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가 자기확장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enior Citizen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on Self-Expansion: Based on the Median Effect of Self-Eff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73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performance of volunteer work for the elderly from the perspective of self-efficacy and self-extension of the elderly, not from successful aging or productive aging. Through this, the research aims to confirm the expansion of internal growth and self-sufficiency that can occur in old age, an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examine one's life in old age.
      In order to verif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00 senior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ies at the City Hall and the District Office of Busan Metropolitan City over a period of three month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8 and used the data from 266 questionnaires for the study, excluding the 34questionnaire answered unfaithfull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for volunteering activities (value function, social function, understanding function) of the elderly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Second, the motivation for volunteering activities (value functions, social functions, understanding func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xtension. Third, it has been shown that the elderly's sense of self-efficacy (self-regulation efficacy, confid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self-extension. Fourth,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has a mediated effect on the motivation of the elderly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and the relationship of self-exten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evance of the motivation for volunteering activities of the elderly to influence their effectiveness and self-extension. In particular, the research suggests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for the revitalization of volunteer activities of the elderly by providing a new perspective on the welfare of the elderly by utilizing parameters of self-efficacy, a psychological and social concept for the elder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performance of volunteer work for the elderly from the perspective of self-efficacy and self-extension of the elderly, not from successful aging or productive aging. Through this, the research aims to confir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performance of volunteer work for the elderly from the perspective of self-efficacy and self-extension of the elderly, not from successful aging or productive aging. Through this, the research aims to confirm the expansion of internal growth and self-sufficiency that can occur in old age, an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examine one's life in old age.
      In order to verif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00 senior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ies at the City Hall and the District Office of Busan Metropolitan City over a period of three month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8 and used the data from 266 questionnaires for the study, excluding the 34questionnaire answered unfaithfull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for volunteering activities (value function, social function, understanding function) of the elderly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Second, the motivation for volunteering activities (value functions, social functions, understanding func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xtension. Third, it has been shown that the elderly's sense of self-efficacy (self-regulation efficacy, confid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self-extension. Fourth,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has a mediated effect on the motivation of the elderly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and the relationship of self-exten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evance of the motivation for volunteering activities of the elderly to influence their effectiveness and self-extension. In particular, the research suggests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for the revitalization of volunteer activities of the elderly by providing a new perspective on the welfare of the elderly by utilizing parameters of self-efficacy, a psychological and social concept for the elder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성과를 성공적 노화나 생산적 노화가 아닌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자기확장성의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노년기에 일어날 수 있는 내적성장과 자가의 확장을 검증 할 수 있으며, 노년기 삶을 재조명하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의 시청 및 구청에서 진행하는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노인 3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2018년 9월부터 11월까지 약 3개월에 걸쳐 설문지를 배부하여 불성실하게 응답되었다고 판단된 34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후 266부의 자료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참여 동기(가치기능, 사회기능, 이해기능)는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원봉사활동참여 동기(가치기능, 사회기능, 이해기능)는 자기확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자기효능감(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은 자기확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은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와 자기확장성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가 자기효능감과 자기확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련성을 규명 하였다. 특히, 노인에게 심리사회적 개념인 자기효능감의 매개변수를 활용하여, 노인복지의연구의 새로운 관점을 제공함으로써 향후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성과를 성공적 노화나 생산적 노화가 아닌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자기확장성의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노년기에 일어날 수 있는 내적성장과...

      본 연구는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성과를 성공적 노화나 생산적 노화가 아닌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자기확장성의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노년기에 일어날 수 있는 내적성장과 자가의 확장을 검증 할 수 있으며, 노년기 삶을 재조명하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의 시청 및 구청에서 진행하는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노인 3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2018년 9월부터 11월까지 약 3개월에 걸쳐 설문지를 배부하여 불성실하게 응답되었다고 판단된 34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후 266부의 자료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참여 동기(가치기능, 사회기능, 이해기능)는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원봉사활동참여 동기(가치기능, 사회기능, 이해기능)는 자기확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자기효능감(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은 자기확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은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와 자기확장성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가 자기효능감과 자기확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련성을 규명 하였다. 특히, 노인에게 심리사회적 개념인 자기효능감의 매개변수를 활용하여, 노인복지의연구의 새로운 관점을 제공함으로써 향후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기, "한국 노인 자원봉사자의 특성, 횟수와 시간,그리고 자원봉사 영향요인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2) : 317-344, 2013

      2 박상복, "전문직 은퇴자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요구 분석 : 역량, 학습 및 사회활동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0

      3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0~2060"

      4 이주연, "자원활동봉사활동 동기요인이 자기확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14

      5 정순둘, "자원봉사활동 특성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면 접촉과 비대면 접촉" 한국노년학회 25 (25): 219-233, 2005

      6 김한구, "자원봉사론" 백산출판사 2017

      7 조윤주, "자원 봉사를 하는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참여 노인의 생성감과 가족의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7 (17): 191-206, 2008

      8 이묘숙,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노인의 경제상태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7) : 289-314, 2012

      9 박지원,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10 배진희, "노인의 차별경험과 자원봉사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0 : 141-161, 2016

      1 이현기, "한국 노인 자원봉사자의 특성, 횟수와 시간,그리고 자원봉사 영향요인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2) : 317-344, 2013

      2 박상복, "전문직 은퇴자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요구 분석 : 역량, 학습 및 사회활동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0

      3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0~2060"

      4 이주연, "자원활동봉사활동 동기요인이 자기확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14

      5 정순둘, "자원봉사활동 특성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면 접촉과 비대면 접촉" 한국노년학회 25 (25): 219-233, 2005

      6 김한구, "자원봉사론" 백산출판사 2017

      7 조윤주, "자원 봉사를 하는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참여 노인의 생성감과 가족의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7 (17): 191-206, 2008

      8 이묘숙,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노인의 경제상태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7) : 289-314, 2012

      9 박지원,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10 배진희, "노인의 차별경험과 자원봉사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0 : 141-161, 2016

      11 황관식,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0

      12 이형만,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2012

      13 강대수,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가 자기확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2016

      14 이안나,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4

      15 전진만, "노인의 자원봉사 활동경험이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6

      16 강민연, "노인의 자원봉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K시 노인종합사회복지관 노인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한국노년학회 30 (30): 1409-1427, 2010

      17 임옥빈, "노인의 연령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18 황지영, "노인 자원봉사활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서울시노인종합복지관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19 정옥분, "노년기 사회적 자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개인적 자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20 (20): 79-99, 2013

      20 강현정, "노년기 사회적 배제의 실태 및 예측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1 (11): 323-334, 2011

      21 권미애, "노년기 가치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노년기 활동 유형별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2 이금룡, "노년 자원봉사 활동참여 동기에 관한연구" 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12-, 2017

      23 Baldock, C. V., "Volunteers in Welfare" Allen and Unwin Australia. Pty Ltd 2016

      24 McCurley, S., "Volunteer Management: Mobilizing all the Resources of the Community" Heritage, Arts Publishing 2016

      25 Francies, G. R., "The Volunteer Needs profile" University of Winsconsin. 2012

      26 Maslow, A. H., "Motivation and Personality" harper and low 2017

      27 Lynch, S. M.,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aging anxiety" 22 (22): 533-558, 2015

      28 Holtz-Eakin, D., "Income, wealth, and intergenerational economic relations of the aged" 102-145,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