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Inflammatory Biomarkers and Bipolar Disorder: Neutrophil/Lymphocyte Ratio, Monocyte/Lymphocyte Ratio and Platelet/Lymphocyte Ratio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호중구/림프구 비율(NLR), 단핵구/림프구 비율(MLR) 및 혈소판/림프구 비율(PLR)은 염증의 표지자이다. 여러 연구에서 비율들과 양극성 장애의 중증도와의 관계를 평가했지만 상반되는 결...

      목적:호중구/림프구 비율(NLR), 단핵구/림프구 비율(MLR) 및 혈소판/림프구 비율(PLR)은 염증의 표지자이다. 여러 연구에서 비율들과 양극성 장애의 중증도와의 관계를 평가했지만 상반되는 결과였다. 저자들은 이러한 염증 비율과 양극성 장애의 중증도 및 임상적 특징 사이의 관계를 조사했다.
      방법:2010년 1월부터 2021년 8월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에 입원하였고 선정기준을 만족하는 양극성 장애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NLR, MLR, PLR은 온혈구계산에 따라 측정되었다. 중증도는 경조증/조증 삽화 환자에서 Young Mania Rating Scale (YMRS), 우울 삽화 환자에서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AMD)로 평가되었다. 환자는 두 가지 임상적 특징인 현재의 정신병적 증상 및 자살 시도 과거력의 유무에 따라 분류되었다.
      결과:선정된 181명의 대상자 중 123명이 여성이고 58명이 남성이었다. 더 높은 NLR 수치를 보인 환자군은 더 높은 HAMD 점수를 보였다(n=36, r=0.337, p=0.045). YMRS와 염증 표지자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전 자살 시도가 있는 환자군은 이전 자살 시도가 없는 환자군보다 더 높은 PLR 수치를 보였다(N[SA+]=52, N[SA-]=129, p=0.035). 정신병적 특징에 따른 염증 비율의 수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이 연구로 양극성 장애 우울에피소드의 중증도와 염증 표지자 사이의 상관 관계와 함께 양극성 장애에서 이전 자살 시도 과거력과 염증 표지자 사이의 가능한 상관 관계를 밝혀냈다. 앞으로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하는 잘 설계된 전향적 연구의 필요성이 시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Neutrophil/lymphocyte ratio (NLR), monocyte/lymphocyte ratio (MLR), and platelet/lymphocyte ratio (PLR) are indicators of inflammation. Several studies have evaluated their relationship with bipolar disorder severity, but the results are ...

      Objectives:Neutrophil/lymphocyte ratio (NLR), monocyte/lymphocyte ratio (MLR), and platelet/lymphocyte ratio (PLR) are indicators of inflammation. Several studies have evaluated their relationship with bipolar disorder severity, but the results are controversial. Here,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ammatory ratios and the severit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bipolar disorder.
      Methods: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bipolar disorder patients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admitted to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between January 2010 and August 2021. NLR, MLR and PLR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complete blood count. Severity was assessed by the Young Mania Rating Scale (YMRS) in hypo/manic episode patients, the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AMD) in depressive episode patients. Patients are grouped by presence of two clinical features, current psychotic features and history of suicide attempts.
      Results:181 subjects, of whom 123 were women and 58 men, were included. Subjects with higher NLR had higher HAMD scores (N=36, r=0.337, p=0.045). We found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YMRS and the inflammatory biomarkers. Patients with previous suicide attempts exhibited a greater PLR than those without previous suicide attempts (N[SA+]=52, N[SA-]=129, p=0.03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lammatory ratios with respect to psychotic features.
      Conclusions:We found a possible correl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bipolar depression and inflammatory indicators in the Korean population, in addition to correlation between previous suicidal attempt of bipolar disorder and inflammatory indicators. A well-designed prospective study involving a larger cohort is needed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Subjects and Methods
      • Results
      • Discussion
      • References
      • Introduction
      • Subjects and Methods
      • Results
      • Discussion
      • References
      • 국문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