate the efficacy of occupational therapy approach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가를 통한 작업치료가 노인 환자의 여가 만족도,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 재활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은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인간작업모델(MOHO) 이론 및 Dattilo(2015)의 여가 교육 프로그램 4th Ed. 을 참고하여 구성한 여가를 활용한 작업치료를,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작업치료를 실시하였다.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과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 평가(K-ADL․K-IADL), 재활 동기 설문지(PAREMO)를 사용하여 여가 만족도,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 재활 동기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중재 전, 후 비교와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가를 통한 작업치료는 여가 만족도, 재활 동기에 유의한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둘째,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에서는 전통적 작업치료 중재 집단이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1). 셋째,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마지막으로, 재활 동기-여가 만족도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따라서 여가를 활용한 작업치료 중재는 노인 환자의 여가 만족도, 재활 동기에, 전통적 작업치료 중재는 노인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속연구를 진행하여 효과의 일반화 및 지속성, 과정 분석의 객관성을 검증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구조화된 작업치료 중재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여가를 통한 작업치료가 노인 환자의 여가 만족도,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 재활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은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4명...

      본 연구는 여가를 통한 작업치료가 노인 환자의 여가 만족도,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 재활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은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인간작업모델(MOHO) 이론 및 Dattilo(2015)의 여가 교육 프로그램 4th Ed. 을 참고하여 구성한 여가를 활용한 작업치료를,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작업치료를 실시하였다.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과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 평가(K-ADL․K-IADL), 재활 동기 설문지(PAREMO)를 사용하여 여가 만족도,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 재활 동기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중재 전, 후 비교와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가를 통한 작업치료는 여가 만족도, 재활 동기에 유의한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둘째,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에서는 전통적 작업치료 중재 집단이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1). 셋째,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마지막으로, 재활 동기-여가 만족도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따라서 여가를 활용한 작업치료 중재는 노인 환자의 여가 만족도, 재활 동기에, 전통적 작업치료 중재는 노인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속연구를 진행하여 효과의 일반화 및 지속성, 과정 분석의 객관성을 검증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구조화된 작업치료 중재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혜진, "한국 노인의 여가 및 에이징 웰(aging well)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8 (28): 201-221, 2016

      2 이화진, "통원 뇌졸중 환자의 우울 및 가족 지지가 재활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활간호학회 7 (7): 188-196, 2004

      3 박은주, "정신장애인의 재활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5 (25): 177-201, 2009

      4 한혜숙, "장애인의 재활 동기 측정도구 개발" 한국성인간호학회 14 (14): 554-563, 2002

      5 이가현,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여가활동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10 (10): 7-16, 2016

      6 이진아,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성인의 여가동기, 여가태도 및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6 (16): 27-56, 2017

      7 주용국, "은퇴 후 부부의 여가활동 경험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생성감과 자아통합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8 (38): 905-922, 2018

      8 박수향, "요양병원 입소자의 여가관리 실태조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0 (10): 199-207, 2016

      9 한혜원, "여성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형태가 여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2 (22): 47-58, 2008

      10 김이순, "여가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고령노인의 신체생리 및 심리적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8 (8): 971-987, 2006

      1 윤혜진, "한국 노인의 여가 및 에이징 웰(aging well)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8 (28): 201-221, 2016

      2 이화진, "통원 뇌졸중 환자의 우울 및 가족 지지가 재활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활간호학회 7 (7): 188-196, 2004

      3 박은주, "정신장애인의 재활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5 (25): 177-201, 2009

      4 한혜숙, "장애인의 재활 동기 측정도구 개발" 한국성인간호학회 14 (14): 554-563, 2002

      5 이가현,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여가활동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10 (10): 7-16, 2016

      6 이진아,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성인의 여가동기, 여가태도 및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6 (16): 27-56, 2017

      7 주용국, "은퇴 후 부부의 여가활동 경험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생성감과 자아통합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8 (38): 905-922, 2018

      8 박수향, "요양병원 입소자의 여가관리 실태조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0 (10): 199-207, 2016

      9 한혜원, "여성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형태가 여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2 (22): 47-58, 2008

      10 김이순, "여가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고령노인의 신체생리 및 심리적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8 (8): 971-987, 2006

      11 김영숙, "시니어 에어로빅스 참가 노인의여가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 17 (17): 33-46, 2003

      12 정복희, "수공예활동을 이용한 작업치료가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과 우울 수준 및 손 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대한신경치료학회 20 (20): 47-52, 2016

      13 신선혜, "수공예프로그램이 경도치매환자의 인지 및 시-운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8 (8): 19-25, 2016

      14 최성범, "생활체육참가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기본욕구만족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38) : 671-682, 2009

      15 윤설민, "문화적 여가활동에 따른 여가동기, 제약 및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8 (18): 259-275, 2009

      16 이려정, "대학생의 여가활동과 자기효능감, 생활만족도 간 영향연구: 동적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3 (23): 489-509, 2011

      17 배자현, "뇌졸중 환자의 통증파국화와 재활동기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 20 (20): 57-68, 2012

      18 최은실, "뇌졸중 환자의 우울이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극복력의 매개효과"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3 (23): 19-27, 2016

      19 이동수, "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여가만족도, 여가몰입도 및 고독감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2 (42): 227-238, 2003

      20 임재구, "노인의 여가참여 동기와 생활만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0 (30): 39-48, 2006

      21 이상덕, "노인의 여가스포츠참여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과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6 : 161-174, 2004

      22 이연숙,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참가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증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1 (21): 343-364, 2008

      23 하춘광, "노인여가시설 여가프로그램 이용 노인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7 (37): 1-12, 2013

      24 이상연, "노년기 여가활동과 삶의 질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30 (30): 787-797, 2007

      25 이형룡, "노년기 여가활동과 라이프스타일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7 (17): 149-165, 2008

      26 박미석, "노년기 여가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0 (40): 133-146, 2002

      27 양정빈,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한 중도장애인의 재활동기 모형 분석" 한국재활심리학회 18 (18): 203-228, 2011

      28 Kwon, S. S.,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troke patients' rehabilitation-motivation" The Graduate School of Keimyung university 2001

      29 Song, A. R., "effects of leisure activity program intervention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institutionalized older popul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1

      30 Mahon, M. J., "The use of techniques to facilitate self-determination skills during leisure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mild and moderate developmental disability" 28 (28): 58-72, 1994

      31 Danielle, B.,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y in leisure adaptation with complex neurological disability : A discussion using two case study examples" 23 (23): 313-319, 2008

      32 Francis Lobo, "The leisure and work occupations of young people: A review" Informa UK Limited 6 (6): 27-33, 1999

      33 Chen, P. C., "The effects of residential mobility on ADL and IADL limitations among the very old living in the community" 59 (59): 64-72, 2004

      34 Linda Carpenter, "The Use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as an Outcome of a Pain Management Program" SAGE Publications 68 (68): 16-22, 2016

      35 Anne Passmore, "The Nature of Leisure in Adolescence: A Focus Group Study" SAGE Publications 66 (66): 419-426, 2016

      36 Gary Kielhofner,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An Overview of Current Concepts" SAGE Publications 60 (60): 103-110, 2016

      37 Kim, H. S., "The Impacts of Stroke Patients'Depression,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Quality of Life"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2009

      38 Choi, G. H., "The Effects of Physical Self-efficacy of Elderly People in attending the Leisure Facilities and Programs on LifeSatisfaction" Honam university 2016

      39 Kim, D. G., "The Effects of Leisure Education Program on Psychosocial Well-being of Home-Centered Older" 21 (21): 81-94, 2003

      40 Won, J. W.,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K-IADL) Scale" 6 (6): 107-120, 2002

      41 Bang, Y. S., "The Changes of depression and cognition in elderly at institution according to craft activity program" 4 (4): 1-9, 2010

      42 Go, Y. S., "Study of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Leisure Satisfaction and Successful Aging of Participants in the Elderly School" Graduate School of Junnam University 2008

      43 Farrow, S., "Stroke Survivors’Perceptions Of A Leisure-Based Virtual Reality Program" 16 (16): 69-81, 2004

      44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tatistics for the old-ages"

      45 Searle, M. S., "Service Quality:Insight and Managerial Implication from Frontier, Service Quality" Sage Publication 1-99, 1991

      46 Dunn, A.,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64 (64): 12-40, 1997

      47 Kim, J. C., "Relationships of Self-efficacy and Motivation to Daily Activities in Outpatients with Stroke" Graduate School of Aju University 2006

      48 Alexis, N., "Occupational disruption: A scoping review" 24 (24): 114-127, 2017

      49 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Improving Function While Controlling Costs"

      50 Turner, A., "Occupational Therapy and Physical Dysfunction" Pearson Professional Limited 1997

      51 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Domain and Process" Clearance Center’s RightsLink 2014

      52 Folstein, M. F., "Mini-mental state :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13 (13): 285-294, 1975

      53 Mary, L., "Mental health concepts and techniques for th Occupational Therapy Assistant" Lippincott Williams & Wikins 1991

      54 Behrman, A. K., "Locomotor training progression and outcomes after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85 (85): 56-71, 2005

      55 Melinda Suto, "Leisure in Occupational Therapy" SAGE Publications 65 (65): 271-278, 2016

      56 Dattilo, J., "Leisure Education Program Planning" 2015

      57 Park, J. H.,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Part I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28 (28): 508-513, 1989

      58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orean Leisure Activity Survey"

      59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60 Katz, S., "Index of ADL" 14 (14): 116-118, 1976

      61 Ho, H. K., "Factors associated with ADL dependence: A comparative study of residential care home and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Japan" 2 (2): 80-86, 2002

      62 Park, Y. S., "Factors Affecting Stroke Patients' Rehabilitation-Motivation" 28 (28): 21-30, 2002

      63 Hafen, K., "Entwicklung eines Patientenfragebogens zur Erfassung der Reha-Motivation (PAREMO)1" Georg Thieme Verlag KG 40 (40): 3-11, 2001

      64 Canadi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Enabling Occupation: An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 2002

      65 Dattilo, J., "Effects of a Leisure Education Program on Youth with Mental Retardation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34 (34): 20-34, 1999

      66 김미영, "Effects of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Hemiplegia after Stroke" 한국원예학회 28 (28): 884-890, 2010

      67 Heo, E. Y., "Development of the Multi-cultural Practical arts Education Programbased on the 'home life'area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t the Elementary level" Major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2011

      68 Ottawa, ON,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An Assessment of the SERVQUAL Dimensions" 66 (66): 33-55, 1990

      69 Jang, G. J., "An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Retiree’s Leisure Activities and Self-efficacy & Life Satisfaction" Seoul Venture university 2010

      70 Park, K. H., "A study on the factors of influencing on successful aging" Ewha Woman University 2006

      71 Nam, H. E.,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Leisure Education Program for the Low-Income Olders'Group"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en University 2005

      72 Kielhifner, G., "A Model of Human Occupation:Theory and Application" Lippincott Williamas & Wilikins 2002

      73 Kielhofner, G., "A Model of Human Occupation, Part 1. Conceptual Framework and Content" 34 : 572-581, 19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